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0년 광주 이후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남편-아내’ 인물형 변주의 의미 - 자전적 공간과 작가 정체성 모색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서은혜 ( Seo¸ Eun-hy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이 글은 오정희의 80년대 소설 중 남편의 사회적 갈등 모티프가 드러난 소설인 「야회」 (1981), 「그림자 밟기」(1987), 「파로호」(1989)에서 드러난 자전적 공간을 80년대 이후 작가적 정체성의 균열과 모색 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필립 르죈(Philippe Lejeune)은 텍스트들의 연쇄 속에서 독자에게 복합적이고 모호한 총체적 작가의 상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앙드레 지드의 소설적 사례를 ‘자전적 공간’이라 명명한다. 이 자전적 공간은 복합적 텍스트들의 유희를 통한 작가의 자기 정화와 해방이라는 효과를 낳는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은 이 글의 대상 작품들이 보이는 ‘남편-아내’ 형상의 허구적 변주의 의미와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오정희의 산문, 대담에서 보이는 전기적 사실에 대한 회고와 대상 작품을 비교하여 자전적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추론하였다. 80년 여름 서명운동에 참여한 남편이 당국의 감시를 받던 상황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발표한 「야회」에서 비판적 지식인으로 그려지는 명혜의 남편 길모와 그 동료인 송 교수는 작가의 실제 남편상과도 연결된다. 또 주인공 명혜는 소설쓰기에 대한 고민에 가득했던 오정희 자신의 모습을 일부 투영하고 있다. 오정희는 화려한 파티 이면에 감춰진 사람들의 속물성과 가벼움을 한 축으로, 그리고 그 파티와 어울리지 않는 길모나 송 교수 같은 사람들과 명혜를 ‘소외감’이라는 동질성으로 엮음으로써 ‘실존성’이라는 범주에 이들을 위치 짓고자 한다. 이는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현실적인 부와 명예를 추구하는 이들과 구분 짓는 자리에 두고 있는 오정희의 지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왜 광주에 대해 말하지 않느냐는 내·외적 물음에 갈등하다 미국을 다녀온 이후 발표한 「그림자 밟기」와 「파로호」에서는 지식인으로서의 남편의 허위의식이 여성 주인공의 시각에서 비판되며, 이러한 서술을 통해 외적 요구에 대한 자기 정당화를 하고 작가로서의 진정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 진정성은 경옥의 민수에 대한 친근감의 표현이나 혜순의 글쓰기 욕망의 동기에 대한 분열적 서술로부터 찾을 수 있다. 이처럼, 남편의 사회적 갈등을 허구적으로 변주한 이들 작품은 오정희의 균열된 작가 정체성의 모색 과정과 자기 성찰, 자기 정당화의 추구라는 자전적 언술행위의 한 사례로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독법은 오정희 소설의 자전적 성격을 드러내는 텍스트의 범주를 좀 더 확장시키려는 연구사적 맥락을 보완한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autobiographical space of Oh Jeong-hee's three short stories in 80s, through exploring recurrent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in "Yahoe" (A Night Garden Party, 1981) , "Gurimja babki"(Shadow treading, 1987) and "Paroho" (The Lake Paro, 1989). To speak in Lejeune's term, autobiographical space is the effect which reader can find author's figure in the process of reading his/her several texts together, not possible for reading just independent text. The author of the texts in this space performs certain role in his/her texts through free fictionization and he/she pursues to gain self purification or self liberation. In the light of this, I attempt to examine the meaning of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through the comparison Oh's stories with her essays. Gilmo and his colleague professor Song in "Yahoe" is much of Oh's husband, in that they are both critical intellectual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80s. The main heroin Myunghye is also much of Oh herself, in that she reveals the difficulty of writing and the doubt of its effectiveness. Oh establishes the binary opposition of 'snobbism/existence', attributing Myunghye, Gilmo and professor Song to the latter and the others in the party to the former. It reveals Oh's thought that writer should be original himself/herself, watching being normal snob. We can notice Oh was criticized for not writing about Kwang Ju in 1980 through her several essays and it seems she had huge burden for that. She had gone to the United States from 1984 to 1986, with her husband who was a exchange professor at that time. After returning to Korea, she published "Gurimja babki" and "Paroho". Both works has in common in that Oh describes husband characters who have false consciousness. They really had the eager for comfortable life or reputation although they wanted to be a critical intellectuals. This characterization was possible from the view of their wives, who were much of Oh herself. The closeness Kyungok felt to Minsu in "Yahoe" and multi layered narrative in "Paroho" are the result of Oh's autobiographical act. It seems Oh sought for self liberation through negative fictionization of husband character, representing people who demand her for writing the works which testify social irrationality. Thus Oh's autobiographical space in 80s is closely related to the demand for changing her writing style adjusting to social demand. She pursued new writer's identity by establishing recurrent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in several works.

