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젖소에 있어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가 혈장 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

        손혜인,백성광,문주연,안의영,이현준,손용석,Son, Hey In,Baek, Seong Gwang,Moon, Ju Yeon,Ahn, Eui-Young,Lee, Hyun-Jun,Son, Yong Su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4

        본 시험은 젖소 4두에 대하여 제1위체류형 센서(Indwelling probe)를 정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pH가 혈 중 내독소(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섬유성탄수화물(Non-fiber carbohydrates, NFC)을 기준으로 적정 수준의 NFC를 포함하고 있는 정상 사료군(Normal diet, ND)과, 아급성제1위과산증(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유발가능 사료군(Acidogenic diet, AD)의 2개 처리구에 각 2두씩 배치하여 Cross-over 설계로 사양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제1위체류형 센서는 장시간에 걸친 제1위 내 pH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얻어진 결과에서 AD 급여는 반추위내용물의 pH를 낮추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반추위 내 pH의 저하는 혈 중 LPS의 농도가 증가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혈 중 LPS 농도는 급성 또는 만성형을 불문하고 과산증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착유우용 사료첨가물로 많이 이용되는 소디움벤토나이트(NaB)와 프로필렌글리콜(PG)의 급여는 반추위 내 pH의 저하를 완충시켜 궁극적으로 SARA의 강도를 완화시키고 혈 중 Lipopolysaccharides (LPS) 농도의 증가를 줄여 줌으로써 내독소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제엽염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induced by feeding high level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results in increases in lipopolysaccharides (LPS) of peripheral blood in dairy cattle. In this experiment four Holstein steers, two of which having ruminal canulae with indwelling probes placed for measuring long term pH changes, were alloted into two dietary treatments in a cross-over design, where an acidogenic diet (AD) was formulated by including high amount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NSC) based on corn silage and corn flake as TMR ingredients. Data for ruminal pH change and plasma LPS concentration were compared against normal diet (ND) which contained grass hay as forage and low NSC ingredients. Feeding AD for more than 14 days to animals brought about a pH change as low as less than 5.8 for more than 4 hours, which made good contrast to ND fed animals. Decreased ruminal pH also had an effect on LPS concentrations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for AD compared with ND. Therefore, plasma LPS concentration may be used as an effective indicator to verify acidosis whether it is acute or chronic. Na-bentonite and Propylene glycol, which are frequently included in dairy TMR as additives, helped decrease ruminal pH by buffering and then ultimately alleviates SARA. Therefore, it could also be helpful to lower the occurrence of laminitis which is often caused by increased blood endotoxin (LPS) concentration.

      • KCI등재

        젖소목장의 자동착유시스템 도입 확대 방안 연구

        남인식(In-Sik Nam),장경만(Kyeong-Man Chang),허병무(Byoung-Moo Heo),양영석(Young-Seok Yang),박성민(Seong-Min Park),손용석(Yong-Suk Son),남기택(Ki-Teag Nam)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6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3 No.4

        Only 1.5% of dairy farms in Korea is using AMS due to high cost and the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AMS. In this study, we surveyed an awar-eness and adoption attitude of the AM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y dairy farms there they are using conventional milking systems (CMS). Nearly half of dairy farmers (49 farms) already knows about AMS and almost 20% of CMS farms answered to be heard the AMS. The main reason to adopt AMS was for reducing workforce on dairy farm. However, most of dairy farms have the budget problems to buy AMS. In conclusion, if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 some budget for AMS adaptation or development of inexpensive AMS, the rate of AMS dairy farm will increase up to 20% like EU country.

      • SCOPUSKCI등재

        해조류의 항응고 활성 검색과 추출조건 최적화

        윤진아(Jin-A Yoon),유광원(Kwang-Won Yu),전우진(Woo-Jin Jun),조홍연(Hong-Yon Cho),손용석(Young-Suk Son),양한철(Han-Chul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6

        60여종의 국내산 해조류로부터 냉수, 헥산, 메탄올 및 열수별 계통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을 검색한 결과, 갈조류나 녹조류보다는 홍조류에서 높은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들이 많았으며 냉수와 열수의 추출조건하에서 조제된 획분들이 대부분 높은 활성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냉수추출보다는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항응고 활성을 보인 반면, 메탄올 획분은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높은 활성을 보인 홍조류 중에서도 활성과 수율이 높고 구입도 용이한 속초산 참도박(Pachymeniopsis elliptica)을 항응고 활성 물질 함유 최적 시료로 선정한 후 추출에 대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추출조건의 검토 결과, 항응고 활성은 교반 후 100℃에서 3시간 열수로 추출한 열수추출물(PE-0)이 가장 높은 활성과 수율을 보였다. 열수추출물에 30% 및 70%의 에탄올을 농도별로 첨가, 분획하여 조다당 획분을 조제하고 에탄올가용성 획분을 분리한 후 각각의 획분에 대한 항응고 활성을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로 조제한 조다당 획분인 PE-2가 30% 에탄올로 조제한 PE-1보다 활성과 수율에서 모두 우수하였으며 에탄올 가용성 획분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활성이 높은 PE-2 획분은 galactose와 3, 6-anhydrogalactose가 각각 45.3 mol.%와 36.7 mol.%함유된 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획분임이 확인되었고 항응고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황산기의 황 함량도 25.7%로, 참도박으로부터 열수추출과 에탄올 분획에 의해 조제된 항응고 활성 성분물질도 황산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다당일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Sixty extracts from edible seaweeds were screened to investigate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blood. In general, the extracts from red seaweeds displayed the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from green and brown seaweeds. Also, a relatively high anticoagulant activity was found in a hot water extracts over cold water, hexane, and methanol-solubles. Of all extracts, the hot water extract from Pachymeniopsis elliptica (PE) showed the highest anticoagulant activity and yiel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of P. elliptica was resulted when the extract was heated at 100℃ for 3 hrs in the water. The hot water extract from P. elliptica was further separated by precipitation with 30% and 70% ethanol. PE-2, the precipitate by 70% ethanol, possessed higher blood anticoagulant activity than PE-1, the precipitate by 30% ethanol. This fraction contained 45.3 mol.% of galactose, 36.7 mol.% of 3, 6-anhydrogalactose and also 25.7% of sulfate which is known to be anticoagulant activity component. High percentage of sulfate in the fraction of PE-2 may be the cause for the activity of anticoagulant.

