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면관수시스템을 이용한 초화류들의 옥상녹화용 상토선발에 관한 연구

        석용철,김도한 인간식물환경학회 200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2 No.5

        This experiment find out by purpose in suitable artificial soil selection in sub-irrigation of rooftop landscape architecture. It was that Intensity of radiation of rooftop air environment that measure by Phytech sensor rises rapidly at 7 A.M. and reached to 400w/m2 at 10 A.M. Moisture content of Paraso soil was 29-31% be, and Perlite : Peatmoss : Vermiculite : Coir 47-50%(1:1:2:1) was processing appeared higher than Paraso soil. Chlorophyl conte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growth, but Perlite : Peatmoss : Vermiculite : Coir in 1:1:1:1 ratio of 1:1:2:1 at shootㆍroot, fresh and dry weight was good, and was control than soil equal or superior tendency. Therefore, when increased level that ratio of vermiculite in artificial soil was equal with other artificial soil as result experimenting to some herbaceous flowering plants in this study finding, could plant growth was good in general, and minimises amount irrigation. 본 실험은 기존 옥상녹화용 상토의 단점을 보완할수 있는 간이관수에 적합한 옥상녹화용 상토조합 선발을 위해 실험을 시행하였고,실험장소의 대기환경은 대기온도 최고 27.7℃,최저 12.5℃범위로 오후 12시30분경에 대기온도와 광량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상대습도는 이에 반비례하였고 바람은 오후 2시경부터 5시까지 가장 많이 불었다.이와 같은 옥상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상토 내의 수분함량의 경우 대조구인 파라소 100% 단용 처리구의 29~31%에 비하여Perlite:Peatmoss:Vermiculite:Coir=1:1:2:1처리구에서 47~50% 정도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식물생육의 결과는 각 식물별 지상부·지하부의 건조 전·후의 길이 및 무게와 shoot·root의 길이 및 엽록소함량 측정결과 각 처리구별 우수한 생육을 보이는 식물들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Perlite:Peatmoss:Vermiculite:Coir=1:1:2:1에서 1:1:1:1의 상토조합이 다른 처리구와 비교했을 때,전체적인 식물생육이 양호하였고,관수량도 최소화 할 수 있었다.이 조합을 옥상녹화에 이용한다 면 효율적인 관수로 다양한 옥상환경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식물의 선택에 있어 그 종류가 한정적이었고,전국에 걸친 현장 적용 실험이 이루어지지 못 하였다.그러므로 향후 이와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옥상녹화용 상토 개발이 지속저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전년도 uniconazole 처리가 석류나무와 작살나무의 생육왜화에 미치는 지속효과

        석용철,신현철,박남창,김도한,박중춘,허무룡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0 No.4

        1년 전 처리한 uniconazole이 1년 후의 석류나무(Punica granatum)와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Thunberg)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6년에 6월에 식물생장왜화제로 알려진 triazole계의; uniconazole을 실생 2년생의 석류나무와 작살나무 묘를 사용하여 무처리, 10, 50, 그리고 100 mg․L-1을 엽면살포, 토양관주, 및 엽면살포+토양관주 방법으로 각각 200ml씩 처리하였다. 1년 후인 2007년 10월에 생육억제 효과를 구명하기위해 조사한 결과로 생육억제효과는 농도가 가장 높은 100mg․L-1에서 가장 커 지속적인 왜화효과를 보였으나, 잎 말림 현상 및 지나친 왜소화 등의 관상가치의 저해를 나타내었고, 처리방법 중에서는 토양관주 처리가 가장 지속적인 왜화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토양관주 50mg․L-1 처리에서는 관상가치의 저해가 일어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왜화효과도 지속적으로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conazole treatment at last year on the growth of Punica granatum and Callicarpa japonica Thunberg of this year. The two plants were 2 years old and grown by seedling. The 200ml of 0, 10, 50, and 100 mg․L-1 uniconazole were treated at June 1. 2006 as drench, foliar spray and drench + foliar spray. The highest duration effects of uniconazole for reducing plant height was 100 mg․L-1 drench treatment surveyed at Oct. 16. 2007. But that resulted in leaf rolling and bad plant shape by severe dwarfing, thus did not show normal plant shape. Among the treatment method, soil drench was the continuative efficiency to control height. And with 50 mg․L-1 had similar effect of soil drench and not resulted in leaf roll and unusual growth.

      • SCOPUSKCI등재

        3 종의 분재수종에 상토조합과 양액의 전년도 처리가 금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석용철,신현철,박남창,김도한,박중춘,허무룡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rates and nutrient treated at last year on the growth of 3 plants for bonsai of this year. Pinus thunbergii, Carpinus turczaninovii,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ere used in this study, 3 types substrates and 3 concentration of nutrient were treated, and the growth was measured at last year Oct. 16. 2006 and this yeat Oct. 16. 2007. The growth change ratio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growth value of two years. All of 3 plants showed the higher growth ratio as increase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such as peatmoss and coir, and the root growth ratio of Carpinus turczaninovii, and Pyracantha angustifolia were similar that of shoot, however in Pinus thunbergii the growth ratio of root was reverse that of shoot. With nutrient strength, the shoot growth ratio of 3 plants showed the same trend of substrates results.