      • KCI등재

        존 카메론 밋첼의 영화 <헤드윅> 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서은혜 ( Eun Hye Seo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2 패션 비즈니스 Vol.16 No.2

        Among diverse cultural types which can be shown in movie, ``Subculture`` is young culture that resist to major culture. It shows its belief and identity via its own style. Their ``Subcultural Style`` became popular with mass media and has been affected to major cultur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ith times background as postmodernism in end of 20th century and mainly with movie <Hedwig And The Angry Inch> which is about sexual minorities, I analyzed categories of costumes in the movie. Hedwig`s rock costume shows combined fashion with hippie, punk, glam, kitsch, goth styles from the impact of postmodernism in mid 20th century. Tommy, showed his relief and defiant intention against old generations with grunge casual and graffiti styles. After he realized Hedwig`s identity and showed defiant goth rock style as a famous rocker. The band, Angry Inch, showed dissatisfaction and cynical attitude against the American society through subculture styles. Through this research, the fact that movie costume used a tool to show human`s identity and value. Also, I can see that movie costume shows times and cultural phenomenon in the end of 20th century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is contributes to crease new fashion style through them.

      • KCI등재

        손창섭 소설과 니체적 사유의 관련성

        서은혜(Seo, Eun-Hy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4

        This paper shows the relation between Son Chang-seobs memory of reading Nietzsche and his creating narratives in his short stories. Son did not remain much memoirs about his own life, so most researchers have a tendency to refer to his autobiographical novels such as Work for Amusement(「신의 희작」) According to Work for Amusement(「신의 희작」), emotion that govern his life is guilt and resentment, which libido switches from inside to outside of the ego. Nietzsche also set up the human being according to their existential state, the weak and the strong. The weak is who have resentment towards the world and want to be socialized as possible. The strong, which can be developed the super-man later, is alone and generous. They do not easily have resentment towards other people and rather they feels the responsibility of their beings and world. It shows the strong power of inside. Son must be found this frame attractive, because he consider himself as the weak, in Nietzsche sense. Work for Amusement(「신의 희작」) shows complex and the will of conversion who want to be the strong. Son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violent community in The Victim(「피해자」), Writing in Blood(「혈서」) Living(「생활적」). Difficulties of finding job, compulsory marriage and self-alienation, isolated person by community are well described in these stories. From 1955, Strong characters who realize the will of power that started from “Disturbance(저어)” leads to “Lonely Hero (고독한 영웅),” and “human debris(잉여인간)” These people are in the precisely opposite position compared to the characters who show excessive guiltiness in early short stories. They strongly resist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and corruption in 1950s Korean society and that is much similar to the attitude of Nietzsches strong person, sovereign individual. In conclusion, Sons experience reading Nietzsche influences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o criticize about the severe corruption in postwar society.

      • KCI등재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시민행동,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은혜(Seo, Eun Hye),이효주(Lee, Hyo Joo),박성민(Park, Sung Min)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근거해 조직 구성원의 외재적 동기가 동기형성 요인인 자율성, 역량성, 관계성을 경험하였을 때 내재적 동기라 할 수 있는 공공봉사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부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렇게 형성된 동기들이 공무원 개인의 삶의 질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외재적 동기인 보수와 후생복지에 대한 만족도가 공공봉사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 역량성, 관계성이 외재적 보상에 대한 만족도와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기와 조직시민행동, 삶의 질 간의 영향관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삶의 질을 모두 제고하기 위한 혁신적인 공공봉사동기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flue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nd the quality of life (QOL) of public sector employees in Korea.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satisfaction on pay and welfare, which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trinsic motiv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oderate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CB and Q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emphasizing that an innovative program designed to develop public service motivation needs to be introduced to enhance both the OCB and the QOL in the Korean public sector.

