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W264.7 대식세포에서 Heme Oxygenase-1의 유도에 의한 개망초 (Erigeron annuus L.) 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성미선(Misun Sung),김영화(Younghwa Kim),최용민(Youngmin Choi),함현미(Hyeonmi Ham),정헌상(Heon-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 및 iNOS와 HO-1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여 개망초(Erigeron annuus L.) 꽃(EAF)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 에 LPS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11.48 μM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EAF methanol 추출물(25, 50, 100, 2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NO의 함량이 12.82, 9.61, 6.83, 2.52 μM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EAF methanol 추출물은 NO의 생성에 관여하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HO-1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 다. EAF methanol 추출물에 의한 HO-1 발현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HO-1의 inhibitor인 ZnPP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ZnPP를 처리하여 HO-1의 발현을 저해하였을 때 추출물에 의해 감소된 NO의 함량이 다시 증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 EAF methanol 추출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중요 인자인 NO를 저해하였고, iNOS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 방어기작에 관여하는 HO-1의 발현 등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rigeron annuus L. flower (EAF) methanol extract. We examined the involvement of heme oxygenase-1 (HO-1) in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EAF methanol extract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Cell viability and NO assays were performed. In additi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HO-1 expressions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and blocking HO-1 activity on NO production. EAF methanol extract (25, 50, 100, 200 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LPS-stimulated NO production (p<0.05; 12.82, 9.61, 6.83, 2.52 μM)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EAF methanol extract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protein. The EAF methanol extract induced the expression of HO-1 in a dose-dependent manner. Blockage of HO-1 activity by zinc protoporphyrin suppressed EAF methanol extract-induced reductions in the production of NO.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EAF methanol extract has a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 in RAW264.7 macrophages through the induction of HO-1.

      • KCI등재

        저장 고춧가루의 색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과의 관계

        성미선(Misun Sung),강혜정(Hye Jeong Kang),김윤숙(Yoon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0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과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Al/LLDPE)를 선정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색도,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고춧가루의 시각으로 인지하는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초기 수분 함량은 저장고의 상대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장고의 온도나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b값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두 측정값 모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저장 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포장재의 재질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A color value와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ASTA color value는 빛이 투과하는 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 더 많이 감소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의 강도는 증가하고 매운맛 색과 적색은 감소하여 점차 어두운 적색을 띄며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매운맛 색에 대한 평가에서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적색과 매운맛 색이 감소하고 황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a값,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은 전체적인 외관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중 ASTA color value가 관능적 기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춧가루 저장 시 빛이 통과하지 않는 Al/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에 품질 변화가 적었고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색도계를 이용한 적색도나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d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20℃, 0℃, 20℃) and in different wrap material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l/LLDPE). Red pepper powders with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17.35±0.32% were not affected by the packaging material or storage temperature. Hunter a values of red pepper powder decreased while Hunter b values increased as storage temperature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s. The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STA) color value (60.85±0.13)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20℃ to 20℃ (21.70±0.06 to 56.03±0.24). The ASTA color value of samples packed with LLDPE (21.70±0.06) decreased more compared to samples packed with other materials. Further, capsanthin contents (13.74±0.02 mg/100 g)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20°C (0.25±0.01 to 0.28±0.01 mg/100 g) to 20℃ (0.13±0.01 to 0.25±0.01 mg/100 g).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red pepper powder, overall acceptability was influenced by redness, yellowness, and pungency color. Al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were compared. Hunter a values, ASTA color values, and capsanth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nsory preferences. In particular, ASTA color value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color preference for red pepper (R2=0.922). Thus, we suggest that the preference for red pepper powder can be determined based on instrumental measurements of Hunter a values, ASTA color values, and capsanthin contents.

