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f Peak Finding Algorithms for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peech Signal

        소신애(Shin-Ae So),이강희(Kang-Hee Lee),유광복(Kwang-Bock You),임하영(Ha-Young Lim),박지수(Ji Su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12

        In this paper, the peak finding algorithms corresponding to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ACF), which are widely exploited for detecting the pitch of voiced signal, are proposed. According to various researchers, it is well known fact that the estima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F0) in speech signal is not only very important task but quite difficult mission. The proposed algorithm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implemented by using many characteristics – such as monotonic increasing function - of ACF function. Thus, the proposed algorithms may be able to estimate both reliable and correct the fundamental frequency as long as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peech signal is accurate. Since the proposed algorithms may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t can be applied to the real-time processing. The speech data, is composed of Korean emotion expressed words, is used for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The pitches are measur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s.

      • KCI우수등재

        ‘아’ 말음 체언의 통시적 변화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고는 중세 국어 ‘아’ 말음 체언을 유형별로 제시하고, 이들이 경험한 통시적 변화의 과정을 한국어 제 방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세 국어 ‘아’ 말음 체언의 말음절이 현대 방언에서 주로 ‘이’나 ‘우’로 나타나는 경향에 주목하여, 이 같은 변화의 일반적인 방향과 변화의 기제 및 동인을 음운·형태론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개음절 체언의 말음절 모음으로 ‘이’나 ‘우’의 비중이 높은 경향은 어말 위치에서 조음적 노력을 최소화하면서 지각적 변별성은 극대화하려는 화자의 암묵적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이’, ‘우’는 모음 공간상 주변 모음이면서 고모음인 까닭에, 어말 모음으로서 최적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presented the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of Middle Korean by type, and it examined the processes of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m focusing on the dialectal data of Korean. It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endency that the word-final vowels of the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of Middle Korean emerge as "i" or "u" in the Contemporary Korean dialects, and it attempted to establish the general directions of those changes as well as causes and mechanisms of them from the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t interpreted the tendency that "i" or "u" were preferred as the word-final vowels of the declensional stems was caused by the implicit intentions of the speakers which they tried to minimize the efforts of articulation of the vowels and to maximize the perceptual distinctiveness of them in the word-final position. It is supposed that both "i" and "u" are the optimal vowels as word-final vowels in that they are peripheral vowels and high vowels in the vowel space.

      • KCI등재
      • KCI등재

        체언 어간말 ‘>오’ 변화에 대하여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4 No.-

        본고는 중부 방언의 체언 어간말 ‘>오’ 변화의 동인과 기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된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는 특정한 음운론적 조건 환경에 국한되어 일어난 변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자생적 음변화일 가능성이 크다. 둘째, 체언 어간말 ‘>오’는 ‘’의 음운론적 애매성 및 ‘’와 ‘오’ 간의 ‘음성적 유사성’에 기인한 합류이다. 여기에는 어간말 ‘’의 청취 효과 및 변별력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아울러 작용했을 것이다. 셋째, 음성적 차원에서 이 변화는 점진적인 변이음역의 합류에 의해 수행되었을 것이다. 넷째, 어휘적 차원에서 이 변화는 어사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산되었을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차원에서 이 변화는 화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중부 방언에는 ‘>오’뿐 아니라, ‘>으’, ‘>어’, ‘> 아’가 경쟁적 변화로 존재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otiva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declensional stem-final ‘Λ>o’ change in the Central dialect. The main points of my discussion are as below. Firstly, it is highly possible that ‘Λ>o’ is a spontaneous sound change sinc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the change cannot be specifically defined. Secondly, the declensional stem-final ‘Λ>o’ is a merger resulted from the phonological ambiguity of ‘Λ’ and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Λ’ and ‘o’. Besides, the necessity for the enhancement of the auditory effects and distinctiveness of the declensional stem-final ‘Λ’ is also the reason for the merger. Thirdly, in the phonetic dimension, this change would have implemented by the gradual merger of the allophonic ranges of ‘Λ’ and ‘o’. Fourthly, in the lexical dimension, this change would have gradually diffused for morphemes. Fifthly, in the social dimension, this change would have occurred optionally by speakers. Actually, there existed not only ‘Λ>o’ but also ‘Λ>i’, ‘Λ>□’ and ‘Λ>a’ as the competing changes in the Central dialect.

