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Darwinism in Modern Korea

        Sung, Minkyu(성민규) 한국수사학회 2013 수사학 Vol.0 No.18

        본 논문은 최근 한국의 근대성에 관한 토론에서 ‘사회진화론’이런 용어가 사용되는 방식에 관해 토론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서 주목하는 것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의 한국 개화주의자들의 정치사상에서 진화론의 주장이 사용되는 방식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논의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당시 동서양담론과 개화주의를 설명하는데 있어 역사학자들의 모호하며 정교하지 못한 진화론의 사용은 진화론에 관한 중요한 학문적 토론을 오히려 저해한다고 주장한다. 이 혼란스러운 진화론의 사용, 특히 ‘사회진화론’의 적용에서, 다윈의 진화론이 당시 서구 제국주의의 이데올로기의 단편으로 취급되어버리는 수사적 과정에 놓이게 된다. 사회진화론에 대한 개념 정의와 성찰적 토론을 통해서 과학과 수사학의 연관성을 토론하고, 한국과 동아시아에서 근대성의 문제와 과학적 담론의 수사적 작용 간의 학문적 탐색을 시도한다.

      • 커뮤니케이션-컴퓨테이션 경계긋기

        성민규 ( Minkyu Sung ) 울산과학기술원 인문연구소 2022 포스트휴먼의 조건: 다학제적 탐색 Vol.1 No.0

        이글은 인간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컴퓨터연산(computation)과 동일시하고 정당화하는 일련의 공학적,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탐색한다. 이 접근에서는 인간 감정표현의 발생원리를―인종, 종족, 문화, 성별, 교육, 사회적 훈련 등의 맥락적 요소들을 가로질러 작동하는―보편적인 인간 신체의 생리활동에 둔다. 그 대표적 연구로서 로잘린드 피카드의 “정서적 컴퓨팅”과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경생리학적 뇌연구를 논한다. 언어와 의식의 문제를 경계긋기(demarcation) 하는 기술적 사고(technical reasoning)의 과학레토릭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이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문화와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역량의 확대와 심화를 제안한다.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the demarcation of computation in engineering and neurophysiological research on emotions and affect. The basic ideas of emotion and affect reference the universal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from which the varied emotions and affects of human races, ethnicities, cultures, and genders arise.. This sort of technical reasoning is to be found in Rosalind Picard’s work, “Affective Computing,” and Antonio Damasio’s various works on brain science. My rhetoric-of-science analysis suggests the urgency of reclaiming an alternativ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 냉각 팬 형상을 고려한 저압전동기 냉각시스템의 수치해석 및 실험적 연구

        성민규(Minkyu Sung),이종인(Jongin Lee),장충만(Chungman Jang),정준영(Junyeong Jung)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Cooling systems in industrial moto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motor performance and efficiency. TEFC (Totally Enclosed Fan Cooled) motor is a form in which internal heat is discharged through fins attached to the frame. Flow generated from an external cooling fan is discharged to the motor frame to pass between the frame and the fin to cool the motor.In this pa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ow according to the cooling fan shape on the motor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 on 180Fr. 4P 30㎾ TEFC motor.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a commercial CFD Software Star-CCM+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a cooling fans manufactured using 3D print technology.

      • KCI등재

        벌거벗은 사유에 놓인 우울한 자아

        성민규(Minkyu S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2

        이 글은 한병철이 말하는 성과주체의 우울한 자아를 논한다. 한병철의 성과주체 논의의 기저에 놓인 전제들을 분석하고 이것이 현대 자본주의의 의학ᐨ과학적 지식의 실천과 어떠한 연관성에 놓일 수 있는지 토론한다. 이를 통해 한병철의 성과주체에 대한 병리적 진단은, 주체성 구성에서 인간 사유를 특권화함으로써(그의 ‘주권적’ 사유 강조), 성과주체의 도덕적 책임을 이상화시키고,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성과사회(피로사회, 투명사회)에서 사회적 개인들이 주체화되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이해하지 못함을 논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신체와 마음의 존재 양식으로서 ‘나’를 둘러싼 끊임없는 서사화 과정과 그것을 통한 담론구성이 내가 살아가는 삶의 기술(techniques)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분석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과학ᐨ의학의 수사학을 토론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ngage in the idea of the depressed self in what Han Byeong-cheol termed “Achievement-driven Society,” presenting the underlying presumptions of the idea and connections to medical and neuro-scientific practic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agnosis. In so doing, I argue that Han’s unquestioned adoption of the medical term, depression, to ascribe the pathology of a neo-liberal subject fails to analyze the way in which the neo-liberal subject is put to work with moral requirements for social success. I suggest that a rhetoric-of-science method can help problematize techniques of knowledge construction of the depressed self that are integral to the narrativization of the subject position.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문화정치

