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전환적 유아세계시민교육 수업참여의 의미

        서현선 ( Suh Hyun-sun ),전홍주 ( Jun Hong-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학습자의 주체성과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는 전환적 성격의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속에서 드러나는 수업의 의미는 무엇인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20년 1학기 한 대학에서 유아교육전공 4학년을 위해 개설된 유아세계시민 교육 교과목을 수강신청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1명의 예비유아교사들과 면담하였으며, 이들의 수업 후 저널, 기록화 연습, 나의 교육관 에세이 등 모든 수업산출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세계시민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 스스로 유아교사로서 자신의 부족한 점을 자각하는 반성적 자기 성찰의 기회였고, 유아라는 존재를 재인식하며 유아세계시민교육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교육신념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이 수업을 통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의 필요성을 깨달으며 교육을 통한 변화 만들기에 기여하기 위한 나름의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및 유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및 전환적 성격의 교사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the lessons revealed in the narrativ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nd described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hich emphasizes learner's subjectivity and critical thinking. For this, we interviewed 1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senior-level course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0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ll the class outputs such as daily journals, documentation practice, and an essay on their view of education were collected.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lessons wer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ir shortcoming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ritical self-reflection and a process to re-recognize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as global citizens, as well as a means to discover the mean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form one's own educational beliefs. Furthermo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a tim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critically through these lessons and to explore their own ways to contribute to making change through education. These findings can provide ideas for the oper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ransformative teacher education class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서현선(Suh Hyun Sun),박혜준(Hye Jun Par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유아교사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이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시간이며, 이 시간 에 이루어지는 놀이가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유아교육현장은 어머니들의 요구에 민감 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운영여부에 영향을 준다. 이 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 상황을 촬영한 동영상자료를 심층면담의 도구로 활용 하여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방법은 비디오를 활용한 문화기술지연 구(video-cued multivocal ethnography)에서 착안하였다. 심층면담은 교사와 어머니에게 놀이의 의미 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으로 시작한다. 다음은 연구참여자들이 연구자가 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진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를 12분으로 편집한 영상자료를 본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은 영상자료에 대 한 반응을 바탕으로 놀이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 다시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심층면담이 진행된다. 영상자료의 활용을 통하여 교사와 어머니들은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가치와 자유놀이시간의 놀이의 의미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다. The significance of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is well understoo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play is the ke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Unlike teachers, Korean parents may have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play due to their high expectation about learning through hard work, not play.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perceive young children’s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through video-cued in-depth interview. This method was based on the Video-cued Multivocal Ethnographic Research. The teachers and mothers in this study were first asked to think and talk about the meaning of play for young children. Then they were asked to watch the 12-minute-long video clips in which the first author of this study edited to capture the scenes of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in Seoul, Korea. Then the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the conversations about the meaning of play based on their reactions about the video. This video-cued in-depth interview helped teachers and mothers to rethink the meaning of play and the value of child-led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교사 자격기준과 양성체계 및 과목편성 지침 비교

        서현선 ( Suh Hyun-sun ),전홍주 ( Jun Ho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교사 자격기준과 양성체계 및 양성과정의 과목편성 지침을 비교분석하여 유치원교사양성과정의 질 향상을 위한 학술적 논의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국의 교육관련 주무부처 홈페이지를 통해 유치원교사 자격검정 관련 최신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학위수준에 상관없이 동일한 자격증을 수여하고, 일본은 학위수준에 따라 자격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교사 양성체계는 한국이 규준강화를 통한 유치원교사 간 동질성을, 일본은 대학의 자율성을 통한 유치원교사의 주체성을 지향한다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이러한 차이는 과목편성 지침에서 유아교육의 고유성 반영여부, 교사 적성 및 인성고려 방식, 사회적 이슈의 대응방식에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양성과정에서 유아교육의 본질에 충실하기 위한 기본이수과목의 정선, 체험을 통해 배움을 종합해보고 부족한 부분을 찾아 보충해볼 수 있는 체험적·종합적·반성적 성격의 과목 보완, 각 대학 교육과정 편성에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목편성 관련 규제완화 등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raining system and training course curriculums of Korean and Japanese kindergarten teachers and attempte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for academic discussion to achieve qualitative change in the training process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For this, data regarding teacher certific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education related department websites of both countrie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Korea presents the same certifica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ademic degree and Japan makes distinc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degree. Also, with regard to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systems, Korea aims for homogeneity among kindergarten teacher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criteria, and Japan aims for the independ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through institutional autonomy.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se differences appear as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uniqueness in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consideration methods, and reaction methods towards social issues. Last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electivity of basic required subjec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e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pplementation of heuristic, comprehensive, and reflective subjects that can supplement insufficiencies i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the relaxation of regulations regarding curriculums so that the educational courses of each university can demonstrate creativity.