      • KCI등재

        TV 드라마 〈미스티(Misty)〉에 나타난 미스터리 구조의 중층성 : 지연 전략과 장르 혼성을 중심으로

        서은혜(Eun-Hye Se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2018년 JT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미스티〉는 시청자들에게 살인 사건과 관련된 여러 허구적, 언어학적 단서를 제시하고 있다. 또 범인인 남성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이중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애매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청자들이 범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킨다. 이러한 지연의 기저에 놓인 것은 로맨스 서사과 미스터리 서사의 유기적인 인지적 결합이라는, 장르 혼성의 방법이다. 즉, 〈미스티〉는 사랑에 헌신적인 남성 인물이라는 시청자의 로맨스 장르에 대한 기대지평을 전복하는 순간 범인에 대한 올바른 추론 과정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시청자들의 장르 인식을 교란시키면서 탄생되는 특수한 장르 혼성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미스티〉에 나타난 미스터리 구조의 중층성은 TV 드라마에서 정통 추리 구조는 성공하기 어렵다는 통념을 벗어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보통 두 플롯의 물리적 인접성을 위주로 결합되는 기존 미스터리물의 장르 혼성 사례와 차별화된다는 것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V drama 〈Misty〉, aired on JTBC in 2018, used several fictional and linguistic clues on the murder case. It effectively delayed the process of inferring the perpetrator by utilizing ambiguity and trap, which enabled the double interpretation of the the main characters diaglogue and action. This delay could be made by employment of genre hybrid,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of viewers about typical romance plot and mystery plot in TV drama. In other words, 〈Misty〉 could be evaluated as a special genre hybrid case that disturbs viewers perception of genre in that the correct reasoning process began from the point that overturned the viewers expectation about typical romance genre dramas in which male main characters mostly devoted to love. The complicating mystery structure shown in 〈Misty〉 is against the opinion that the traditional mystery structure is difficult to succeed in TV dramas.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 genre, it is different from the usual mechanical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plots. These characteristics in 〈Misty〉 are worth to highly evaluated.

      • KCI등재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사진’의 의미 - ‘사실-허구의 변증법’에 대한 새로운 탐색

        서은혜(Seo, Eun-hy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6 No.-

        이청준은 70년대 발표된 「이어도」, 『춤추는 사제』에서 사실성과 허구성의 대립축을 설정, 진실을 가늠하는 데 있어 두 가지 대립축의 균형이 얼마나 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 허구가 내포할 수 있는 진정성의 문제를 다룬 바 있다. 80년대 들어 사진을 소재로 한 「생명의 추상」, 「시간의 문」, 「섬」에서는 이 주제를 변용하여 ‘사실성’이 내포할 수 있는 자기 포용과 타자에 대한 책임 윤리, 한 가지 사실의 복수(複數)의 개별적 진실로 파생, 환상이나 허구가 사실, 실체적 차원을 압도할 수 있다는 새로운 ‘현실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명의 추상」과 「시간의 문」에서는 사진의 지표(index)로서의 속성, 즉 ‘대상이 그 시점에 거기에 존재했었다’는 인증적 차원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 소설 속 인물들이 사실성의 차원을 수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 타자의 존재를 포용하고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 「시간의 문」 후반부에서 여자와 ‘나’의 사진에 관한 토론은 사진으로 표상되는 하나의 ‘사실’이 두사람에게 각기 다른 개별적 진실로 다가가는 일종의 푼크툼(punctum)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섬」에서는 타나토스의 매혹으로서의 섬의 환상에 빠진 ‘나’와 여전히 홀섬의 모습을 반복적으로 촬영하는 강 형을 동궤에 놓음으로써 실체에의 접근 불가능성과 사실성의 차원을 무화시키는 허구나 환상의 압도적 현실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청준의 새로운 탐구는 허구가 개인의 진정성을 내포할 수 있다는 것을 골자로 하는 70년대 이청준식 진리론의 내용을 넘어서서, 사회적 공의로서의 진실의 성립 조건, 그리고 사실과 개별적 진실 사이의 역동이라는 좀 더 복잡한 진리론의 영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그리고 이는 80년대 들어서서 사회와 개인의 갈등과 조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심화시켜 나간 작가의식의 소산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Yi Cheong-joon examined the balance between reality and fictionality in assessing the truth in two 70’s short stories, The Ieo Island(「이어도」) and Dancing Priest(『춤추는 사제』). On the other hand, Yi examined new literary themes such as self-acceptance and responsibility to others based on the the importance of reality, derivation of one fact into individual truths and overwhelming power of fantasy to reality in 80’s short stories. This change was closely related to the author’s own interest on the problem of harmony and conflict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in 80s. The characteristic of a photograph as an index was shown from Abstraction of Life (「생명의 추상」) and The Door of Time(「시간의 문」). Taking picture was interpreted opposite of imagining something and that behaviour implied the importance of embracing other in these stories. A photograph also played a key role of analogy of truth, as it works as a punctum,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in his Camera Lucida(『밝은 방』). On the other hand, Yi emphasized overwhelming power of imagination in The Island (「섬」). A Photographer Kang could not reach to the real shape of an island forever, thus he should take same pictures repeatedly. It is described as implying same meaning why ’I’ could not escape from internal imagination about the island. In conclusion, Yi examined the new dialectic of reality and fictionality by using photograph as a main object in his 80s short stories.

