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스텐트(Solitaire Stent)의 유용성

        성용재,김선일,김종덕,김용완,전주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2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서론: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어 자가팽창형 스텐트 (Solitaire Stent)를 이용한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허혈성 뇌졸중으로 중재적 시술을 받은 74명에 대한 자가팽창형 스텐트 (Solitaire Stent)를 사용 유무와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통한 혈전제거술의 성공률을 분석하였고, EMR의 경우 실제 검사시간과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어 PACS를 통한 검사 시간과 Urokinase (UK)사용 및 Balloon이나 Stent 사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허혈성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Solitaire Stent 사용군의 혈전 제거는 Success가 27명, Near complete가 11명, Failure가 5명이었으며, 대조군의 혈전 제거는 Success가 6명, Near complete가 23명, Failure가 2명이었다. 그러나 검사시간의 경우 Solitaire Stent 사용군은 평균 46.13분, 대조군은 평균 40.67분으로 Solitaire Stent 사용군의 검사시간이 길었다. UK사용 유무는 Solitaire Stent 사용군의 경우 19명, 대조군의 경우 26명으로 대조군이 월등히 많이 사용하였고, Balloon 및 Stent의 사용은 Solitaire Stent 사용군이 9명, 대조군이 12명이었다. 결론: 급성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 효과적인 치료법은 막힌 혈관을 재개통 시켜 뇌혈류상태를 조속히 정상화시켜 주는데 있어 Solitaire Stent는 기존의 시술기구보다 혈전 제거율이 높아 혈류 재개통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피폭선량감소를 위한 Whole Body shields 사용에 대한 고찰

        성용재(yong jae Seong),박형민(hyeong min Park),김종덕(jong deok Kim),김경묵(kyeong moog Kim),최남길(nam gil Choi)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0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3 No.1

        Purpose Recently, with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who require interventional diagnosis or treatment with expanding field of interventional procedures, radiation exposure is of great interest to those who operate interventional procedur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ation dose in table distance and operator distance using Whole body shields for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Material and Methods Philips Allura Xper unit was used with the following protocols: 0.5 ㎜ Pb (60 x 75㎝), collimator (40 x 40㎝ field), SID (90㎝), water phantom (plasty glass, 30 x 40 x 25㎝). Dose measurement was done by using Radical corporation (Radiation monitor controller, model 2026 made in USA) and Electrometer/Ion chamber. Radiation doses were measured 3 times each in 50cm, 100cm and 150cm distance from table and operator, with the described phantom according to the usage of Whole body shields. Measure change on fluoroscopy : R/h → mR/min → μGy/min Measure change in record dose : mR/min → μGy/fps, 1mR = 0.0087mGy Results Table 1. Comparision of radiation dose with the usage of shield and distance on fluoroscopy (10 sec)(표) Table 2. Comparison of radiation dose with the usage of shield and distance on DSA (2fps)(표) Conclusion In comparison of radiation dose with the usage of whole body shield, it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 in 50cm distance from table on fluoroscopy (0.03μGy/min → 0.00μGy/min) and 83% decrease in 50cm distance from operator on DSA (0.02μGy/min → 0.00μGy/min). However, avoidance of unnecessary fluoroscopy and DSA is needed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to operators, patients and persons related to operation because there is a limitation in perfect radiation shield.

      • Fenestrate stent-graft를 이용한 치료법 : 대동맥류 환자를 중심으로

        김선일,성용재,김종덕,김용완,전주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1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서론 대동맥에 흔히 발생하는 동맥류는 신동맥 이하에서 빈발하며 이는 인조혈관 스텐트를 이용하여 치료가 가능하였으며 복강동맥이나 상장간동맥 및 신동맥 근처 대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류는 일반적으로 수술적인 방법이 주가되었다. 하지만 1996년 박재형 교수는 동맥류의 형태나 정상혈관의 위치에 따라 인조혈관 스텐트의 형태를 다양하게 주문 제작하여 만든 Fenestrate stent-graft를 처음으로 보고 함으로써 대동맥에 발생한 동맥류의 위치와 관계없이 정상혈관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본원에서는 복강동맥과 상장막간동맥 및 신동맥 근처 대동맥에서 발생한 동맥류에 있어 수술적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비침습적치료법으로 fenestrate stent-graft를 이용한 인조혈관 스텐트 삽입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보고 증례 : 71세/남자 흉부대동맥에 박리에 의한 동맥류와 복부대동맥에 가성동맥류가 관찰되어 인터벤션 의뢰 시술방법 환자를 바로눕힌자세에서 양쪽 대퇴동맥을 천좌 한 후 왼쪽 대퇴동맥을 통해 시행한 aortogram에서 lower descending thoracic aorta에 약 3cm aneurysm 발견. 오른쪽 대퇴동맥을 통하여 thoracic aneurysm에 stent-graft (65 mm x 26 mm)를 deployment 함. Follow-up angiogram에서 thoracic aorta의 aneurysm은 보이지 않음. SMA 기시부의 abdominal aorta의 약 2cm aneurysm은 오른쪽 대퇴동맥을 통하여 주문 제작한 fenestrate stent graft 60 x 26mm deployment 하였음. F/U angiogram에서 abdomen aorta aneurysm은 막혀있으며 인접한 정상혈관의 개통에도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음. 결론 및 고찰 대동맥에 흔히 발생하는 동맥류는 신동맥 이하에서 빈발하며 이는 인조혈관 스텐트를 이용하여 치료가 가능하였으며, 복강동맥이나 상장간동맥 및 신동맥에 발생하는 동맥류는 일반적으로 수술적인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다. 하지만 fenestrate stent-graft는 철망둘레를 덮고 있는 인조혈관의 일정부분 틈을 내어 정상혈관의 통로를 만들어 혈류를 억제하거나 침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동맥류의 혈류만 차단하는 기구로 동맥류의 형태나 정상혈관의 위치에 따라 종류와 형태를 다양하게 주문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복강동맥과 상장막간동맥 및 신동맥 사이에 발생한 동맥류에 있어 수술적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비침습적치료법으로 fenestrate stent-graft를 이용한 인조혈관 스텐트 삽입술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사료된다.