      • KCI등재

        한우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통한 신선도와 맛의 품질 인자 설정

        문지혜,성미선,김종훈,김병삼,김윤숙,Moon, Ji-Hye,Sung, Misun,Kim, Jong-Hun,Kim, Byeong Sam,Kim, Yo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factors and freshness or palatability of Hanwoo beef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 The drip loss, cooking lo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total viable counts (TVC)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raw and cooked)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36 d at 0 and $10^{\circ}C$. The drip loss, cooking loss, VBN, and TBAR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freshness was shown to be highly significant at both $10^{\circ}C$ than $0^{\circ}C$. Especially, correlation of between the cooking loss and freshness of Hanwoo beef showed high significance (p<0.01)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actors such as VBN, cooking loss, and TVC and palatability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temperature. As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Y_1=10.768-0.706X_1$ (Drip loss) with $R^2=0.87$ was obtained for freshness evaluation of Hanwoo beef. Also, multiple regression with drip loss ($X_1$) and TVC ($X_5$) increas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sensorial palatability ($Y_2$) to $R^2=0.95$ with a regression equation of $Y_2=9.702-0.438X_1(Drip\;loss)-0.232X_5(TVC)$. 본 연구에서는 $1^+$ 등급 한우육의 신선도와 맛에 관련된 품질인자를 도출해내기 위하여 $0^{\circ}C$와 $10^{\circ}C$에 저장하여 저장기간별로 drip loss, cooking loss, VBN, TBARS, 총균수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Drip loss와 cooking loss, VBN 및 TBARS의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관능적 신선도와의 상관계수도 크게 증가하였다. Cooking loss의 경우 신선도에 있어서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상관계수가 크게 증가하여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총균수는 $0^{\circ}C$보다 $10^{\circ}C$에서 상관계수가 감소하였다. 반면 맛에 대한 기호도에 대해서는 drip loss와 TBARS값이 $10^{\circ}C$에서 상관성이 높았으며 VBN 함량과 cooking loss 및 총균수는 $10^{\circ}C$에서 상관성이 낮아 온도 증가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품질 측정치를 종합하여 쇠고기의 신선도와 맛에 대한 5가지의 이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 중 단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쇠고기의 신선도에 대해서는 drip loss의 하나의 인자만으로도 $R^2=0.87$의 매우 높은 선형을 가지는 $Y_1=10.768-0.706X_1$(drip loss)의 선형 회귀식이 산출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87%를 설명하였다. 반면, 저장기간에 따른 쇠고기 맛의 예측모델은 $R^2=0.95$의 매우 높은 선형을 가지는 $Y_2=9.702-0.438X_1(drip\;loss)-0.232X_5(TVC)$의 선형 회귀식이 산출되었으며 drip loss와 총균수의 두 인자로 이들 품질인자를 통한 쇠고기의 기호도의 계량적 해석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HPLC를 이용한 일부 시판 고춧가루 및 고추 가공품의 Capsaicinoids 함량 분석 및 분석법의 검증

        함현미(Hyeonmi Ham),성미선(Misun Sung),김영화(Younghwa Kim),최용민(Youngmin Choi),정헌상(Heon-Sang Jeong),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고추 가공품의 capsaicinoids 함량을 분석하고 분석 방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상 HPLC를 이용하여 고춧가루 및 고추 가공품의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춧가루 및 고추 가공품의 capsaicin 함량은 0.21∼78.24 ㎎/100 g이었으며 dihydrocapsaicin 함량은 0.20∼38.82 ㎎/100 g으로 나타났다. 고추장, 초고추장, 쌈장, 소스류에 비해 고춧가루의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Capsaicinoids의 분석방법을 검증하고자 정밀도, 정확도,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수율은 90% 이상이었으며 재현성과 반복성의 CV%는 5% 이하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분석 방법의 검증 parameter들은 우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capsaicinoids in different commercial pepper powders and pepper-containing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The two major capsaicinoids in the samples,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were analyzed using reversed-phase HPLC. The levels of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in pepper powders and pepper-containing products ranged from 0.21 to 78.24 and 0.20 to 38.82 ㎎/100 g sample, respectively. Pepper powders contained generally higher amounts of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than pepper-containing products. In addition, the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parameters including accuracy, precision, and specificity were provid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extraction procedure for capsaicinoid analysis. Overall recovery from pepper powder and pepper paste was close to 100% (n=3). The results of validation parameters indicated that the present method was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the HPLC analyses of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in commercial pepper products.

      • KCI등재

        RAW264.7 대식세포에서 Heme Oxygenase-1 발현을 통한 배암차즈기( Salvia plebeiaR. Br.) 잎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정혜림(Hyerim Jeong),성미선(Misun Sung),김영화(Yunghwa Kim),함현미(Hyeonmi Ham),최용민(Youngmin Choi),이준수(Juns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7

        본 연구에서는 배암차즈기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PGE2 활성, iNOS, COX-2와 HO-1의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RAW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증가되어진 NO의 함량이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은 NO의 생성에 관여하는 iNOS 단백질 발현과 전사단계의 iNOS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NO 이외의 pro-inflammatory cytokine인 PGE2 또한 배암차즈기 추출물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PGE2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COX-2의 발현 또한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은 HO-1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배암차즈기 추출물은 염증을 일으키는 주요인자인 NO, PGE2를 저해하였고, iNOS, COX-2의 발현, iNOS의 mRNA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 방어기작에 관여하는 HO-1의 발현을 증가시킴에 따라 항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항염증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Salvia plebeiaR. Br. (Labiatae),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India, Iran, and Australia, is used as a folk remedy for a variety of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hepatitis, cough, diarrhea, gonorrhea, menorrhagia, tumors, and hemorrhoids. This study focused on determining the involvement of anti-inflammatory heme oxygenase-1 (HO-1) in the inhibitory activity of an extract of Salvia plebeiaR. Br. leaves (SPL)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xpression in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SPL extract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500 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by approximately 85% and suppressed iNOS protein expression by approximately 90% compared to LPS-stimulated cells. The SPL extract induced the expression of HO-1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blocking HO-1 activity abolish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SPL extract on NO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SPL extract has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HO-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