      • KCI등재

        나도향 소설과 낭만적 자아의 윤리

        서은혜(Seo Eun hye)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3 No.-

        In several reports, the romanticism of the Na Do-hyang s novels were understood to mean the same as sentimentalism or longing , and it was mainly criticized as an indication of lack of realism.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e negative connotation of the romanticism in those reports. First, The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Na s novels are considerably similar to thos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Swan , which Na Do-hyang belongs. Second, They want to establish literary continuity from Swan to the Anti-conventional literature. They want to explain sentimentalism which is mentioned as the feature of the former is transferred realism, which is considered as that of the latter. However, researchers begin to consider the romanticism in 1920s not as a historical art trend, but as a problem of sensibility lately. In addition to this,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romantic sensibility of Na’s Do-hyang novel is not limited to the talking about the Swan literary character, but it is necessary to be narrated inductively through analyzing his various works. This report focus on the ethical sensibility of Na Do-hyang s characters. In western romanticism, nature was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on of eternity and sacred. It was the result of resistance against the mechanicalistic view ofthe world. But in Chosen literary field in 1920s, the representation of eternity was much more cultural, such as love, art, trust. These concepts were imported by western society in that period. And Na want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s who support eternal values such as love and art faithfully. They face many obstacles such as the logic of capitalism in newly modernized Chosen, but they also overcome through fidelity to their own belief. Death is the result of that kind of attitude. This kind of fidelity, which Na s characters show, is grounded of the argument of Nietzsche. Na Do-hyang agree the morality of the strong ( übermensch in Nietzsche s context) of Nietzsche. We can find it from the several mentions of characters. The strong person, same as übermensch in Nietzsche s context, judge the whole events by his own ethical opinion. He does not follow social morality unconditionally. In conclusion, the romantic sensibility of Na Do-hyang s characters are newly summed up three points. First, the tendency of following the value of eternity, such as love, art, and trust. Second, we can find a ethical fidelity to the eternal value in diverse works. They sometimes choose to die for defending their belief. Third, they consider the value of spontaneous judgement in moral dilemma importantly. This results help us t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Na s own romantic sensibility from those of other Swan members.

      • KCI등재후보

        백화점 화장품 브랜드 종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은혜(Eun-Hye Seo),태동숙(Dong-Sook Tae)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0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0 No.3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uld have an influence on employee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tested among name-brand cosmetics sales clerks at department stor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total of 310 name-brand cosmetics sales clerks from domestic department stores, and 30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ngagement’ while no effect was found i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n addition, even though ‘intellectual simulation’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no influence was observed in ‘charisma’ or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n that regard. Second, both ‘emotional engagement’ and ‘job eng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ustomer orient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the only factor to reveal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e leaders of name-brand cosmetics shops at department stores need to express a vision to employees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crease employee engagement by emphasizing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urge them to work with a new mindset. The study results also found a necessity of the leader’s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to examine employee engagement (emotional and job engagements) and the employees’ needs and capabilities for customer orientation, which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이청준 소설 속 인물들의 자기기만과 실존의 조건

