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둔스 스코투스와 왕양명의 철학적 비교 -실재론적 주의주의의 관점에서-

        소병선 ( So Byung-seo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8 존재론 연구 Vol.18 No.-

        둔스 스코투스와 왕양명은 주의주의의 철학자들로서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스코투스는 토마스가 지성의 제일대상으로 사물의 형상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면서, 지성의 제일대상으로서 존재로서의 존재를 주장한다. 왕양명도 사물에 리가 있다는 주희의 격물론을 비판하면서 심즉리를 주장한다. 왕양명의 심즉리는 어떤 의미에서 지성의 제일대상이 리(理)라고 말하는 것과 같고, 또 이 리는 서양철학의 용어로 치환하면, 존재(Esse)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에서 심즉리와 지성의 제일대상으로서의 존재는 서로 치환될 수 있다. 둘째, 스코투스는 지성의 직관적 인식을 강조한다. 지성의 직관적 인식은 인간이 지닌 자연적 능력으로서 인간에게 신의 인식으로 가는 길을 열어준다. 마찬가지로 왕양명도 마음의 양지설(良知說)을 주장하는데, 이 양지는 마음의 선천적 인식능력을 의미하고, 이 양지는 곧 천리 (天理)와 직결된다. 셋째, 스코투스는 존재의 일의성을 주장한다. 스코투스는 존재의 일의성 개념을 통해 무한한 신과 유한한 피 조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와 유사하게 왕양명도 양지즉천리(良知卽天理)를 주장하는데, 그의 양지즉천리는 어떤 의미에서 스코투스의 존재의 일의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다시 말해, 왕양명이 존재의 일의성과 같은 개념을 명시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양지즉천리는 이미 그 이론 속에 존재의 일의성을 전제하고 있다. 넷째, 토마스가 의지에 대한 지성의 우위를 강조함으로써 주지주의 철학의 전통을 이어나간데 비해, 스코투스는 지성에 대한 의지의 우위를 주장함으로써 주의주의 철학의 전통을 이어 나갔다. 이와 마찬가지로 주희가 선지후행(先知後行)으로서 의지보다는 지성을 강조함으로써 주지주지 철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반해, 왕양명은 지성의 발동 이전에 선행하는 의지의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선지후행이 아닌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였다. 그의 지행합일론은 겉으로 보면, 지성과 의지를 동치시킨 것으로 보이지만 안으로 파고들면, 실은 스코투스처럼 지성에 대한 의지의 우위라는 주장을 함의하고 있다. Duns Scotus and Wang Yang-ming have so similar philosophies as voluntarists. First, Scotus maintains that the primary object is being as being, criticizing Thomas's argument that the primary object of the intellect is the form of things. Wang Yang-ming argues that the mind(心) is the principle(理),criticizing the investigations of things of ChuHsi that there is the principle in things. Here, that the mind is the priciple, and being as the primary object of the intellect are the same. Second, Scotus empathize the intuitive cognition of the intellect. It opens the way to go to God, because of the intuitive cognition of the intellect as our natural faculty. Similarly,Wang Yang-ming insists the good cognition(良知) of the mind, which means the ability of the inborn and natural cognition and also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Heaven Principle(天理). Third, Scotus maintains the univocity of being. He explains the relations of God and creatures by the univocity of being. Similarly, Wang Yang-ming insists that the good mind is the Heaven Principle(良知卽天理), which presupposes, in a sense, the univocity of being. Fourth, Scotus insists the predominance of will on intellect. And also Wang Yang-ming maintains that know ledge and action are the one and same(知行合一),which means intellect and "will coincide together. But considering it more deeply, Wang Yang-ming connotes that the will predominates the intellect because the will precede the intellect. Therefore, Duns Scotus and Wang Yang-ming as voluntarists go to the same way of philoso phy together.

