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개 광역지자체 온실가스배출 효율성에 대한 글로벌맘퀴스트 분석 - 녹색생산성을 중심으로 -

        서형준,이형석 서울연구원 2019 서울도시연구 Vol.20 No.1

        In 2015, Korea government pledged to cut business as usual (BAU) carbon emissions by 37 compared to BAU(Business as usual). Since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monitoring greenhouse gas emission, their responsibility to greenhouse gas reduction also has increased. However,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has negative impact for regional economy, thus, a point of compromise is required between environment and growth. In this study, we analyzed green productivity for 16 local governments to draw optimal green productivity performance from 2009 to 2013. Energy consumption, labor and capital we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while GRDP and greenhousegas emission volume were selected as output variables. From these variables, we obtained green productivity performance by adopting Global Malmquist Index based on non-radial distance function. This index was also decomposed into two indexes; Efficiency change(EC) and Best practice change(BPC). We found every province shows uptrend except Daegu, Gwangju and Jeju when it comes to Green productivity performance, and Chungbuk shows the highest value. In EC, Chungbuk also shows the highest value implicating it is the closest DMU to optimal frontier while Incheon and Jeonbuk whose EC shows less than 1 vice versa. In BPC, Ulsan shows the best performance implicating technological progress while Gwangju, Daegu, Daejeon and Jeju shows technological regression. 2015년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하는 것을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감독하는 각 지자체의 책임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정책은 지역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 성장 사이에 타협점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간 주요 광역 16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녹색생산성을 분석해 최적의 효율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에너지·노동·자본을 투입물로 하고, 지역내총생산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물로 하여 방향거리 함수와 글로벌맘퀴스트 지수를 활용해 녹색생산성과 효율성변화 수치, 기술변화 수치를 계산하였다. 녹색생산성은 대구·광주·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증가세를 나타낸 가운데 충북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효율성변화 수치도 충북이 1위를 차지하며 최적의 생산변경에 접근한 것으로 분석됐고, 경남·충남·인천·전북은 1에 미치지 못해 생산변경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술변화 수치는 울산이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기술진보 수준을 보인 반면, 광주·대구·대전·제주는 기술이 퇴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 KCI등재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서형준,명승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6 No.4

        While local governments have the main role of smart city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smart city policy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including coercive isomorphism, mim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With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on local smart city plan to reveal the current situation of isomorphism in local smart city. First, in terms of coercive isomorphism focusing on law and institution by central government, it analyzed smart city law,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certification. Second, in terms of mimic isomorphism focusing on imitation of smart city policy among local governments, it analyzed key success factors of smart city, the vision of the smart city, and the target goal of a smart city. Third, in terms of normative isomorphism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echnical trends on smart cities as the professionalization, it analyzed the technical background of smart cities and smart city service. The result drew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reflection of opinion by local government on smart city policy, classification and provision of smart city benchmarking cases for each capability and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ntroduction of technolog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을 대표하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추진 현황을 제도적 동형화의 강압적 동형화, 모방적 동형화, 규범적 동형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도적 동형화의 이론적 분석틀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핵심 키워드 확인 등을 통해 동형화 현황을 확인하였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는 스마트시티 관련 중앙정부의 법・제도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법,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스마트시티 인증제도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방적 동형화는 지자체 간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모방적 행태를 확인하고자 스마트시티 핵심성공요인, 스마트시티 비전, 스마트시티 추진 목표 등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화에 해당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스마트시티 기술환경,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기술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지능정보기술의 주요 기술이 공통으로 언급되고, 이에 따른 스마트시티 정책의 구현화인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도 관련 기술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분석틀에 따른 동형화 내용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정책에 지자체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각 지자체의 역량과 환경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례에 대한 중앙정부의 선별 및 홍보이다. 셋째, 지자체의 현황에 따른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 등이다.

      • KCI등재

        일의 의미 척도개발 및 타당화

        서형준,탁진국,김혜선,남동엽,정희정,권누리,김소영,정일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성인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의 개발을 위해 개방형 설문과 두 차례의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 구성개념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다양한 직장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8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총 5차례의 문항분류작업을 거쳐 9개 요인, 86문항을 선별하였다. 다음은 예비조사를 1차 500명, 2차 236명을 대상으로 2차례 실시하여 9개 요인 60문항, 8개 요인 54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근로자 608명, 비근로자 408명 등 총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조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집단 1의 508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집단 2의 508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집단 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7문항으로 구성된 8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2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8개 요인구조 모형의 부합도가 높게 나타나서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일의 의미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의 각 요인은 대부분의 준거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따라서 본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이론․실무적 시사점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1영어 교과서 모형 : 의사소통 기능의 개발 중심으로

