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이 종업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및 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

        서정재,윤동열,장제욱 한국생산성학회 2024 生産性論集 Vol.38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업원은 조직이 제공하는 교육훈련 및 개발을 통해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으며, 조직은구성원의 역량을 향상시켜 직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울산지역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결과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은 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인적자원개발 시스템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고, 인적자원개발과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이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시스템의 수준은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차원에서 아무리 중요한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이라도, 구성원들의 이해와 참여가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조직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원들의 가치와 조직 환경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ompany'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on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it.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employees can develop their potential capabilities through training and development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and that it will contribute to performance improvement by enhancing employees' capabilities and enabling them to perform their jobs more efficiently.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40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skill development training a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Ulsan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RD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system and turnover intention is significa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f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system and job commitment i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confirm tha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ffects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 company ha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reduce employee turnover intention. We also found that no matter how important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i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must be understood and engaged by employees. In addition,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seek institutional support for employee valu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organizational fit.

      • KCI등재
      • 이산선택 모델 및 고객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교통 모드별 수요 분석 프레임워크의 개발

        서정재,안재명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복수 교통 모드가 존재할 때 이산 선택 모델(discrete choice model) 및 고객 세분화 기법(customer segmentation)을 이용하여 교통 모드별 수요를 모델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산 선택 모델 및 고객 세분화 기법 전반에 대한 소개와 관련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소개된 기법들을 이용하여 교통 수요 모델링 및 민감도 분석과 분석 결과를 통해 정책 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를 응용할 수 있는 방안과 그 기대효과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methodology to model and analyze the transportation demand. Brief ov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on the discrete choice model and the customer segmentation have been presented. A framework that can model the transportation demand, evaluate the sensitivity of the demand with respect to the model parameters, and derive the insights that can be used for the transportation policy decisions has been proposed. Expected future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framework have been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D-Trp6-LHRH 치료에 의한 자궁평활근종 완치 2례

        이두룡,서정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1991 계명의대학술지 Vol.10 No.2

        Long acting D-Trp??? Luteining hormone-releasing hormone(D-Trp??? LH-RH, Decapeptyl)4mg were given monthly, intramuscularly for a period of 6 months to 2 menstruating patients with symptomatic uterine leiomyomas. The 2 patients ages were 28 and 34 years. Uterline volumes were measured by serial pelvic examinations and pelvic sonograpy. Measurements of serum estradiol, luteinizing hormone,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were used to asses treatment respon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uterine and tumor volumes was observed in 2 patients. Common side effects were hot flashes, vaginal dryness, mold headaches, sweating, which were acceptable. These case report suggest that administration of a delayed-released formulation of D-Trp??? GnRH agonist can be a worthwhile and convenient approach to medical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especially to nulliparous woman with uterine leiomyoma.

      • KCI등재

        공대지 유도폭탄 투하 가능 영역 계산 알고리즘 개발

        서정재(Jeong Jae Seo) 한국항공우주학회 201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5 No.6

        투하 가능 영역(LAR)는 공대지 유도 폭탄을 장착한 항공기가 표적을 성공적으로 타격하기 위하여 진입하는 영역을 말한다. LAR는 항공기 투하 조건, 표적 착탄 조건, 대기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투하, 착탄, 환경 조건 등의 입력 조건을 변화시켜 많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LAR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시험하였고, 공대지 유도폭탄의 LAR 도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aunch Acceptability Region(LAR) is a region for an aircraft which carries air-to-ground guided bombs to enter such that it can successfully hit the target. LAR should consider the release condition of an aircraft, impact condition for targe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atmosphere. In this paper, LAR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the database of many simulations which were varied by inputs, such as the release, impac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lgorithm was tested through the direct simulation results, and found that it was suitable to apply as LAR for air-to-ground guided bomb.

      • KCI등재
      • KCI등재

        CLARA 기법을 이용한 공대공 유도무기의 동적발사영역 개발

        강예준,서정재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23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7 No.3

        The effective range, which is composed of the DLZ, was calculated using the CLARA technique to calculate the LAR of the air-to-ground guided bomb. A pseudo-6DOF model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motion of the air-to-air missile, and this model was used to perform multi-simulations after generating input condition arrays. After calculation, the functions of the regression model were created using the results of maximum effective range and the minimum effective range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fighter. As a result, the DLZ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single simulation, and the real-time was confirmed. 공대공 미사일의 동적 발사 영역은 전투기가 공대공 교전 상황에서 표적을 격추하기 위해 유효사거리를 계산 후 시각적으로 표현한 영역을 의미한다. 공대공 교전 시 실시간으로 무장조준 알고리즘이 빠르게 계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공대지 유도폭탄의 투하 가능 영역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CLARA 기법을 이용하여 유효사거리를 산출하였고, 이를 동적 발사 영역으로 구현하였다. 공대공 미사일의 운동모의를 위해 Pseudo-6DOF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입력 조건 배열을 생성 후 다중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 중 최대 유효사거리 결과는 회귀 모델로 함수화 했으며 최소 유효사거리는 전투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구현한 동적 발사 영역은 공대공 동적 모델 단일 시뮬레이션 결과와 부합함을 확인하였고, 실시간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직업훈련서비스와 교육훈련 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우봉우 ( Bong Woo Woo ),서정재 ( Jeong Jae Seo ),윤동열 ( Dong Yeol Y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5 生産性論集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the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 quality,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of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wh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train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VET service quality and employability.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raining satisfaction(4.51), TVET service quality(4.41), and employability (4.32) of the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showed above average based on five-point Likert scale. Second, the level of employability of trainees who were teenag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latively. Third, main factors influencing on both of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of trainees among several TVET service factors showed training contents, training methods, trainers, and employment support, in which training contents and training methods influenced the most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Finally, training satisfaction of trainee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VET service quality and employ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