      • KCI등재
      • 주자학과 토미즘의 인식론 비교

        소병선(So Byung-S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5 인문학연구 Vol.9 No.-

        주자학(12C)과 토미즘(13C)은 동·서양의 중세기 철학으로서 그 인식론적 사유 지평에 있어서 어떤 공동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이들의 철학이 자연 또는 존재에 대한 경이를 그들의 철학적·인식론적 사유의 단초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이성적 능력을 높이 평가한다. 그래서 마음 또는 영혼의 지성적 능력은 주자학과 토미즘의 인식론의 핵심에 위치하고 있다. 주희와 토마스 아퀴나스는 실재하는 감각 사물을 그들의 인식론적 사유의 출발점으로 여겼다. 다시 말해 인간의 이성과 실재하는 사물과의 상호작용과 일치를 통하여 비로소 존재하는 세계의 신비를 인간이 자각하고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주희의 格物致知論과 토마스의 감각적·지성적 인식론은 이성과 실재하는 사물과의 일치 속에서 드러나는 궁극적 존재의 인식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 인식의 정점에 태극 또는 신이 있다. 결국 주자학과 토미즘의 인식론은 감각적 사물에 대한 지각에서 시작하여 마음 또는 영혼의 이성적 인식을 통해 감각 사물에 내재해 있는 보편자, 즉 理 또는 형상(forma)을 파악하고, 이 보편자를 통하여 최고의 보편자인 태극 또는 신에 대한 인식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사유의 인식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주자학에서는 이런 인간 이성의 인식과 노력을 통해 궁극적으로 天人合一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지만, 토미즘에서는 유한 존재자인 인간이 어떠한 경우에도 그 자체로 무한 존재자의 본질에 이를 수는 없기 때문에 인간 이성의 인식과 노력으로는 신의 존재에 대한 인식까지만 도달할 수 있을 뿐이며 궁극적으로 神人合一은 불가능하다고 보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Chutzuism and Thomism have the common foundation in the epistemological thought-horizon as the philosophies in the middle age of the East and West. Their philosophies regard the wonder of nature or being as the clue of their philosophical and epistemological thought. Above all,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 the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highly. Accordingly, the intellectual ability of mind or soul places on the center of the theory of knowledge in Chutzuism and Thomism. By the way, these intellectual abilities can have meaning in the relations of the real things with them. For if nothing exists, the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can have no use. Therefore Chuhsi and Thomas Aquinas regard the real things as their start-point of the epistemological thought. Namely, human can perceive or conceive the mystery of real world through the interaction and unity between intellect and the real thing. So the theory of knowledge of Chutzuism and Thomism goes for the knowledge of the Ultimate Being after knowing the unity of the intellect and the real thing. There is the Ultimate Being(太極 or Deus) on the high-top of the human knowledge. After all, there is the similarity of Chutzuism and Thomism in that their philosophies start at the sensitive perception on the real things and then in those conceive the principle(理) or universal(forma), ultimately go for the Great Ultimate(太極) or God(Deus) as the Universal of universals. And yet there is the difference of Chutzuism and Thomism in that the unity of God with human is possible in Chutzuism, but is impossible in Thomism.

      • 주자학과 토미즘

        소병선(So Byung-Se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2 동서사상 Vol.12 No.-

