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泰安마애삼존상의 도상과 성격 - 竝立한 二佛의 존명 추정과 ‘정치적 서상’으로서 가능성 탐색 -

        소현숙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6 백제문화 Vol.0 No.54

        This study examines the iconograph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carved Triad Buddhas in Taean, built in Baekje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Taean is a seaside county located between Baekje and China. The rock-carved Triad Buddhas at the top of Baekhwa Mountain have a unique form of “two Buddhas(佛) and one Bodhisattva” (菩薩)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Although the Bodhisattva is located at the center, the main images according to size and volume are the two massive Buddhas located at both ends. In 6th century-China, statues of two Buddhas(雙身像)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Sakyamuni Buddha and the Prabhutaratna Buddha based on the Lotus Sutra became popular. By referring to and comparing the situation in China, this study estimates the titles of the two Buddhas that are the main images of the Taean rock-carved Buddha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Buddhas is as important as the iconographic research of discovering the titles of the two Buddhas. Judging by the size and their location at the top of a mountain instead of a residential area, the construction of the Taean rock-carved Buddhas must have been a major project.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was carried out during the time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rough Buddhism by kings like Wideok, Beop, and Mu,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two parallel Buddhas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the two Buddhas in the Country of Wu, worshipped as Asokan images in China, are noteworthy. The two Buddha statues were widely worshiped from the County of Wu(吳郡) to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ollowing the river. They were also described by the forms of Two Buddhas standing until the Tang Dynasty. This was because the two statues were political “miraculous images” that proved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to be Buddhist land ruled by the Cakravartin King. Therefore, the two statues were deeply revered, not only by civilians but also by the Imperial power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Baekje had close exchanges with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so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kings of Baekje who were executing policies for strengthening loyalty to authority through Buddhism adopted their formation of a “Buddhist government through creation of miraculous image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In other words, the Taean rock-carved Buddhas could have been constructed as political miraculous images at the top of Baekhwa Mountain by the royal authorities and functioned as signage symbolizing Baekje as Buddhist land ruled by the Cakravartin King. 태안은 바다를 낀 백제의 對중국 교통로上에 위치하고 있다. 6세기 말~7세기 초 이곳 백화산 정상에 조성된 마애삼존상은 ‘2불1보살’이라는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상 유일무이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비록 보살상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만, 크기나 양감 등에서 주존은 보살상이 아니라 좌우 양쪽에 위치한 거대한 二佛이다. 6세기 중국에서는 『법화경』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석가․다보의 이불병좌 이외에 두 부처를 함께 조성하는 雙身像이 출현하여 유행하였다. 본고는 중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태안마애삼존상에 나타나는 竝立한 二佛의 존명을 추정하였다. 그런데 二佛의 존명을 밝히는 도상학적 연구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두 부처의 성격을 究明하는 것이다. 장대한 크기, 거주지가 아닌 산 정상에 위치한 점 등으로 미루어 태안마애삼존상의 조영은 대형 佛事에 속했을 것이다. 특히 위덕왕, 법왕, 무왕 등이 불교를 통해 왕권강화책을 펼치던 시기에 조성되었던 점을 주목할 때, 병립한 두 불상은 정치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중국에서 아육왕상으로 예배되었던 이불병립상의 존재이다. 두 상은 물길을 따라 吳郡에 나타나 남조에서 널리 숭배되었을 뿐 아니라, 唐代까지도 이불병립의 형식으로 꾸준히 묘사되었다. 두 상이 그 출현을 통해 남조를 불교적 성왕인 전륜성왕이 다스리는 불국토로 轉化시키는 기능을 가진 정치적 서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두 상은 민간에서 뿐 아니라, 남조의 황제권력에 의해 깊이 존숭되었다. 백제는 남조와 밀접하게 교류했다. 