      • SCOPUSKCI등재

        참도박의 혈액 항응고성 다당류의 정제

        윤진아(Jin-A Yoon),유광원(Kwang-Won Yu),전우진(Woo-Jin Jun),조홍연(Hong-Yon Cho),손용석(Young-Suk Son),양한철(Han-Chul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5

        국내산 해조류의 항응고 활성 검색에 의해 활성과 수율면에서 우수한 속초 산 참도박(Pachymeniopsis elliptica)의 열수추출물로부터 70% 에탄올 침전으로 조제된 조다당 획분(PE-2)을 한외여과(PE-2IV), DEAE-Toyopearl650C의 이온교환 column(PE-2IVc), Sepharose CL-6B의 겔여과 column(PE-2IVc-2) 및 Shodex OHpak KB-805 column의 HPLC로 분획하여 710 kDa의 분자량을 갖으면서 galactose(48.6%)와 3, 6-anhydrogalactose(44.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황함량이 27.1%이며 소량의 xylose(3.6%), glucose(1.1%), mannose(1.1%), arabinose(0.8%)와 fucose (0.8%)를 포함하는 다당획분, PE-2IVc-2-1를 정제하였다. 또한 PE-2IVc-2-1의 IR 측정결과, S=O 결합을 나타내는 1116.74 cm-¹와 1143.17 cm-¹와C-O-S 결합의 828.19 cm-¹에서 각각 특이적인 흡수 band를 보임으로써 PE-2IVc-2-1 중에 황산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다당 획분인 PE-2를 꼬리 정맥에 주사하고 채혈하여 ex vivo로 항응고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체 내에서 100 mg/kg의 농도까지도 시료량에 의존하는 항응고 활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urify the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from Pachymeniopsis elliptica. The anticoagulant compound (PE-2IVc-2-1) was isolated from the crude polysaccharide (PE-2) by the sequential steps such as ultrafiltration (PE-2IV),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of DEAE-Toyopearl 650C (PE-2IVc),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of Sepharose CL-6B (PE-2IVc-2), and HPLC Shodex OHpak column chromatography (PE-2IVc-2-1).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purified polysaccharide (PE-2IVc-2-1) was approximately 710 kDa. It was mainly composed of galactose (48.6%) and 3,6- anhydrogalactose (44.0%) with 27.1% of sulfate residue, in addition a trace amount of xylose (3.6%), glucose (1.1%), mannose (1.1%), arabinose (0.8%) and fucose (0.8%). The IR sepctrum of the polysaccharide showed the characteristic bands of S=O (1116.74 and 1143.17 cm-¹) and C-O-S (828.19 cm-¹) stretchings, respectively. The anticoagulant effect of PE-2 in ex vivo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in- travenously injected dose, up to 100 mg/kg.

      • KCI등재

        점토광물 혼합 사료 급여로 발생된 우분 시용에 따른 옥수수 GK729 의 생장

        이상환,김정규,이창호,임수길,손용석,윤영만 한국환경농학회 200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9 No.1

        Porphyrite(일명 맥반석), zeolite, bentonite를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면 가축의 영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있다. 이렇게 발생된 분뇨를 토양에 투여하고 옥수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재배 후 포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공시분은 모두 pH 8.0 이상이었고, CEC는 점토광물 혼합사료로 발생된 분이 일반분에 비해서 높아 혼합된 광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을 밑거름으로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porphyrite > zeolite > 일반분 > bentonite 시용 포장의 순서로 생육이 양호하였고, porphyrite와 zeolite 처리구의 옥수수에서 N, P, K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 재래 이후 토양에서 유기물과 유효인산함량을 제외한 화학성은 분뇨처리구와 무처리구간, 그리고 각 광물 혼합 분뇨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Zeolite와 bentonite 처리구에서 인삼함량이 특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성은 양토, 입단화도는 56-69%, 소성하한은 22-23%, 투수계수는 3.29×10^(-5) ∼6.04×10^(-5)㎝·sec^(-5)의 범위로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처리가 1년 이내로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를 거두기에는 너무 짧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w manure originated from the clay mineral (porphyrite, zeolite and bentonite) feeding on the growth of Zea mays GK729. CEC of the manure after bentonite, zeolite, and porphyrite feeding were 147.5, 137.0, and 114.0 cmol/Kg,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of non-mineral treated manure, 107.5 cmol/Kg. After 3 month grow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 in the biomass prodcution and the content of minerals in plant tissue of Z mays, b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lay mineral enhanced the grwoth of Z. mays according to the unknown mechanism, the further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