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연구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과 전공심화과정 교수 역할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서혜정,문혜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is narr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a professor who has trained kindergarten teachers into action researchers from Dec. 13, 2014 to July 8, 2015.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 and four kindergarten teachers at an advance course for bachelor’s degre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wo different ideas of what a professor’s roles are. First, the teachers at the course thought that the roles of a professor are 1) to stimulate them to stay alert, 2) to direct them into right process of plan-action-evaluation, 3) to encourage them, 4) to train them to grow into real action researchers, 5) to support them to learn various problem-solving skills and become independent, 6) to help them to build true roles of teachers. Second, the professor thought that the roles of the professor fostering action researchers are 1) to make a point that they are not only teachers but also action researchers to let them change and grow, 2) to encourage them try something new, 3) to show the value of their practical knowledge, 4) to assist them to find the joy of action research. Through the action research program, the professor also realized how to relate the action research to curriculum of regular course, set goal of teacher education, and narrow the gap between classrooms and fields with their practices. Therefore, the study emphasized necessity in developing teacher train management at an advance course for bachelor’s degree for one who is a kindergarten teacher and student. 본 연구는 2014년 12월 13일에서 2015년 7월 8일까지 유아교사를 현장연구자로 양성하려 한 전공심화과정의 교수 역할에 대해 탐구하는 내러티브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수 1인과 전공심화과정생인 유아교사 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공심화과정생이 생각하는 교수의 역할은 1) 일상에서 깨어 있도록 하는 자극제, 2) 계획-실행-평가의 과정에 방향 안내자, 3) 힘을 북돋는 격려자, 4) 현장연구자로 성장하게 하는 조련사, 5) 문제 개선의 힘 갖게 하여 홀로 서게 하기, 6) 교사 본연의 역할 찾아가게 하기이다. 둘째, 교수가 생각하는 현장연구자 양성을 위한 교수의 역할은 1) 변화와 성장의 시작점인 현장연구자라는 씨앗 심기, 2) 시도의 가치 격려하기, 3) 실천적 지식의 가치 드러내기, 4) 현장 연구의 즐거움을 알아가게 하기 이다. 셋째, 현장연구자 양성을 위한 교수는 1) 현장연구를 학부 수업에 환원하기, 2) 교사교육 지향점 깨닫기, 3) 제자들의 실천을 통한 배움 갖기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는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유아교사인 전공심화과정생을 현장연구자로 양성하는 전공심화과정의 교사교육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유아과학교육 교과를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강의’에 대한 경험

        서혜정,윤은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B 대학에서 학생들이 추천하는 ‘좋은 강의 공모전’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중 유아과학교육 교과를 수강한 4명이 생각하는 ‘좋은 강의’를 탐구하였다. 자료는 2021년 10월 6일부터 2022년 2월 9일까지 ‘좋은 강의 공모전’에 제출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강의’는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생각을 공유하는 수업, 교사상을 구축하게 하는 수업, 궁금증을 찾고 해결하는 수업, 실제를 통해 이해를 돕는 수업, 다양한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는 수업, 교수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좋은 강의’란 무엇인지를 드러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사교육자에게 수업 설계에 대한 하나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의 수업 개선 요구에 관한 예비교사의 이야기: 2년제 유아교사양성기관을 중심으로

        서혜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rough the story of teacher training education of two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B University.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wo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B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28, 2019 to June 10, 2020.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analysis method. Key words were created by segmenting meaningful texts from the original data. The key words were categorized again, and the representative key words were built to form the research ax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change was necessary; 1. teaching by apply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2. teaching that connects theory and practice, 3. empowering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directed(child-centered) practice, 4. teaching with learner participation, 5. bridging the Gap Between Professors, 6. teaching that makes learning memorabl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seek the direc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voice of the beneficiary, the pre-service teacher, rather than looking on the direction of teacher nurturing education conducted in universities only as the domain of the professor.

      •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의 과제와 전망 -‘한국여장연’ 그 조직의 이야기-