그러므로 6세기 말~7세기 불교를 통한 왕권 강화 정책을 펼치던 백제왕들에 의해 남조의 ‘서상 조성을 통한 불교적 통치’ 행태가 수용,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다시 말해 태안마애삼존상은 왕권 강화를 꾀하던 중앙 권력에 의해 백화산 정상에 정치적 서상으로 조성되어 백제가 전륜성왕이 다스리는 불국토임을 상징하는 표지적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불구자’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소현숙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8 No.-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the term “pulguja,” which refers to the disabled in colonial Korea, as well as its charact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dern social service facilities were introduced although they were insufficient, and all kinds of statistical data were collected with regard to the disabled and released by the media. Moreover,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the disabled were conducted for introducing foreign policies or movements for the disabled, which led to a perception of the disabled as a collective category in Korea. The term “pulguja” was first introduced through Japan at the time, replacing the term “pyǒnsin (sick body),”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o refer to the disabled. However, the term “pulguja”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pyǒnsin,” and both terms began to be used together. The term “pyǒnsin” mostly appeared in articles related to events and incidents depict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by the public, whereas the term “pulguja” appeared mostly when referring to modern systems or policies related to the disabled. Despite this, “pulguja” did not completely eradicate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because the two terms, “pulguja” and “pyǒnsin,” we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e term “pulguja” involved a discriminatory perception most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eugenics. The eugenics perspective that had become widespread in the Chosŏn society of the 1920s-30s positioned the “pulguja” as an inferior kind of people who must be removed, and nationalistic intellectual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such eugenic discourse. While the term “pyǒnsin,” which had been handed down from premodern society, contained a derogat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disabled as a target of belittlement and ridicule, the modern term “pulguja” symbolized the colonized people and opened up a new horizon to understand disability as a socioeconomic product rather than as a personal attribute. However, it reinforced the discriminative perspective toward the disabled by positioning them as inferior people who must be erased from society.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시기 장애인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새롭게 등장한 ‘불구자’라는 개념의 형성과정과 그 성격을 분석하였다. 식민지라는 조건 속에서 미약했지만 근대적 사회사업 시설이 도입되고, 장애인과 관련된 각종 통계자료가작성되어 언론을 통해 발표되었으며, 외국의 장애인 정책이나 운동이 국내에 소개되는 등 장애인과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이 형성되면서 집단적 범주로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당시 장애인을 지칭하는 용어로서는 19세기 말부터 사용되었던 ‘병신’이라는 용어를 대체하여 ‘불구자’라는 용어가 일본을 통해 새롭게 유입되었다. 그러나 불구자는 병신이라는 용어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한 채 양자가 병존하였다. 주로 ‘병신’이라는 용어가 각종 사건사고와 관련된 보도기사에 많이 나타나 일반인 사이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의식을 드러낼때 사용되었던 반면, ‘불구자’라는 용어는 장애인과 관련된 근대적 제도나 정책등을 언급할 때 나타났다. 그렇다고 해서 ‘불구자’라는 용어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의식이 완전히 제거된 용어는 아니었다. 이는 병신과 불구자가 상호 치환될수 있는 용어로 병행해서 쓰이는 경우도 빈번했던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이렇게 ‘불구자’라는 용어에 차별적 인식이 개입되었던 것에는 장애인을 법적 무능력자로 자리매김한 근대법의 도입, 학교교육으로부터의 배제, 그리고 무엇보다우생학의 영향이 컸다. 1920∼30년대 조선사회에 광범하게 확산되었던 우생학적시각은 민족의 열등한 부분이자 제거되어야 할 부분으로서 ‘불구자’를 위치시키고 있었으며,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이 이러한 우생학적 담론의 확산에 기여하고있었다. 전근대시기로부터 이어져 온 ‘병신’이라는 용어가 비하하고 조롱할 대상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인격적 폄하를 담고 있었다면, 근대적 용어로서 ‘불구자’ 는 한편에서는 식민화된 민족을 상징하는 용어로 상상되면서 장애를 개인적 자질이라기보다는 사회경제적 산물로서 이해하는 시각을 열어 주었으나, 동시에제거되어야 할 민족의 열등한 일부로서 장애인을 위치시킴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차별의 시각을 강화하고 있었다.

