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Cycloheximade 投與가 膵藏外分泌細胞의 分泌機構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超微形態學的 硏究

        서보양,손윤경,김용진,김중길,곽정식,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3 慶北醫大誌 Vol.24 No.2

        저자들은 분비 항진시에 있어서 cycloheximide 투여가 췌장외분비 세포의 분비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lague-Dawley종 흰쥐에 pilocarpine 단독투여, pilocarpine과 cycloheximide의 병합투여 그리고 cycloheximide 단독투여를 하여 얻은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광학현미경적으로는 pilocarpine 단독투여군에 있어서는 pilocarpine 주사 후 1시간째부터 분비과립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4시간째에 최고에 달하고 그 후 다시 증가하며 pilocarpine 투여 후 cycloheximide를 투여한 군에서는 cycloheximide 투여 직후부터 분비과립의 재축적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cycloheximide 단독투여군에서는 분비과립에는 별 변동이 없었다. 전자현미경적으로는 pilocarpine 단독투여군에서 분비과립의 감소와 평행하여 Golgi장치 부근에 condensing vacuole의 증가 RER의 수포화 및 배열의 불규칙, lysosome의 증가 등이 일어나고, 분비과립의 재축적과 더불어 condensing vacuole의 감소, RER배열의 공포화 및 층상화가 일어났다. Pilocarpine투여로 분비를 항진시킨 후 cycloheximide를 투여하면 분비과립의 재축적은 거의 볼 수 없고, 이와 동시에 Golgi장치 부근의 condensing vacuole의 감소, 세포선단부에 있어서 다수의 apical vesicle의 출현, RER배열의 불규칙 membrane-bound ribosome의 감소 및 lysosome의 증가 등이 일어났다. Cycloheximide 단독 투여시에는 RER의 공포화 및 단절. ribosome의 탈락, free ribosome의 증가, Golgi장치에 있어서 공포성분의 증가, lysosome의 증가 및 mitochondria의 종창등이 경하게 일어났다. 혈중의 amylase치는 pilocarpine 단독 투여군에서는 세포내의 분비과립의 숫적증감과 반비례하였으며, pilocarpine 투여후 cycloheximide를 투여한 군에서는 감소를, cycloheximide 단독투여군에서는 pilocarpine과 cycloheximide 병합투여시와 같이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분비물의 배출항진에 수반되는 주된 형태학적 변화는 분비과립의 감소이고, 분비과립 형성의 촉진에 동반되는 형태학적 변화는 Golgi체에 있어서의 condensing vacuole의 증가, Golgi lamellae의 condensing vacuole로의 이행의 증가등이고 cycloheximide로서 분비물의 합성을 억제한 경우에는 정상인 condensing vacuole 대신에 부전형 (abortive form)의 분비과립이라 생각되는 apical vesicle의 형성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분비물 합성이 억제되어도 분비과립 생산의 노력이 계속되어 있는 현상이라 생각된다. The author had administered pilocarpine, cycloheximide, and combined both drugs to 40 Splague-Dawley ra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ycloheximide on secretory organelles of pancreatic exocrine cells in the state of enhanced secretory activity. The results obtained by means of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Light microscopically, in pilocarpine group, secretory granules began to decrease as 1 hour after administration and were most prominent at 4 hours later, and then the granules were restored. In combined pilocarpine-cycloheximide group, restoration ofsecretory granules did not accured after cycloheximide administration. In cycloheximide group, there was no change in secretory granules. Electron microscopically, in pilocarpine group, parallel to decrease of secretory granules, increase of condensing vacuoles near Golgi apparatus, vesiculation and irregularity in arrangement of lysosome appeared. When cycloheximide was administered after enhancing secretory activity by pilocarpine administration, restoration of secretory granules failed to occur. But decrease of condensing vacuoles near Golgi apparatus, appearance of apical vesicles in apical areas, irregularity in arrangement of RER, decrease of membrane-bound ribosomes, and increase of lysosomes occurred. In cycloheximide group observed were; vesiculation and fragmentation of RER, shedding of ribosomes, increase of free ribosomes, vacuolar component of Golgi apparatus, lysosomes, and swelling of mitochondria. Level of serum amylase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ecretory granules in pilocarpine group. The levels were decreased in cycloheximide group along and combined pilocarpine, cycloheximide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main morphologic change associated with enhanced excretion of pancreatic exocrine grands is decreased secretory granules, and that changes associated with acceleration of formation of secretory granules are increased condensing vacuoles in Golgi apparatus and increased transforming of Golgi lamellae to condensing vacuoles. When the secretory protein synthesis is suppressed by cycloheximide administration, apical vesicles regarded as abortive form of secretory granules are formed instead of condensing vacuoles.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an expression of effort to produce granules even in the state of suppressed secretory protein syn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