      • KCI우수등재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변화 -함흥 지역어를 중심으로-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7

        이 글에서는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와 그 통시적 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0세기 초엽의 함남 방언 자료와 20세기 중엽 이후의 함흥 지역어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모음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과정 및 진행 중인 변화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시간의 관점에서, 20세기 초엽의 함남 방언은 대체로 /ㅚ, ㅟ/(=/ö, ü/)를 포함한 10모음 체계였으나 점차 /ㅚ, ㅟ/가 비음운화됨에 따라 8모음 체계로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20세기 중엽 이후에는 /ㅡ/(=/ɨ/)의 조음역이 점차 /ㅜ/(=/u/)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음 체계상 /ㅡ/>/ㅜ/의 합류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음성적으로는 /ㅗ/(=/o/)가 저설화되고 /ㅓ/(=/ə/)가 고설화되는 변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ㅔ/(=/e/)와 /ㅐ/(=/ε/)는 비교적 안정적인 대립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50년대 이후 북한에서 이러한 모음 체계의 변화가 급속히 전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ㅡ/>/ㅜ/의 합류가 완료되면 함남 방언의 모음 체계는 /ㅣ(i), ㅔ(e), ㅐ(ε), ㅓ(ə), ㅏ(a), ㅜ(u), ㅗ(ɔ)/의 7모음 체계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vowel system of the South Hamgyeong dialect and its diachronic change. It examined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in the vowel system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in progress by comparing the South Hamgyeong dialect data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Hamheung subdialect data from the mid-20th century. The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pparent time perspective, it is supposed that the South Hamgyeong dialect of the early 20th century was generally a 10-vowel system, including /ㅚ, ㅟ/(=/ö, ü/), but it gradually changed to an 8-vowel system as /ㅚ, ㅟ/ dephonologized. Second,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region of articulation of /ㅡ/(=/ɨ/) has gradually moved toward /ㅜ/(=/u/), which seems to have led to /ㅡ/>/ㅜ/ merging in the vowel system. Phonetically, /ㅗ/(=/o/) has been lowered and /ㅓ/(=/ə/) has been raised, while /ㅔ/(=/e/) and /ㅐ/(=/ε/) maintain a relatively stable opposition.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such changes in the vowel system have developed rapidly in North Korea since the 1950s. Third, upon completion of merging /ㅡ/>/ㅜ/, it is predicted that the vowel system of the South Hamgyeong dialect will be the 7-vowel system of /ㅣ(i), ㅔ(e), ㅐ(ε), ㅏ(a), ㅜ(u), and ㅗ(ɔ)/.

      • KCI우수등재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관한 재고찰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본고는 움라우트의 ‘개재자음 제약’을 위반한 예들을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대해 재고찰하였다. 기존에 예외로 처리되어 온 예들을 정밀히 분석함으로써,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개재자음 제약의 성격을 밝히고, 아울러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 및 해당 규칙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세부 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중부방언의 경우, 개재자음이 없어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중부 방언의 경우, 중자음을 개재하고도 움라우트가 일어날 수 있다. 셋째, ‘ㅈ, ㅊ’을 개재한 ‘쇼쥬>쇠주’, ‘단츄>댄추’와 같은 예를 고려할 때, 움라우트 규칙의 적용 층위는 기저 층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움라우트 규칙은 수의적 규칙이다. 때문에, 해당 규칙을 지배하는 절대적 제약이란 있을 수 없다. ‘개재자음 제약’ 또한 ‘위반 불가능한 제약’이 아니며, 이것은 어디까지나 ‘위반 가능한 제약’으로서 하나의 ‘경향’을 반영할 뿐이다. 다섯째, 움라우트에 관여하는 일련의 제약들은 표면형에 대한 제약인 ‘표면 적형 제약’이다. 이 같은 제약들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움라우트 규칙 적용상의 변이가 출현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exception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of the umlaut rul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It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and determined the application level of the rule. Besides, it discussed various conditioning factors of the umlaut rul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ly, umlaut can occur without an intervenient consonant in the Central dialect. Secondly, umlaut can occur even if the central consonants intervene between assimilated vowel and assimilator in the Central dialect. Thirdly, considering the examples such as syoʦyu>söʦu "soju", tanʦʰyu>tɛnʦʰu "button", it is supposed that the level to which the umlaut rule apply is the underlying level. Fourthly, the umlaut rule is an optional rule. Thus, it cannot exist that the absolute constraint which governs the umlaut rule.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is not an "inviolable constraint" but a "violable constraint" which merely reflects a "tendency". Fifthly, a set of constraints which are involved in umlaut are the "Surface Wellformedness Constraints". The vari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umlaut rule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among the constraints.

      • KCI등재

        구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성·음운론적 변이 -함북 육진 방언의 음절말 유음의 변이를 중심으로