      • KCI등재

        절화 국화의 양액재배를 위한 코코넛 배지의 이용

        정성우,석용철,배은지,권기영,허무룡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5

        본 연구는 절화용 국화의 양액재배를 위한 코코넛 배지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코코넛 배지는 중과피에서 유래된 dust와 fiber 그리고 가공된 chip을 이용하여 조성하였 다. 시험구의 처리는 코코넛 단용배지 (dust 100%), dust와 fiber 그리고 dust와 chip을 각각 70:30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용배지, 그리고 비교를 위해 펄라이트를 대조구로 하였다. 배지별 함수율은 펄라이트 배지에서 75.8%로 가장 낮았고 코코넛 더스트 단용배지에서 9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액의 pH는 코코넛 단용 및 혼용배지에서 5.8 ~ 6.5사이였으나 펄라이트배지에서 6.7 ~ 7.3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 다. 배액의 EC는 코코넛 단용배지에서 가장 높고 펄라이트배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화의 초장, 엽면적, 그리고 건물량은 펄라이트배지와 코코넛 단용배지와 비교하여 코코넛 혼용배지에서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처리별 개화소요일수는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coconut substrates for nutrition culture of cut-chrysanthemum. The materials of substrate were composed of dust, fiber, and chip from coco-nut fruit. Dust was used in dust (100%), and dust+chip and +fiber were used in the ratio of 7:3 (v:v), respectively, as coconut mixture substrate. Perlite was used as control in this experiment. Water content in the perlite medium was lower than in dust substrate. The pH of all coconut substrates ranged from 6.5 to 5.8, whereas perlite substrate ranged from 7.3 to 6.7. While, EC of dust substrates shown to be highest but perlite substrate was lowest. The growth of chrysanthemum such as stem length, leaf area, and dry matter showed better results in coconut substrates than that of perlite and dus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s days to in flowering among treatments.

      • KCI등재

        채종 시기 및 GA3 처리가 적수크령 종자의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임채신,오주열,석용철,김도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본 실험은 하천과 벽사면의 녹화에 이용되는 벼과 식물 중 적수크령을 대상으로 채종시기와 식물생장 조절물질인 GA3 처리가 발아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정 채종시기와 GA3 농도 및 침지시간 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채종 기간은 2008년 10월 2일부터 동년 11월 25일까지 2주 간격으로 5회 채종하였다. 채종된 종자의 저장 및 관리는 수확 후 채종된 순서대로 5±1℃의 항온기에 밀폐하여 보관 하였다. 저장된 종자의 후숙은 41±3℃ (R.H.=70%) 항온기에서 96시간 처리하였다. 수크령 종자의 발 아율, 평균발아일수 및 GA3 처리에 따른 결과는 침지시간에 따른 효과가 나타났고 채종시기는 10월 중 순에서 11월 중순경에 채종되는 수크령 종자가 발아율에 더 효과적이라 판단되었으며, 본 실험을 통해 수크령 종자의 발아성을 향상은 물론 녹화용에 이용되는 수크령의 원예적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nhance horticultural utilization value of wild graminaceous species on rooftop gardening purpose. Seeds of Pennisetum were harvested 5 times at an interval of 2 weeks from 2 October to 25 November in 2008. Seeds were soaked into solution of GA3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incubated at the condition of 20℃ and 25℃ each for 12 hrs. Germination rate of the after-ripening seeds was above 80% in the 17 and 31 October and 13 November harvest, but germination rate of seeds harvested in the 2 October and 25 November was below 70%. Fresh see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hoot and root after germination were promoted by GA3 treatment. Effect of GA3 treatments on germinability of fresh seeds was more prominent in the seeds harvested on 2 October and 25 November.