        주자학과 토미즘의 철학적 유사성은 두 철학의 동일한 전제에서 기원한다. 이 전제는 주자학과 토미즘이 우주만물의 제일원인으로서 태극과 신을 상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토미즘에서의 신은 위격적인 우주의 창조자이지만, 주자학에서의 태극은 토미즘의 신처럼 위격적인 존재는 아니다. 우주만물이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유래하기 때문에 주자학과 토미즘이 바라보는 세계구조 또한 유사하다.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으로부터 리와 존재를 분여받았다. 하지만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기와 본질의 다름에 의해 차등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주만물 중에서 인간은 가장 빼어난 존재자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기와 본질이 다른 어떤 존재자보다도 좋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만물과 모든 존재자들은 각각 태극과 신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한 가족이나 다름없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러한 만물이 선하다고 간주한다. 왜냐하면 태극과 신이 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세계에는 분명히 악이 존재한다. 주자학과 토미즘은 이 악을 선의 결핍으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주자학과 토미즘은 인간이성이 이 세계의 모든 존재자들은 인식하고, 존재와 선을 일치시키려고 노력하는 하는 이성적 의지의 철학이다. 즉 주자학과 토미즘은 실재론적 이성주의의 철학이다. The similarity of Chutzuism and Thomism has originated from the same philosiphical presupposition of two philosophies. This pilosophical presupposition of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First Cause of Universe. But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Chutzuism and Thomism, because God is the Personal Being as the Creator of Universe in Thomism,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is not the CreatOr of Universe in Chutzuism. Nevertheless the Great Ultimate(太極) included in the Heavenly God(上帝) implicitely. Accordingly,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re the Absolute and the Ulitimate Being. All things in this world have the similar structures, because they originate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or God as the First Cause. Therefore all finite beings originate from the Infinite Being. Accordingly, all things are given esse or li(理) from God 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yet all things varies respectively as the degree of essentia or chi(氣) given by the First Cause. So, there are the various beings in this world. Nonetheless all things in this world ate the only Family.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human reason as the esssentials of human. So two philosophies could expla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by human reason. In this world, Chutzuism and Thomism considered all things and all beings as good. And the goodness of these all things and beings has originated from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For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God as the greatest goodness gave their goodness to all things and all beings respectively. And yet there is evil necessarily in this world. Chutzu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defect of Ch"i(氣), and Thomism considered this evil as the privation of the good or the privation of being. Therefore according to Chutzuism and Thomism, nature is good, but evil is never nature because of the privation of the good. Chutzuism and Thomism are the philosophies of the rational will that they cognize being, and then go for the good. Namely, Chutzeism and Thomism are the realistic intellectualism.

      • KCI등재

        공공성에 관한 동·서철학적 고찰

        소병선 ( So Byung-s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서양의 근대 이전의 공과 사, 특히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와 로마의 공화주의에서의 공사관은 동양의 전통 공사관과 선공후사의 측면에서 서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서양 근대이후의 공사관은 공과 사를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으로 확연히 구분하면서, 이 양자를 서로 대립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또 어떤 의미에서는 서양 근대 이후의 공사관이 선사후공의 관점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양의 공사관과는 다르다. 공공성은 공과 사의 문제에서 출발한다. 공과 사의 관계는 사에서 시작하여 공으로 나아간다. 이때 사는 사사로움, 즉 자신의 사익이 배제된 올바른 상태, 즉 인과 의에 기초한 사이다. 이러한 사만이 온전히 공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공과 사의 관계에서 공이 예에 바탕 할 때, 비로소 공공으로 비상하게 된다. 이때 공공은 나와 타자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며, 이것은 무한히 확장되어 나아가는, 즉 사회, 국가, 전全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이다. 공공성은 내가 타자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이며, 타자 또한 나에게 책임의식을 가지고, 양자가 공적 합의에 도달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성은 자신에게서 비롯하여 사랑과 정의를 전체 세계에 실현하는 것이다. 이때 공공성은 바로 사랑과 정의의 실천원리이다.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traditional eastern public-private(公-私) views and the pre-modern western public-private views, especially those of ancient Greeks and Rome republicanism which takes the private after the public.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eastern public-private views and the post-modern western public-private views. That is, the western public-private views are as in the following: they categorize them as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and conflict with them at the same time, and further take the point of view that the public is after the private(後公先私). The publicness starts at the problem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public-private relations proceed from the private to the public. At this point, the private is the one based on the benevolence(仁) and the righteousness(義). This private only can proceed toward the public. In this rel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public can make a leap forward the publicness only if the public is based on the courtesy(禮). In this case, there is the publicness between me and the other, and further it goes for societies, nations, and at last the entire world. The publicness means that I have the responsibility of others and also they have that of me, and thus there are public agreements between me and them. Therefore the publicness starting from me is realized the benevolence(仁) and the righteousness(義) in the entire world. In this case, the publicness is the very practical principle of the benevolence(仁) and the righteousness(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