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설정희,박선우,천성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The selfimage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existing selfimage measure to extract preliminary questions were analyzed, and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by interviewing focus groups and adolescents. Then, the final preliminary questions 58 were selected by verifying the understanding of each item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scale questions three times. For the final item selection, 402 adolescents were surve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26 items of scale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parent support, selfemotion, and interpersonal knowledge. The authoritative validity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i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a family relationship scale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and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go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예비문항 추출을 위해 자아상 관련 선행연구 및 기존 자아상 관련 척도를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과 청소년들의 면담을 실시하여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3차에 걸쳐서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58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청소년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확신, 부모지지, 자기정서, 대인지지로 구성된 26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가족관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동산 거래 에스크로우 서비스 선호 요인에 관한 연구

        설정희,이상엽 한국부동산연구원 2022 부동산연구 Vol.32 No.3

        We analyzed the disparities in perceptions of the factors favoring the use of escrow services for real estate transaction safety between service users, the general public, service providers, and escrow service workers. We identified key factors that should be prioritized to promote service use. Furthermore, AHP methodology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upper and lower core factors, weight analysis between factor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rvic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asures to prevent transaction accidents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relieve anxiety about transaction accidents, establishment of a business processing system, reduced fee, and public institutions’ particip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service activation by ranking the factors of preference for escrow service use in order of importance. 본 연구는 부동산 거래 안전을 위한 에스크로우 서비스 선호 요인에 대해 서비스 사용자인 일반인과 서비스 제공자인 에스크로우 업무 종사자들 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분석하고 에스크로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할 핵심요인들을 발굴하여 정책과제로 제시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상·하위 핵심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파악을 위해 계층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요인 간 중요도 분석을 위해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에스크로우 서비스 선호 요인들로는 ‘거래사고 예방책 마련’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거래사고 불안감 해소’, ‘업무처리시스템 구축’, ‘이용수수료 인하’, ‘공공기관 서비스 참여’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요도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정책과제로 제시함으로써 부동산 거래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에스크로우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가 가족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애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설정희,문정희,천성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가 가족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애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 복지관 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홍보매체를 통해 모집된 B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59세 까지 가족 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 16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연구진행은 2014년 7월 22일부터 9월 30일까지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 실험집단에게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애도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후검사를 하였고,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애도의 하위 척도 중 상실의 충격과 혼란, 상실의 고통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삶의 회복과 성장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척도 중 자기고양, 타인과의 관계, 자기주장과 확신은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예술치료가 가족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애도와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arts therapy to the middle-aged women with mourning and self-esteem. 16 women participants of 40~59 year-old local residents with bereavement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want ad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B city and were divided into two each group of 8 as a control or an experimental group. Integrated arts therapy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sessions of 120 minutes once a week from 2014. July 22nd to Sep. 30th. Mourning and self-esteem scale were carried out as pre and post test, and. MANCOVA was used to show the signific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b scales of mourning, the shock and confusion from the loss and the loss of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growth and recovery of lif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in the sub scale of self-esteem, self enhancement, relationships with others, assertiveness and confidence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program was useful to improve the mourning and self-esteem of the middle-aged wome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선우,설정희,천성문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위하여 대인관계 능력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그에 따라 설정하였다. 문헌연구 및 기존 대인관계 관련 척도 분석과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59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59문항의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가지고 대학생 310명에게 검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대인관계문제, 자아존중감, 성인애착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낮은 대학생들이 좀 더 건강하게 정서적으로 독립해 나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가족기능성과 자기효능감이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정희,설정희,천성문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성, 자기효능감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34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직업 만족도, 경제적 형편, 학력, 건강상태에 따라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 남성의 가족기능성 전체와 자기효능감 전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가족기능성 전체와 은퇴불안 전체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기효능감도 은퇴불안과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성 전체는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 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은퇴불안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기능성과 자기효능감을 예측변인으로 은퇴불안을 준거변인으로 두고 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만이 은퇴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스티그마(Stigma) 연구동향 분석

        손혜선,설정희,천성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티그마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들 중 ‘스티그마’, ‘낙인’과 관련된 연구 112편에서 논문의 키워드 1200개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 과정을 거쳐 고빈도 단어를 기반으로 주요 단어 50개를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 Textom과 UCINET 6로 키워드 간 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낙인과 동시에 출현한 키워드 중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자아존중감, 스티그마, 사회적낙인, 질적연구 순이었다. 둘째,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낙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우울 키워드는 스티그마 전체네트워크에서 높은 밀도로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충족적, 보호요인, 조직적 스티그마, 연관성에 의한 스티그마적 요소들에 집중적으로 연결된 군집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스티그마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stigma through the keyword network. To this end, 1,200 keywords of papers were extracted from 112 studies related to "stigma;" and "stain" among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For the collected data, 50 major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high frequency words.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structure between keywords was analyzed in depth with Textom and UCINET 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self-esteem, stigma, social stigma, and qualitative research among the keywords that appeared at the same time as stigma. Second,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connection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were found to be stigma. Third, self-esteem and depression keyword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keywords with high density in the entire Stigma network. Fourth, a cluster was formed that was intensively connected to stigmatic factors by self-fulfilling, protective factors, organizational stigma, and associ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se studie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igma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

        김지숙(Ji-sook Kim),설정희(Jeong-hui Seol),천성문(Sung-moon Che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를 둔 아버지들 중 참여를 희망한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의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를 통해 양적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둘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이 증가 하였다. 셋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참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at early childhood stage.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years, 10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ir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can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increase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