      • KCI등재

        中國 南北朝時代 國家祭禮와 祭禮空間

        소현숙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0 백제문화 Vol.0 No.62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national rituals and its spaces of China's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at influenced the ancient Korean ritual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ancient China, rituals were institutionalized by the state as a national agenda. Each dynasty was able to secure political legitimacy and authority through these rituals, thus establishing them as governmental acts. The ancients recognized the origin of governing power as an expression of the will of heaven. The emperor proclaimed his orthodoxy through the sacrifice of the heavens, and strengthened the cognate consciousness through the sacrifice of their ancestor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national ritual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the sacrifices to Heaven in suburbs, Ming Hall(明堂) and ancestral temple. Related contents were recorded in “Ceremonial records(禮志)” such as South Qi Shu(南齊書), Song Shu(宋書), Wei Shu(魏書), and Sui Shu(隋書) etc.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records, analyzed the debates about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ancestral temple. And inferr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m as national rituals. The ritual is a concrete ceremony. Therefore, the ritual study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system, but also the practices that operate it, and the space in which these practices are performed. Particularly in the national ritual, the place of sacrifice was very important because the emperor had a strong purpose of showing himself as a monarch with legitima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bove-mentioned records, this study explored the location and form of the sacrificial spaces in each dynasty during the China's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본고는 고대 한국의 삼국시대 국가 제례에 많은 영향을 미친 중국 남북조시대 국가 제례와 제례 공간에 대한 연구이다. 고대 중국에서 제사는 국가의 大事로서 국가에 의해 제도화되었다. 국가는 이런 제례를 통해 정치적 정통성과 권위를 확보할 수 있었으므로, 제례를 국가의 통치행위로 확립하였다. 고대인들은 통치 권력의 연원을 하늘이 내린 의지의 표현으로 인식해왔다. 황제는 하늘에 대한 제사를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천명하였으며, 자신들의 선조에 대한 종묘 제사를 통해 報本의식을 강화했다. 그러므로 남북조시대 국가 제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늘에 제사하는 제천 郊祀禮와 明堂禮, 그리고 종묘 제사이다. 이에 대해서는 『南齊書』, 『宋書』, 『魏書』 및 『隋書』 등의 ‘禮(儀)志’에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기록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북조시대 천지 제사 및 종묘 제사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것들이 국가 제례로 확립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제례는 구체적인 의식이다. 그러므로 제도와 이를 운용하는 行禮, 이런 행례가 행해지는 공간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특히 국가 제례는 황제가 정권의 정통성을 천하에 내보이려는 목적이 강했던 만큼 祭場의 위치가 매우 중요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사서의 기록들을 통해 남북조시대 각 왕조의 교사 공간 및 종묘의 위치와 형태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해냈다.

      • KCI등재

        『金剛經』신앙과 백제 帝釋寺

        소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3 百濟硏究 Vol.77 No.-

        Based on the records of Gwanseeum eungheomgi(觀世音應驗記) that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a - prajna - paramita Sutra) was enshrined in the wooden pagoda of Jeseoksa(帝釋寺) Temple built by King Mu(武) of Baekje in Iksan(益山),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x of Chinese "the Diamond Sutra faith" into Baekje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Jeseoksa Temple. The Diamond Sutra belongs to the Prajna-paramita - sutra, and was first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in China in the early 5th century. By the Liang(梁) Dynast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belief that life could be extended by reciting the Diamond Sutra spread among monks. By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Diamond Sutra faith had spread among the people, and by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it had become more prevalent, and books that recorded the miracles of the Diamond Sutra were compiled. The range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citation and copying of the Diamond Sutra has also been expanded, covering all ranges of life and death. Sui and Tang emperors actively used this belief in the Diamond Sutra in their governance.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when Jeseoksa Temple was founded, the Diamond Sutra faith was widely popular in China. The Diamond Sutra faith in China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Baekje around the end of the 6th century. It would have been Baekje's Samnon(三論) faction(East Asian Mādhyamaka) scholars who returned to Baekje after learning East Asian Mādhyamaka, which valued the Prajuāpāramitā Sutra, in China. I presume that the representative figure is Hyegyun(慧均), who was the author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大乘四論玄義記) and the position of Seungjeong(僧正) of Baekje during the reign of King Mu, and he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undation of Jeseoksa Temple and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On the other hand, since Jeseoksa Temple was a royal temple, King Mu's will must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In other words, King Mu, who expected the political role of the Diamond Sutra faith following the case of the Sui Dynasty, would have finally approved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in Jeseoksa Temple. 본 논문은 백제 무왕이 익산에 건립한 제석사 목탑에『金剛經』을 납입했다는『觀世音應驗記』의 기록을 실마리로, 6세기 후반 중국『金剛經』신앙의 백제 유입과 제석사의 성격 등을 고찰하였다. 『금강경』은 반야계 경전으로, 5세기 초 처음 한역되었다. 5세기 말 ~ 6세기 전기에 이르면,『금강경』을 수지・독송하면 수명을 연장한다는‘『금강경』신앙’이 남조의 승단을 중심으로 유포되었다.『금강경』신앙은 6세기 말에 이르러 민간으로 널리 확산되었으며, 당대에 이르러 관련 영험기가 찬술될 정도로 매우 성행했다.『금강경』독송과 抄寫의 공덕도 범위가 확장되어, 지옥 등 冥界 및 현실 諸難으로부터의 구제 등 생사의 모든 영역에 걸쳐 있었다. 수당대의 황권은 이와 같은『금강경』신앙을 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6세기 말 ~ 7세기 초 제석사가 창건되던 즈음은 중국에서『금강경』신앙이 널리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중국의『금강경』신앙은 6세기 말경 백제로 유입되었으며, 이를 주도했던 것은 반야경을 중시하는 三論學을 배우고 중국으로부터 귀국한 백제 삼론학 승려였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그 대표적 인물이『大乘四論玄義記』의 撰者이자 무왕대 僧正이던 慧均이며, 그가 제석사 창건 및『金剛經』의 납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제석사는 왕실사찰이었으므로『金剛經』의 납입에는 무왕의 의지도 강하게 개입했다고 봐야 한다. 對隋交流를 통해 무왕은 隋 文帝가 통치에『금강경』을 이용했던 사례를 숙지하고,『금강경』신앙의 정치적 역할을 기대하며 제석사에 『금강경』을 납입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남북조시대 ‘관세음불(觀世音佛)’ 연구

