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기관 종사자가 인지한 병원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도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서은경,한미아,박종,류소연,최성우,김해란,Seo, Eun Kyung,Han, Mi Ah,Park, Jong,Ryu, So Yeon,Choi, Seong Woo,Kim, Hae-Ran 한국산업보건학회 2017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7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hospital coordinator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mong 435 workers in plastic surgery and dermatology clinics in metropolitan city G. W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hospital coordinators,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T-tests,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workers and the perceived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were $3.55{\pm}0.40$ and $3.74{\pm}0.43$, respectivel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rinking frequency, number of night shifts, number of work days, and hospital coordinator introduction years were associ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The more the overall job performance of hospital coordinators increased, the higher was job satisfaction(B=0.458, p<0.001). In detail, the more job roles(B=0.218, p<0.001), core competency(B=0.145, p=0.005), and leadership(B=0.099, p=0.037) increased, the higher was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workers. Conclusion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workers was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job performance of the hospital coordin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a hospital coordinator with specialized job performance will be able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arrying out efficient work in the medical institu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무직 남성의 대인관계문제, 직무스트레스와 분노반추가 화병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은경(Eun-kyung Seo),주은선(Eunsun Joo)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남성의 화병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무직 남성의 대인관계문제, 직무스트레스, 분노반추와 화병증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화병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사무직 남성 385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화병척도,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단축형),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척도(단축형), 한국판 분노반추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인관계문제, 직무스트레스, 분노반추, 화병증상 변인 간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사무직 남성의 화병증상 전체와 신체적 · 정서적 화병증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대인관계문제, 직무스트레스, 분노반추를 독립변인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문제 변인이 상대적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사무직 남성의 화병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대인관계 기술 및 정서조절방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te-collar male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ccupational stress, anger rumination, and hwa-byung symptoms along with the e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ccupational stress, and anger rumination have on hwa-byung symptoms and sub factors of hwa-byung symptom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using the Hwa-Byung Scale, KIIP-SC, KOSS, and KARS on 385 male subjects working in the field of office job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ccupational stress, anger rumination, and hwa-byung symptoms.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ccupational stress, and anger rumination explained and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of the hwa-byung symptoms along with their sub factors. These results imply the fact that white-collar male workers that experience hwa-byung symptoms are e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ccupational stress, and anger rumination. so, to alleviate the hwa-byung symptoms of white-collar male worker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interpersonal skill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우렁각시〉설화의 관음영험담적 조명과 의미

        서은경(Seo, Eun-Ky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4

        본 논문은 〈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을 관음영험담적 시각으로 조명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우렁각시〉설화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과 일본의 유사 유화들과 대조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몇 가지 독특한 삽화와 유형적 특성을 포착해낼 수 있었다. 중심화소인 ‘우렁이’는 우렁이의 생태적 · 형태적 이미지와 더불어 불교의 우주적 · 철학적 상징이 형상화된 것이다. 따라서 〈우렁각시〉의 우렁이는 중생의 소리를 듣고 이에 호응하는 관음의 상징물이자 여러 변화신(變化身)으로 나타나 중생구제(衆生救濟)를 실현하는 관음의 응신(應身)이라 볼 수 있다. 총각의 노래와 이에 화답하는 우렁이의 답가는 반려를 희구하는 발원의 소리이자 중생의 소리를 듣고 이에 호응하는 관음의 목소리다. 소거 (消去)되어 있는 우렁이의 외피(外皮)는 우렁각시의 몸에서 비치는 서기(瑞氣)와 연동되어 우렁각시가 우렁이의 본성을 지닌 이류가 아닌 관음 영험의 결과인 것으로 수용해 볼 수 있다.〈우렁각시〉의 유형적 특징 중 하나인〈단순-결합형〉은 모든 중생(衆生)의 기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관음영험담의 한 유형에,〈복합-이별형〉은 현세구복(現世求複) 차원의 구제(救濟)를 초월하여 불교적 깨달음에 이르는 심화된 의미구현 체계를 보여주는 관음영험담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논의를 통해〈우렁각시〉설화의 일부 특징이 관음영험담적 상징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설화의 전파 · 전승과 함께 당시 신앙되었던 밀교(密敎) 적 관음신앙의 영향을 받아 변개된 형적이라 추정해볼 수 있다. The story threw light on some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from view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and developed discussion. As a way to grasp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the author contrasted with similar tales of China and Japan. In this way, the study could catch several unique illustrations and feature in type. ‘Pond snail’ which is a central story unit is cosmic and philosophical symbol related to Buddhism, in addition to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image of the snail. Accordingly, snail of 〈WooreongGaksi〉 is a symbol of Avalokitesvara who responds to voice of all the living beings and can be seen as Response body of Avalokitesvara who realizes salvation of all the beings by manifesting herself as Transformed bodies. The song of the bachelor and song of snail responding to his song are voice of prayer and also voice of Avalokitesvara responding to voice of all the beings. The outer skin of snail that has been eliminated is connected with auspicious sign reflected from body of WooreongGaksi and then, moved. So it can be understood that WooreongGaksi is a result of miracle made by Avalokitesvara, not different kind with nature of snail. 〈Simple-combination style〉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in type of 〈WooreongGaksi〉 is one style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that wishes of all the living beings are achieved. 〈Complex-separation style〉 is one form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showing deepened system of realization of meaning that leads to Buddhist enlightenment beyond salvation in the dimension of seek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rough the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the very Korean characteristics of 〈WooreongGaksi〉 tale are connected to symbol of Avalokitesvara miracle story. This can be presumed as traces changed by influences of esoteric Avalokitesvara faith which was believed at the time along with spreading and passing down of tale.