        서혜정 한국장애학회 2018 한국장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11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은(이하 ‘한국여장연’) ‘첫째, 잃어버린 여성장애인의 목소리를 찾아서, 둘째, 지역조직으로부터 시작되고 모아져 연합을 형성한다. 셋째, 다른 조직에 소속되거나 의지하지 아니한 완전한 독립적 조직으로 선다. 넷째, 반드시 여성운동과 여성장애인 운동을 접목시킨다’는 취지 1) 아래 1999년 설립 이래 한국의 여성장애인 인권 대변자로서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며 장애인이라는 중첩된 차별 속에서 여성장애인당사자의 목소리를 그대로 반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초창기 ‘한국여장연’의 선배들의 투쟁과 희생과 노력에 힘입어 ‘한 국여장연’이 설립된 지 20년이 되어가는 2018년, ‘한국여장연’은 11개 지부, 1개 회원단체가 모인 연합체이며 가입 회원 수 4,236 명의 거대 조직으로 외형적 발전을 해왔고, 장애 운동 속에서 여성 운동 속에서 한국여성장애인 운동의 한 역사를 만들어 온 것도 사실이다. 여성장 애인 교육운동・ 폭력근절 운동・모성권 운동・자립생활운동・법률 제・개정운동・정책개발과 정책 연구 운동・건강생활체육운동・직업고용・국내, 국외 연대운동・한국여성장애인대회를 통해 여성 장애인의 현실을 바꾸려고 노력해왔으며 장애인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약칭 장차법)에 여성장애인 조항을 포함한 것과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장애여성 분야를 포함시키며 국내외 법적으로 여성장애인의 권리 확보를 명문화하는 활동을 했다. 한국 사회에서의 여성장애인의 현실은 ‘한국여장연’의 설립 초기나 지금이나 별로 나아진 것은 없어 보인다. 그것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 구조적 차별 문제이기도 하며 ‘한국여장연’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이기도 하다. 초창기에 비해 ‘한국여장연’의 운동력은 장애계 뿐만 아니라 여성장애인계 속에서 약화되었다고 하며, 시민단체인지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사업 수행기관인지에 대한 정체성의 혼란을 논하며 불안하게 보는 시각도 있다. 이것은 여성단체 공통적인 문제이기도 하고 또 ‘한국여장연’ 조직이 가진 특성이기도 하다. 이렇게 산적한 문제 속에서 ‘한국여장연’ 조직의 운동평가와 과제를 제시하며 앞으로 ‘한국여장연’이 나아갈 길을 찾아보려 한다.

      • KCI등재

        장흉신경 단독손상 : 증례보고 Case Report

        서혜정,임성일,김혜정 대한스포츠의학회 1999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7 No.2

        Scapula winging is an uncommon condition but one which may be underdiagnosed. Isolated paralysi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is a well recognized clinical entity, first described by Velpeau in 1837. Many traumatic and nontraumatic cau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f sports-related injury to the isolated long thoracic nerve. We report a man who developed the isolated long thoracic nerve palsy after he exercised himself in should-press(weight-lifting).

      • KCI등재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만 3세 교실에서‘책을 통한 유아들간의 의견나누기’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

        서혜정,윤경옥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6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three-year-old children to search for existence and itsmeaning, while they participate a programme, 'discourse among children through books'as a way of resolving curiosi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 September 10,2010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teacher's class records, pictures, discussion notes andinterview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discourse among children through books'follows steps in a process. The steps include: Deciding a topic that children should searchfor, choosing an appropriate book to resolve children's curiosities, spending some time fordiscoursing among children by using pictures in the book, and sharing what they hadunderstood. Through this process, a pre-school teacher met with children who were fullof abilities, ideas and motivation to explore with a little assistance. The pre-schoolteacher was able to overcome preconceived ideas that informational books could bedifficult for children, and experienced various lessons, while the children led their ownlearning. It represents that the activity, 'discourse among children through books' can bea children centered inquiry learning teaching strategy, because the informational booksensure that the children gain knowledge and are actively in cogitation.

      • KCI등재

        만 2세 반 담임교사의 팀티칭 보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서혜정,이수윤,고지민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2세 영아반 2반이 한 교실에서 팀티칭하는 교실운영에 대한 내러티브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 교실을 공동 보육하는 만 2세 영아반 담임교사 1인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4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면담자료, 수업협의 자료, 반성적 저널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두 교사의 상충되는 서로 다른 교육 가치관, 동등하지 않은 두 교사의 불편한 동행을 통해 맥락 단절된 수업 바통 넘기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 대 영아 비율 2:14가 1:14로 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하면서 교사들은 때로는 '내 반, 네 반', 때로는 '우리 반'이라는 이중적인 잣대로 영아를 만나는 불편한 진실이 있었다. 둘째, 두 교사는 동고동락하며 교실운영에 대한 서로의 견해를 좁히고자 하였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좋은 교사로 지향하며 서로에게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교사가 팀티칭으로 보육하기 위해서는 서로 소통하고 양보하며 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만 2세반 2개 반이 교실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팀티칭 운영에서 변화가 필요한 불편한 진실과 이러한 불편함을 긍정적인 동행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효율적인 협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classroom operation in which team teaching is made in a classroom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in a daycare center.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two co-teachers of two-year-old children's section.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April 15 to October 22 in 2011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ing plans and reflective journals. They were analyzed by induc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wo teachers delivered the ball to other's net by giving contextually unconnected class to the counterpart through uncomfortable accompaniment with the other teacher because of different sense of value on education and unequal status between them. There was an uncomfortable reality that they meet children with ambivalent senses such as 'my class', 'your class' and sometimes 'our class' making the teacher to children ratio from 2:14 to 1:14. Secondly, they tried to narrow the gap in class operation, tried to be a good teacher and had opportunity to learn from the counterpart sharing their joys and sorrows together. Additionally, they communicated and cooperated to take care of children through team teaching. This study suggested that efficient cooperation could be made by showing efforts to transit uncomfortable accompaniment and inconveniences that should be changed in team teaching operation having two classes in a classroom to the positive accompan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