        소신애 ( So Shin-ae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4

        이 글은 함북 육진 방언의 구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절말 유음의 음성·음운론적 변이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 검토한 육진 방언 노년층 화자의 발화에서는 음절말 탄설음의 실현이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둘째, 이 화자의 발화에서는 음절말 설측음의 실현 또한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셋째, 이 화자의 발화에서 음절말 유음의 두 변이음 [ɾ]과 [l]은 동일한 조건 환경에서 중복하여 출현하는 자유 변이의 관계에 있다. 이 같은 음절말 유음의 공시적 변이는 이 방언에서 음절말 유음 [ɾ]이 미파화되어 온 통시적 변화의 과정을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이러한 점진적인 음 변화의 과정은 이전 시기의 국어가 겪어 온 음 변화의 과정과도 유사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유음이 음절말에서 탄설음으로 조음될 때 유음의 약화·탈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다섯째, 유음의 약화·탈락은 주로 중자음 앞에서 일어나되, 간혹 변자음 앞이나 휴지 앞에서 약화·탈락이 일어나기도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variation of the syllable final liquid observed in a narrative in the Hambuk Yukjin dialect.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ization of the syllable final flap is widely observed in the utterance of the elderly speaker in the Yukjin dialect examined in this paper. Second, in the speaker's utterance, the realization of the syllable final lateral is also widely observed. Third, in the speaker's utterance, the two variants of the syllable final liquid, [r] and [l] are in a relationship of free variation that overlap in the same conditions. Such a synchronic variation in the syllable final liquid is interpreted as showing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in which syllable final liquid [ɾ] has been unreleased in this dialect. Furthermore, this process of the gradual sound change seems to have been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sound change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experienced in the previous period. Fourt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liquid will be weakened and deleted when it is articulated as a flap in the syllable final position. Fifth, the weakening and deletion of a liquid mainly occurs in front of the central consonant, but sometimes the weakening and deletion occurs in front of the peripheral consonant or pause.

      • KCI등재

        평안 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소신애(So Shin-Ae)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본고는 실험음성학적 관점에서 평안 방언의 모음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안 방언, 그중에서도 평양 지역어의 모음을 음향음성학적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조사되지 못한 노년층(80-90대) 제보자의 자료를 대상으로, 평안 방언의 단모음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단모음의 포먼트(F1, F2, F3)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안 방언의 모음 체계가 /ㅣ, ㅔ, ㅐ, ㅡ, ㅏ, ㅜ, ㅗ/의 7모음 체계임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ㅡ/와 /ㅜ/,/ㅔ/와 /ㅐ/의 합류를 통해, 이는 점차 /ㅣ, ㅔ, ㅏ, ㅜ, ㅗ/의 5모음 체계를 향해 변화해 가고 있음을 언급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중부 방언(서울 및 경기지역어)과의 비교를 통해 평안 방언 각 모음의 정확한 음가를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vowels of the Pyeong’an dialect from the viewpoint of the experimental phonetics. It will analyse the vowels of the Pyeong’an dialect, specifically the Pyeong’yang subdialect in terms of the acoustic phonetics. It will investigate acoustic qualities of the monophthongs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by the speakers mostly in their 80-90s. It will show that the Pyeong’an dialect has a 7 vowel system(/ㅣ(i), ㅔ(e), ㅐ(?), ㅡ(?), ㅏ(a), ㅜ(u), ㅗ(?)/) 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rmant(F1, F2, F3) measurements. Furthermore, it will mention that the current 7 vowel system is under the ongoing change to a 5vowel system(/ㅣ(i), ㅔ(e), ㅏ(a), ㅜ(u), ㅗ(?)/ by mergers of /ㅔ/(e) and /ㅐ/(?) as well as /ㅡ/(?) and /ㅜ/(u). Besides, this paper will describe the accurate phonetic values of the vowels of the Pyeong’an dialect comparing to the vowels of the Central dialect.

      • KCI우수등재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4

        이 글에서는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지역 방언을 대상으로 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최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 및 과제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론, 연구 주제,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사를 간략히 검토한 후, 2000년대 이후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 동향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역 방언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 지역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이 같은 논의는 지역 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재확인하는 한편, 지역 방언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of Korean and proposed future tasks. It explor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by examining the achievements of research in regional dialects and analyzing recent research trends. After a brief review of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Korean regional dialec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aterials, the regional dialect research trends were described around discussions since the 2000s. Based on this, it sought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Such discussions on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on the regional dialects of Korean are expected to reaffirm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regional dialect research,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for regional dialect research.

      • KCI등재

        영어권 국가에서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은 그간 영어권 국가에서 이루어져 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미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요 논저를 중심으로 한국어 음운론에 대한 기술 내용을 살펴보고, 그러한 기술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1950년대 이후 북미 지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한국어 음운론 관련 논저를 연구자별로 개관하고, 현대 한국어(중앙어)의 음운 체계 및 음운 현상에 대한 기술을 주요 쟁점별로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어 음운사 및 방언 음운론에 관한 논의 또한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지평을 세계로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study on Korean phonolog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n Korean phonology in Euramerican countries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I will discuss the adequacy of the description on Korean phonology focusing on the studies in North America since the 1950s. Firstly, I will outline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researchers. Next,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f the phonological systems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Korean(Central dialect) by main issues. Lastly, I will briefly examine the studies on Korean historical phonology and Korean dialectal phonology. It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that we can find the ways to broaden the horizon of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to the world through this kind of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