        소현숙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본 연구는 중국 남북조시대 ‘관세음불’의 등장에 주목, 그 조성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기 관세음불 유포의 출현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현존하는 남북조시대 관세음불상은 5세기 말에 등장해, 적지만 6세기 동안 꾸준히 제작되었다. 형태는 크게 불상형과 보살형으로 나뉜다. 보살형의 경우, 명문에 ‘부처’로 기록되어 관세음불임을 알 수 있다. 이밖에 문자가 형상을 대체한 것으로 산동성 일대에서 조성된 “觀世音佛” 각석이 있다. 남조의 관세음불 수량이 북조에 비해 매우 적은데, 이는 현존하는 남조 불교 조상의 숫자가 적은 것과 관련이 있다. 남조에서 관세음성불과 관련된 경전이 다수 찬술된 점은 남조에서 관세음불이 다수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북조의 경우 북위, 동위, 북제에서 모두 관세음불이 제작되었다. 분포 지역을 보면, 산동및 낙양 일대, 그리고 하북과 산서 지역까지 중국의 동부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이 가운데서도 산동 동부와 낙양 인근에서 가장 많이 조성되었다. 현재로서는 서위 북주시대의 서부 지역에서 관세음불의 사례를 찾을 수 없다. 관세음불 신앙은 관세음의 성불을 논한 중국 찬술 경전의 유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6세기 승려들에 의해 찬술된 경전의 논소(論疏)를 살펴보면, 관음의 성불 여부, 그리고 관음이 부처인지, 아니면 보살인지에 대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주로 언급된 경전은 『관음수기경(觀音授記經)』, 『관세음삼매경(觀世音三昧經)』, 그리고 『홍맹혜해경(弘猛慧海經. 觀世音十大願經)』이다. 앞의 두 경전은 남조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된 것으로 남조의 관세음불 조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북조의 관세음불 신앙은 좀 더 복잡하다. 불명경류 경전의 영향, 『법화경』의 영향 등이 간취되며, 나아가 중국 찬술 경전인 『홍맹혜해경』의 영향도 보인다. 현존하는 관세음불의 수량은 20여 건으로 매우 적지만, 그 신앙 배경은 상술한 것처럼 상당히 복잡한데, 이는 당시 관음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다시 말해 관세음불의 출현은 관음신앙의 유행을 반영하는 또 하나의 지표라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China,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appeared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and during the 6th century it was produced in small quantity but steadily. The image of “Avalokitêśvara Buddha” can be divided into Buddha costume and Bodhisattva costume, the latter have “Buddha” inscription. In addition, characters have replaced shapes, cliff carvings engraved with “觀世音佛” also appeared. There are only two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Southern Dynasties. However, in the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Chinese translations of Buddhist sutras and publications of pseudo-sutras related to “Avalokitêśvara Buddha”, so we should presume that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in the Southern Dynasties were more popular. In the sixth century Northern Dynasties,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were constantly made. It is widely distributed in Shandong(山東), Henan(河南) Luoyang(洛陽), Hebei(河北) and Shanxi (山西) provinces. Among them,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were most produced in Shandong and Luoyang Area. The popularity of “Avalokitêśvara Buddha” belief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the compilation of Buddhist sutras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In the works of monks active in the sixth century, it is often mentioned that Avalokitêśvara becomes Buddha. The most mentioned sutras in these books are: the Gunyin souji jing(觀音授記經), the Guanshiyin sanmei jing(觀世音三昧經), and the Hongmenghuihai jing(弘猛慧海經). The Guanshiyin sanmei jing and the Hongmenghuihai jing are pseudo-sutras written in China, belong to the so-called the “Chinese Buddhist apocrypha”. The Gunyin souji jing and the Guanshiyin sanmei jing were translated or written separately from those of the Southern Dynasties, so it can be inferred that these two sutra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pread of the “Avalokitêśvara Buddha” statues. On the other hand, the belief in “Avalokitêśvara Buddha” of Northern Dynasties is more complicated. The belief in the Buddha Names,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and the Hongmenghuihai jing all play an important role. Materials related to the “Avalokitêśvara Buddha” are relatively rare, with only more than 20 pieces, but the background of its belief was more complex, which reflected the high attention paid to Avalokitêśvara belief at that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