        서형준 The English Linguistic Science Association of Kore 2001 English Linguistic Science Vol.6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develop an English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7th Nation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and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o develop the English textbook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 part of English educ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7th Nation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is study compared the 7th with the 6th Nation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textbook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this textbook can help small-class sizes achieve the education efficiently through each stage and students improve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 The second is that this textbook not only offers the model of the textbook to the novice authors but also helps them write the textbook more easily. The third is that this textbook includes a number of 7ictures and games, which motivate the learner to study English with pleasure. The fourth is that the texbook focuses on the activities that interest the learners who have just finished the basic stage in elementary school. The fifth is that the textbook insets the Check box and Tip box, which give reamers the opportunity to review the key points and words, at the bottom of each page of SPEAK and SPEAK MORE. Finally, the textbook focuses on only the speaking part so three skills such as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ould be needed to write after this.

      • 영어교수-학습 극대화 방안을 위한 인터넷 활용에 관한 연구

        서형준 The English Linguistic Science Association of Kore 2000 English Linguistic Science Vol.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s of using the Internet for effective English-Instruction which can be used in English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methods for using the Internet for students and teachers who want to improve and teach English. For effective English-Instruction, the first part is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Internet and English education. The second part reviews the theoretical study of the Internet and English-Instruction. The third part examines the practical study of using the Internet. In conclusion, the use of the Internet in English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 lot. But many researches should be made in order that the Internet will be used effectively in English education in future.

      • KCI등재

        쏘일네일링의 세 가지 파괴모드를 고려한 설계 최적화에 대한 연구

        서형준,이강현,박정준,이인모 한국지반공학회 201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8 No.7

        Soil-nailing is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inforcing for slope stability. In general, two factors are considered as failure modes during the soil-nailing design stages: pullout failure mode and shear failure mode that will occur on the most probable failure plane. In many cases, however, shallow failure can also occur when the ground near the slope face is swept away by the horizontal stress release during the staged top-down excavation. In this paper, an optimized soil-nailing design methodology is proposed by considering the three failure modes mentioned above: pullout failure;shear failure; and shallow failure. The variables to be optimized include the bonded length and number of soil-nailings,and the confining pressure that should be applied at the slope face. The procedure to obtain the optimized design variables is as follows: at first, optimization of soil-nailings, i.e. bonded length and number, gainst pullout and shear failure modes; and then, optimization of confining pressure at each excavation stage that is needed to prevent shallow failure. Since the two processes are linked with each other, they are repeated until the optimized design variables can be obtained satisfying all the constrained design requirements in both of the two processes.

      • KCI등재후보

        국내 지역 연구개발투자 효율성 분석: 지역혁신산출지수를 중심으로

        서형준,이형석 (재) 인천연구원 2018 도시연구 Vol.- No.13

        South Korea can utilize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urning point in recession where it includes low growth, low fertility, and aging. To draw hyperconnectivity and superintelligence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ous provision of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secured. Above all we assumed that examining investment in R&D which cause hyper innovation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igh priority. Especially, because of spread of decentralization, each region gradually has extended its leverage in various policy fields like welfare and economy growth, so we analyzed efficiency of instru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16 domestic regions. We utilized the amount of investment in R&D, research manpower as input variables and also regional innovation output indicators, the number of SCI as output variables. We could find that efficiency of Seoul metropolitan area was less than that of total domestic region. In terms of Returns to Scale(RTS), almost all regions showed DRS(Decreasing Returns to Scale). Lastly, Gwangju, Gangwon and Ulsan are reported as reference sets for benchmark. 4차 산업혁명은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침체기에 있는 한국사회에 있어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인 초연결성, 초지능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과학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초혁신을 야기하는 과학기술투자 즉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인식하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개발투자는 신성장이론에 따라 생산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경제성장의 주요변인이다. 특히 분권화의 지속적인 확대로 각 지자체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가는상황에서 본 연구는 16개 지자체에 따른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개발투자비·연구원 수를 설정하였고, 산출변수는 지자체의 혁신역량을 대변하는 지역혁신산출지수, SCI 편수 효율성 분석을 위해SBM을 활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년의 시차를 적용하여 산출변수는 2009- 2012, 산출변수는 2011-2014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효율성 측면에서 수도권 지역이 국내전체 효율성 수치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수익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지역이DRS(규모수익체감)상태를 보였으며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에 있어 광주, 강원, 울산이 본 벤치마킹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역별 적절한 연구개발투자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하다. 셋째, 단기성과를 위한 응용기술이 아닌 장기적인 원천기술 및 도전적인 분야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