        서은혜(Seo, Eun-hye)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196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는 반공법을 명분으로 한 지배권력에 대한 순응이 가시적, 비가시적 형태로 요구되었다. 이청준은 실존적 사유를 현실포착과 의미화의 틀로 개입시키고 있다. 이 글에서는 『존재와 무』 제2부에서 인간 의식의 보편적 특성이자 필연적 현상으로서의 ‘부정성’을 드러내는 ‘자기기만(la mauvais foi)’의 개념을 통하여 이청준 소설의 인물을 유형화하고, 작가가 실존과 자유의 문제의식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때 ‘자기기만’은 신념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지는 성실성의 폭력, 자유와 선택을 스스로 거부하고 사물에 가까워지고 자 하는 죽음 지향의 유혹, 명증해 보이는 진리에 대한 인간의 끝없는 회의와 부정성이라는, 불안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일반적 유형들을 제시한 개념이다. 『소문의 벽』의 김 박사, 『당신들의 천국』의 조백헌 대령으로 이어지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무조건적 확신을 보이는 인물들의 태도는 자기기만의 허위를 파악하지 못한 채 그것을 세상에 대한 충실한 태도라 믿는 ‘성실함의 자기기만’으로 묶어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는 반공법을 명분으로 한 여러 필화, 간첩 사건이 가시화되던 시대배경과 함께 독재 심리의 내밀한 역동을 암시하고 그 폭력성을 우회적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한편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소문의 벽 에 있는 액자소설에서는 스스로 능동적인 선택의 기회와 그에 따른 자기 형성을 거부하며 유사 죽음의 상태를 지향하는 인물들이 나온다.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에서 여성 두 명을 두고 저절로 그들 사이에 선택이 이뤄지도록 하는 소설 속 소설의 주인공, 〈괴상한 버릇〉에서 낭패한 일이 생길 때마다 잠을 자거나 시체처럼 누워 있는 주인공, 〈벌거벗은 임금님〉에서 사장의 일탈을 발설하면 안 된다는 강박에 못 이겨 마침내 감시의 환상에 시달리는 주인공, 마지막 소설에서 신문관의 ‘스스로 선택한 수형’이라는 발화에 이르기까지 인물들은 모두 선택을 미루거나 변화의 기회를 스스로 박탈하고 자기를 부정함으로써 삶 그 자체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스스로 사물이 되고자 하는 유혹에 굴복하는 이들 인물은 사르트르의 자기기만 개념 중 ‘즉자화의 자기기만’이라 표현되는 유형, 혹은 이를 ‘석화(石化)작용’이라 번역하고 있는 정명환의 논의를 떠올리게 한다. 성실함의 자기기만, 혹은 사물화의 유혹에 굴복하는 자기기만의 상태를 벗어나 실존을 지향하는 인물들의 행동은 진술 거부나 소설 쓰기와 같은 언어행위, 혹은 탈출로 구체화된다. 『소문의 벽』에서 한국전쟁에서의 어느 한 진영의 선택, 특정한 문학 이념과 형상화 방식을 선택하라는 작가에 대한 요구, 자신을 정신병자로 규정하는 김 박사를 피하는 박준의 행위, 그리고 이를 모두 종합한 ‘진술 거부’라는 상황은 자신의 신념을 보편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려는 모든 종류의 확실성의 요구에 대한 소극적 저항을 의미한다. 또 『당신들의 천국』에서 섬사람들의 탈출 역시 원장들의 명분의 독점과 독단성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점에서 『당신들의 천국』은 모든 종류의 ‘명증한 진리를 거부’하는 행위 속에서 탄생될 수 있는 역설적인 진리의 순간을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래의 불안과 위험을 스스로 감내하고라도 인간으로서의 자유를 수행하겠다는 결단, 즉 긍정적 자기기만을 보이는 부분이다. 이처럼 법과 제도로서 지배 권력의 신념을 강력하게 언표하고 통제하려 했던 60~70년대의 권력과 통제사회 내 인물들의 심리적 역동을 이청준은 인간 의식의 보편적 특성인 자기기만의 사례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청준은 독재 체재로의 변화와 그 사회 속 지식인, 민중의 심리적 역동에 대해 깊이 있는 서사를 창안해 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실존적 자유의 개념을 암시하며 근원적인 삶의 조건에 대해 탐색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