      • 간 이식 환자의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에 변형스텐트와 플러그를 이용한 색전술(증례보고)

        박정현,노상현,김선일,성용재,박혁,김용완,범희남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9 No.1

        서론: 문맥압항진증의 합병증인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의 치료방법으로 방사선 중재적 시술을 통하여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으로의 문맥혈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스텐트와 플러그를 이용하여 문맥압을 감압시키는 혈관색전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간경변으로 인해 간이식 수술을 하였던 환자로 Spleno-renal shunt에 의해 문맥압이 높아진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하였다. 결과: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에 Hercules vascular stent(S&G BIOTECH INC.)24x60mm와 Amplatzer vascular plug4 device(St. Jude Medical)-8mm를 설치하였으며, 그 결과 Follow up portography에서 Spleno-renal shunt로의 혈류(Blood flow)는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한 후 시술을 종료하였고 시술 중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간문맥항진증의 이차적 합병증인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을 치료하기 위한 방편으로 정맥류 및 단락 부위의 직접결찰 등 수술적 방법이 아닌 비침습적인 방사선중재적 인터벤션시술을 통하여 환자의 고통감소 측면과 수술의 위험성에서 조금 더 부담을 줄일 수 있었고, 방사선중재적 시술방법이 큰비신단락(Large spleno-renal shunt)치료에 있어 통상적인 방법이나 최종적인 치료방법은 아니지만, 큰혈류(Large blood flow)를 막아야 하는 유사한 상황에서 적절한 색전물질(Embolic material)을 찾기 어려울 때, 혈관계질환의 치료에 이용되는 스텐트와 플러그를 이용하여 시술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 중재적 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시 Vesselnavigator의 유용성 평가

        노상현,박정현,김선일,성용재,박혁,김용완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7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0 No.1

        목적 : 중재적 시술 중에서 복부 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의 혈관내동맥류 재건술 (EndoVascular aneurysm repair)을 중심으로 Vesselnavigator사용 유무에 따라 Air-kerma(mGy)값, Total fluoroscopy time(min), 사용한 조영제 용량(㎖)의 변화를 통해 Vesselnavigator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3월 31일부터 2017년 2월 21일 까지 복부 대동맥류(AAA)로 진단되어 혈관내동맥류재건술(EVAR)를 시술 받은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성은 52명, 여성은 8명으로 연령 분포는 50 - 88세로 평균 연령은 약 71.31세 였다. 혈관내동맥류 재건술(EVAR)시 Vesselnavigator를 사용 한 30명과 Vessenavigator를 사용하지 않은 30명의 Air-kerma(mGy)값, Total fluoroscopy time(min), 사용한 조영제 용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결과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을 이용하여 t-test검증하였다. 결과 : 중재적 시술중에서 복부 대동맥류(AAA)의 혈관내동맥류 재건술(EVAR)을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Vesselnavigator 사용 유무에 따른 Air-kerma(mGy)값, Total fluoroscopy time(min), 사용한 조영제 용량(㎖)을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ir-kerma(mGy)값은 Using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331.2884mGy)이 None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251.3597mGy)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211) (2) Total fluoroscopy time(min) 값은 Using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30.37min)이 None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22.23min)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34) (3) 조영제 사용량(㎖)은 Using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127.6667㎖)이 None Vesselnavigator일 경우 평균값(162.6000㎖) 보다 21.5% 정도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Vesselnavigator를 이용하여 조영제 사용량이 줄어 들었다는 이점이 있다는 것을 토대로 환자의 시술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령의 나이와 기존에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관조영술이 불가능하거나, 다량의 조영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도 혈관내동맥류 재건술(EVAR)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