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남대 방문객 집단별 동기와 만족도 간 관계 분석

        성보현,최영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visiting and the satisfaction of Chung Nam Dae which is the leading tourist attraction in the Chungbuk region. We obtained 200 validated samples each of the local resident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the tourists from outside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with experience of visiting Cheongnamdae through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overall sample, local residents, and tourist and that the natural relaxation and conveni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in all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Four motivational factors, including natural relaxation, convenience, historicity, and relationship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for the local residents while two motivational factors, including natural relaxation and convenience,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for the touri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esen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대표 관광목적지인 청남대의 방문동기와 만족도 간 영향관계에 있어 지역주민과 관광객 집단 간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구성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청남대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충북권 지역주민200부, 충북 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관광객 200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동기와 만족도간 영향관계는 전체표본, 지역주민, 관광객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연휴식성과 편리성 요인이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와 만족도 간 영향관계에 있어 지역주민은자연휴식성, 편리성, 역사성, 관계성 등 4개 동기요인, 관광객은 자연휴식성, 편리성 등 2개 동기요인이 만족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후속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 관광자원으로서 호수의 개발방향 수립을 위한 여건분석 지표개발

        성보현 충북연구원 2016 지역정책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x for circumstance analysi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akes as a tourism resource. For this, based on the first preliminary index arranged through literary research, it was developed through a four stage systematic process of expert counsel meeting, Delphi study, and development of index. Upon conducting Delphi studies on two separate occasions, the index contained five major categories such as general status of lake, tourism resources, tourism infrastructure, regional capacities, and tourism development investment environment, and under it were 15 sub-categories and 62 item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conclusion, five policy projects were presented such as development of circumstance analysis of the lake, issuing of lake white pages and regular updates, systematic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lake statistics, diagnosis index monitoring and continuous supple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diagnosis index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network systemiz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ourism policy development as it established the basic system for development circumstance analysis for promoting lake environments in the recent tourism market and government policy environment, while also presenting practical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used directly by the administration. 본 연구는 관광자원으로서 호수의 개발방향 수립을 위한 여건분석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정리한 1차 예비지표를 토대로 전문가 자문회의, 델파이 조사, 지표개발 등 전체 4단계의 체계적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총 2회에 걸쳐 진행된 델파이 조사 결과, 지표는 호수 일반현황, 관광자원, 관광인프라, 지역역량, 관광개발 투자환경 등 5개 대분류에서 15개 중분류, 62개의 소분류 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조사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호수 여건분석 매뉴얼 개발, 호수 백서 발간 및 주기적 갱신, 호수 단위 통계의 체계적 생산 · 관리, 넷째, 진단 지표 모니터링 및 지속적 보완, 진단 지표 관리 행정의 전문성 및 네트워크 체계화 등의 5 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의 관광시장 및 정부정책 환경에서 호수 관광 활성화 여건 진단 지표에 대한 기본 체계의 확립과 함께 행정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광정책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활문화활동 참여의도 영향요인 분석 : 제천시민을 대상으로

        성보현 충북연구원 2019 지역정책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e-in-life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ee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400 residents in the Jecheon city,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 culture activities. Attitud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Hypothesis 1 was not suppor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at explains that the correspondence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can be reduced by factors such as dynamics and norms within the group when belonging to a group, And that it might have been perceived as a group activity in which the group participated in the local residents' view.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theoretical aspect in that it has attempted a fundamental discussion on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who are lacking in the field of life culture activities that focused on supply and distribution of related facil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planning action theo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al aspects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의 틀 안에서 생활문화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를 근간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감과 참 여의도 간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천시 동지역 주민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통제감은 생활문화활동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와 참여의도 간 영향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지 않았다. 집단에 속할 경우, 집단 내부의 역학, 규범 등의 요인이 작용하여 태도와 행동 간 일치성이 낮아질 수 있음을 설명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공공에서 공급되는 생활문화공간과 프로그램은 지역주민 입장에서 집단이 참여하는 단체활동으로 인식되었을 개연성으로 추론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시설의 공급 및 분포에 집중했던 생활문화활동 분야에서 부족했던 수요자의 참여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를 계획행동이론의 틀 안에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측면의 의의를 지닌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생활문화활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 일반화를 위한 후속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친환경농업 사전지식이 지역특산물의 지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9 청원생명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성보현,최영석,김미옥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about eco-friendly agriculture 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to local special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knowledge, perceptual value, and literature research on loyalty. In addition,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the Cheongwon Life Festival, a representative regional specialty festival in Cheongju, Chungbu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Hypothesis 1> that the prior-knowledg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ffects perceived values for local specialties was partially adopted, and the prior-knowledg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of local specialties. Moreover, <Research Hypothesis 2> that the perceived value of local specialty affects loyalty was partially adopted, and it was shown that the local value of local special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knowledge, perceived values, and loyalty, and provided basic data for foster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festivals. In addition to local specialty festivals, research target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and agricultural products fairs will help broaden understanding in terms of promoting and marketing local specia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