        성민규(Minkyu Sung)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이 연구는 민주주의 실행의 수단으로서 인터넷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정치를 토론한다. 필자의 관점에서, 뉴미디어를 통한 대안적 정치행위에 관한 토론들은 현대 민주주의 정치의 합의체제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특권화시키는지에 관해 주목하지 않는다. 그러한 특권화는 최근 커다란 사회정치적 관심의 대상인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도덕화시킬 수 있다. 필자는 이처럼 민주주의 정치에 적합한(proper)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특권화하는 것을 ‘저널리즘의 미학화’(aestheticization of journalism)라고 부른다. 그동안 소셜미디어와 민주주의 정치의 연관성에 관한 토론에서 ‘바라보기’가 ‘사회참여’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으로서 다루어지지 못했다. 수동적 참여로 간주되는 ‘익명성’과 ‘공감’을 통한 ‘바라보기’의 문화정치를 살펴봄으로써, 필자는 저널리즘의 미학화에 도전하는 소셜미디어의 스펙테이터쉽(spectatorship)을 토론한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야기하는 ‘훈육의 정치’에 관한 우려로서 이른바 ‘과잉 커뮤니케이션론’을 토론한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iscursive way in which the use of the social media poses a challenge to democratic politics. The discussion of new media’s contribu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in a society does not pay legitimate attention to how the democratic regime privileges a particular form of communication. My argument is that the discursive politics of democracy moralizes communicative practices within social formation. I want to call this moralization of society the aestheticization of journalism. By drawing attention to the communicative form of witnessing, I suggest that the ideas of anonymity and sympathy help us understand a spectatorship politics in social media practices. This discussion then helps problematize the so-called ‘excessive communication’ made through the social media as an apparatus of disciplinary power.

      • KCI등재

        네트워크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될 수 있는가? : 정서적 컴퓨팅(affective computing)에 관한 과학레토릭적 소고

        성민규(Minkyu S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컴퓨터연산(computation)과 동일시하고 정당화하는 일련의 공학적,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탐색한다. 이 접근에서는 인간 감정표현의 발생원리를-인종, 종족, 문화, 성별, 교육, 사회적 훈련 등의 맥락적 요소들을 가로질러 작동하는-보편적인 인간 신체의 생리활동에 둔다. 그 대표적 연구로서 로절린드 피카드의 “정서적 컴퓨팅”과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경생리학적 뇌연구를 논한다. 언어와 의식의 문제를 도외시하는 기술적 사고(technical reasoning)의 과학레토릭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문화와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역량의 확대와 심화를 제안한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idea of communication is justified in terms of computation in engineering and neurophysiological research on emotions and affect. The underlying ideas of human emotions and affect emphasize the universal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from which emotions and affects of different races, ethnicities, cultures, and genders arise. Technical reasoning of the sort is located in Rosalind Picard’s “affective computing” and Antonio Damasio’s brain science. Findings of my rhetoric-of-science analysis suggest the urgency of reclaiming an alternativ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실천으로서 공감

        김선호(Son-Ho Kim),성민규(Minkyu S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1

        우리는 인간의 본성에 이타적 측면이 있으며, 그 이타성의 바탕이 신경생물학적 의미의 공감 작용에 있다는 최근 주장에 대해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신경생물학을 포함하여 과학적 방법을 통해 공감을 이해하려는 시도들은 공감을 자연화시키면서 기계론에 빠질 위험과, 집합적이고 사회적 측면을 도외시하면서 공감을 개인 심리적 현상으로 환원시킬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공감 개념의 지적 발원지인 현상학적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자동적-기계적 관정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적인 실천으로서 공감을 이론화시키기 위해 원거리 관찰자 개념을 제안하는 한편, 공감이 어떻게 집합적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 아담 스미스의 불편부당한 관찰자 개념을 빌어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특히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 공감의 모델을 정식화시키고자 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mmunicative aspects of empathy. Pointing out that the predominant neurological notions tend to reduce empathy to a mechanistic and individual phenomenon, we suggest that empathy be viewed as a social communicative process. Specifically, we discuss problems of theories of emotional contagion and vicarious experience in which empathy is conceived as sharing an identical emotional state with other entities, and posit that distant spectatorship is the primary position of the emphatic agents who do not necessarily share such an emotion. With this respect, we argue that Adam Smith"s concept of the impartial spectator sheds light on understanding empathy as a distant spectators" response induced by the communication media.

      • KCI등재

        지역 텔레비전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탐색

        김진영(Jin-Young Kim),성민규(MinKyu Su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지역 방송사 탐사보도프로그램 제작환경과 제작진들이 추구하는 ‘지역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작진들은 지역성 구현을 위한 규범적 인식을 가짐과 동시에 ‘탈’ 하이퍼로컬리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탈하이퍼로컬리즘은, 기술적인 문제에서 전국적인 이슈의 프로그램을 만들 때 중앙방송사와의 경쟁력에서 차이가 난다는 점을 인지하고 지역방송사에서 잘할 수 있는 것이거나 또는 최소한 지역과의 연계가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탈하이퍼로컬리즘 경향은 <돌직구 40>의 방송 소재 선정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탈하이퍼로컬리즘의 경향은 하이퍼로컬리즘이 비판의 지점으로 삼았던 지역 언론시장의 거대자본화 또는 시장경쟁력이라는 것으로 단순히 수렴될 수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탈하이퍼로컬리즘은 자본과 시청률 그리고 제한되고 열악한 방송제작 환경과 새로운 매체기술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고 있는 지역 언론의 새로운 지평과 더불어 면밀히 탐색되어야 할 개념이다. This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 in which local journalism practices pose a challenge to, and interact with, hyper-capital-centralized media markets. We pay attention t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working for Dolgikgu 40, a local TV investigative journalism news program produced and aired by Ulsan MBC. We suggest that ‘de-hyperlocalism’, identified in the program, should not merely be seen as a counter-point to the hegemonic media market but evaluated for negotiations for the fluid idea of loc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