      • KCI등재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태전환교육 접근방식 분석

        서현선 ( Suh Hy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3

        인간이 야기한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상실 등으로 인하여 기후 위기 의식이 고조되는 가운데 기후 변화에 반응하는 교육으로써 생태전환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2019년에 개정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태전환교육 접근방식을 분석하고 앞으로 개정될 누리과정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할 것인지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해 새로운 교육적 상상을 강조하는 국제미래교육위원회의 보고서를 준거로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유아교육과정을 내용분석하였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유아교육과정은 유아 역시도 인간 이상의 세계의 일부로서 바라볼 수 있도록 공동세계의 페다고지를 소개하고, 리좀적 접근방식으로 새로운 교육을 상상하며 인간중심교육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동적인 탐구를 요청하며 교육에 관한 새로운 대화를 이끌어 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차후 개정될 누리과정이 생태전환 관련 요소를 첨부하는 방식이 아닌 인간중심사고에서 벗어나는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등 인간의 생각과 행동의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생태전환교육을 어떠한 방식으로 담아내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Amid increasing awareness of climate crises caused by climate change, biodiversity loss, etc.,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gaining attention as an approach to addressing climate change. This study analyzes the approaches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resented in the revised 2019 British Columbia Early Learning Framework in Canada, and seeks insights into how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ould be approached in the upcoming revised Nuri curriculum. Utilizing the report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Future Education, which emphasizes new educational imagination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British Columbia Early Learning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The Framework introduces a pedagogy of the common worlds that enables young children to see themselves as part of a world, and imagines transformative education through a rhizomatic approach. It calls for a lively exploration away from anthropocentric education, thus initiating new dialogues about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forthcoming revisions to the Nuri curriculum should embody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not merely as an added element but as a paradigm shift away from anthropocentric thought, seeking a holistic change in human thoughts and actions.

      • KCI등재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서현선(Hyun Sun Suh),전홍주(Hong Ju Jun),민선혜(Sun Hye Min)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find directions for dietary educatio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wo countries’ dietary education in thei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Methods: To this e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uidebooks fo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Accreditation Index for Child-care Cent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he handbook for the Child-care Guideline and the Third Party Evaluation in the case of Japan.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showed differences in the focus of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The contents about proper eating such as nutrition and table manners comprised a high portion of the curriculums, whereas the contents about cleanness and hygiene accounted for a high portion of the evaluations. In the case of Japan, its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consistently emphasized contents related to enjoying eating oneself, and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this. Second, in terms of the two countries’ approaches to dietary education, South Korea focused on food-related knowledge, whereas Japan mainly created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based on daily experi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ly publicized dietary guidance problem and a need for consistent the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and evaluation indicators in South Kore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yful eating.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사연수와 다문화가정 유아지도 경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차이 분석

        최선경 ( Choi Sun-kyung ),서현선 ( Suh Hyun-s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를 바라보는 유아교사의 태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다문화 교사연수와 다문화가정의 유아지도경험이 유아교사의 고정관념과 편견 극복을 비롯한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만들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세종, 경기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사연수 경험의 유무에 따라 고정관념적 사고 및 편견 극복 능력을 제외한 의사소통능력의 모든 하위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지도해 본 경험의 유무에 따라 타인관점의 이해와 정보수집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청능력에는 정적인 차이가 있었고, 고정관념적 사고 및 편견 극복 능력에는 부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사교육이 유아교사 자신의 고정관념적 사고 및 편견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자기 성찰 및 비판적 사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and to find out whether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ke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the ability to overcome stereotypes and bias. Accordingly, 264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on empirical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he Likert scales of each.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ability, excluding the ability to overcome stereotypes and bia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eachers were trained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s point of view and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as a positive difference in listening ability, and negative difference for stereotype thinking and ability to overcome prejudic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was suggested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introspection and critical thinking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ir own stereotypes and prejudices and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m.

      • KCI등재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유아들의 이야기

        윤미경 ( Yun Mi-kyung ),서현선 ( Suh Hy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현재를 살아가는 유아들은 스마트 미디어가 일상화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스마트 미디어와 관련된 경험을 듣고, 스마트 미디어 관련 이슈들에 대한 유아들의 견해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12명의 유아가 2명씩 짝을 지어스마트 미디어와 관련된 경험을 나누는 면담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은 일상의 경험을 통해 스마트 미디어의 다양한 쓰임새와 조작방법을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미디어의 과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 유아들에게 적절하지 않는 콘텐츠에 대한 이슈, 절제에 대한 이슈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의 사용 역량에 대한 이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표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교사 주도의 안전이나 중독 예방 측면에서 교훈적으로 접근하는 유아 미디어 교육을 넘어 디지털 네이티브이자 시민으로서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관심과 역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비판적 시각의 함양을 이끄는 미디어 교육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Young children are living in a world where the smart media has become a part of everyday life. This study aimed to listen to the children’s experience related to the smart media through the voices of young children, and pay attention to the young children’s views on the smart media-related issues. To this end, 12 children aged 5 participated in research interviews in pairs. Through the interviews, it wa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know various uses and manipulations of the smart media through their daily experience. Furthermore, the participating children expressed their views on issues such as visual acuity decline through overuse of the smart media, concerns regarding the contents not suitable for the age, excessive immersion in smart media, and young children’s ability to use smart med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media education conducive to young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based on understanding the interests and competencies of young children as digital natives and citizens, beyond the traditionally teacher-led and didactic media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