      • SCOPUSKCI등재

        하천 생태적 특성에 따른 토양 무기물 및 식생조사 -평창강, 복하천 및 경안천을 중심으로-

        김도한,이광우,이진영,석용철,허무룡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하천공학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식생생육과 자연환경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차후 자연형 하천을 이해하고 설계․시공함에 있어 건전한 생태적 환경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그 목적을 두었다. 평창강, 복하천 그리고 경안천의 식물상은 평창강 51과 202종, 복하천 33과 142종 그리고 경안천 42과 175종으로 하천 길이가 가장 긴 평창강이 출현식물 종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성상별 출현종은 관목 및 만경류가 44종, 일․이년생 초본류가 102종, 다년생 초본류가 137종으로 다년생 초본류가 풍부하게 존재하고, 목본류도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토양산도(pH)는 평창강은 6.98이었고, 복하천은 5.18, 경안천은 6.61로 경안천의 pH가 낮은 경향이었다. 토성(ST, soil texture)의 모래(ST3)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67.68%이고, 복하천의 평균은 66.90%, 경안천의 평균은 65.37%로 3개 하천의 구성비가 유사한 경향이었다. 세사(ST1) 100㎛이하 입자의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8.66%로 하류로 갈수록 세사(ST1)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ncept "Nature-Friendly Watercourses" has been introduced, and was even becoming a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t. It was to be researched by the watercourse -technological approach. Vegetations were collected 284 species, 57 families; 202 species, 51 families at Pyungchang river, 142 species, 33 families at Bokha stream, 175 species, 42 families at Kyungan stream. Shrub of 44 species, 21 families, annual-biannual herbs of 102 species, 23 families and perennial herbs of 137 species, 34 families were distributed in stream. Results of soil inorganic matter analysis were nearly the same altogether streams, but soil acidity of Pyungchang river was pH 6.98, Bokha stream pH 5.18, and Kyungan steam pH 6.61. classification of soil texture divided to sands(ST3) and loam(ST2) but fine sands(ST1) was high ratio at Pyungchang river rather than Bokha and Kyungan stream. Bulk density was nearly the same to all stream.

      • SCOPUSKCI등재

        진주시 가호동 일대의 옥상조경의 온도 저감효과 및 현황조사

        김도한,이광우,이진영,석용철,허무룡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 가호동 일대의 옥상조경시설이 조성된 지역을 통하여 수목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고 온도의 저감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식물의 존치와 토양의 분포가 옥상바닥면의 온도와 차이를 비교하였다. 옥상내 식재된 수목은 관목이 대부분이었으며, 생육은 폴리비안(Polybian) 건물의 반송이 고사되는 것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으며, 모든 건물에서 사용되는 토양은 인공경량토가 아닌 마사토 및 모래로 지상보다 열악한 환경조건인 옥상에 건물의 지반하중의 부담을 감소시키며, 배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경량토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상 조경시설물의 온도 또한 대기온도가 13℃일때 옥상의 방수층 바닥온도는 30℃이상으로 맑은날 대기온도가 증가할수록 일사량 또한 증가하여 바닥면의 온도를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의 옥상건물의 온도비교 분석은 해당일의 날씨 등의 요인으로 데이터의 신뢰가 다소 떨어질 수 있는 요인이 되며, 일일 데이터만으로는 여름철 전체의 대표성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차후 여름철 온도저감의 전반적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 데이터 장비를 이용한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was that realized by alternative for save energy of building inside to rooftop and protected by temperature of rooftop buliding increasingly. The research was purposed thermal reduction to shading soil surface temperature through tree investigation and tree for one great rooftop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ies and grasp effect in gaho-dong, Jinju city. It be most mainly shrubs in the rooftop planting tree of shadow area, and when air maximum temperature of March 26 in 08 is 13℃, soil temperature make difference from lowest 21.0℃, highest 23.6℃ that was shaded the light to tree by maximum temperature 35.8℃ of rooftop underneath that vegetation area. Underground 10㎝ soil appeared the rooftop floor difference of 25.2 ~ 27.2 ℃, and was investigated that effect was reducing temperature of building underneath by leaf temperature degree and 17.8 ~ 18.6 ℃ of tree.

      • KCI등재

        절화 국화의 양액재배를 위한 코코넛 배지의 이용

        정성우,석용철,배은지,허무룡,권기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5

        본 연구는 절화용 국화의 양액재배를 위한 코코넛 배지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코코넛 배지는 중과피에서 유래된 dust와 fiber 그리고 가공된 chip을 이용하여 조성하였다. 시험구의 처리는 코코넛 단용배지 (dust 100%), dust와 fiber 그리고 dust와 chip을 각각 70:30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용배지, 그리고 비교를 위해 펄라이트를 대조구로 하였다. 배지별 함수율은 펄라이트배지에서 75.8%로 가장 낮았고 코코넛 더스트 단용배지에서 9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액의 pH는 코코넛 단용 및 혼용배지에서 5.8 ~ 6.5사이였으나 펄라이트배지에서 6.7 ~ 7.3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다. 배액의 EC는 코코넛 단용배지에서 가장 높고 펄라이트배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화의 초장, 엽면적, 그리고 건물량은 펄라이트배지와 코코넛 단용배지와 비교하여 코코넛 혼용배지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처리별 개화소요일수는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coconut substrates for nutrition culture of cut-chrysanthemum. The materials of substrate were composed of dust, fiber, and chip from coco-nut fruit. Dust was used in dust (100%), and dust+chip and +fiber were used in the ratio of 7:3 (v:v), respectively, as coconut mixture substrate. Perlite was used as control in this experiment. Water content in the perlite medium was lower than in dust substrate. The pH of all coconut substrates ranged from 6.5 to 5.8, whereas perlite substrate ranged from 7.3 to 6.7. While, EC of dust substrates shown to be highest but perlite substrate was lowest. The growth of chrysanthemum such as stem length, leaf area, and dry matter showed better results in coconut substrates than that of perlite and dus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s days to in flowering among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