      • KCI등재

        한일 트릭스터형 인물전설로서의 방학중과 깃초무(吉四六)설화 연구

        서은경(Eun-kyung Seo)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2 No.-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전설적 인물이자 트릭스터형 인물 중 방학중과 깃초무(吉四六)에 주목하여 설화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전설적 인물이자 설화적 인물로서의 공통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방학중과 깃초무 모두 출신지역의 지리적ㆍ역사적 배경은 물론, 설화문학사적 위상 및 트릭스터형 인물로서의 전형성과 대표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방학중과 깃초무 이야기를 속임수의 공간과 대상, 목적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다음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속임수가 나타나는 공간 면에서 방학중은 길 위의 공간인 ‘노정’과 타지인 ‘서울’, 다시 영덕으로 연결되는 ‘순환회귀’의 ‘동태형 노정 서사’의 특징을 보인다. 반면 깃초무는 소속지역 중심의 ‘정태형 지역 서사’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속임수의 대상 면에서 방학중은 상대적으로 수직적 대결구도가 두드러지고 깃초무는 불특정다수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수평적 대립구도가 현저하다. 셋째, 속임수의 목적 면에서 방학중은 골탕ㆍ징치를 위한 속임수가 많고, 깃초무는 이에 비해 이윤추구를 위한 속임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 과정을 거쳐 방학중과 깃초무 설화에 내재된 세계지향 및 사회문화적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방학중은 신분 상승지향의 영웅적 트릭스터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방학중의 모습에는 기존 질서에 의문을 제시하는 설화전승자이자 당대 상민의 모습과 바람이 투영되어 있다. 그러한 면에서 방학중은 민중의 의문에 답을 제시해주고 그들의 바람을 대신 실현해 주는 민중에 의해 재구된 트릭스터이자 영웅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깃초무는 집단편입 지향성을 보이는 골계적 트릭스터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여기에는 ‘무라(村)’ 공동체로서의 집단중심 문화와 그 안에서의 예절과 관습을 중시하는 일본의 ‘시쓰케(躾)’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깃초무 이야기를 통해 개인의 본질적 욕구와 집단중심의 질서 사이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일본 근대 상민(常民)의 자각과 의문을 엿볼 수 있다. 방학중과 깃초무는 한국과 일본의 실존인물이자 설화향유자에 의해 새롭게 조형된 설화적 인물이다.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탄생, 성장한 인물임에도 두 사람은 전설적 인물이자 트릭스터형 설화인물로서의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반면 이야기 속 속임수의 공간과 대상, 목적 면에서는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독자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방학중과 깃초무 이야기에 반영된 당대 민중의 고민과 바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세계문학사적 인물유형으로서의 트릭스터의 이해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olktales by focusing on Banghakjung and Kitchomu among trickster-type characters in South Korea and Japa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ales of these two characters, the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arrative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world orientation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story narrators. First of all, the author looked at the similarities between Banghakjung and Kitchomu as real and legendary figures. Then,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haracter stories,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pace, target, and purpose of tricks.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derive the following their characteristics. First, in terms of the space where the tricks occur, Banghakjung’s tal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dynamic path narrative’ of ‘road’, ‘Seoul’, and ‘Yeongdeok-Seoul-Yeongdeok’. On the other hand, Kitchomu’s tale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a ‘static regional narrative’ that is centered on his community and everyday space. Second, in terms of the target for tricks, a vertical confrontation structure stands out between Banghakjung and his targets, whereas a horizontal confrontation structure is prominent between Kitchomu and his targets. Thir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tricks, Banghakjung mainly uses tricks for harassment, discipline, and revenge, while Kitchomu usually plays tricks for profit-seeking. Through the analysis, the author could derive the world-oriented and socio-cultural meanings inherent in the folktales of Banghakjung and Kitchomu. First, Banghakjung appears as a heroic trickster with a central upward orientation. Such a trait reflects the image and wishes of successive narrators who raised questions over the existing order. In this sense, Banghakjung can be said to be a heroic trickster reconstructed by the people to answer their questions and fulfill their wishes. Second, Kitchomu exhibits the traits of an ordinary trickster with a tendency toward group integration. This reflects Japan’s ‘Shitsuke’ culture the values group-centered culture, manners, and customs as a ‘Mura’ village community. Therefore, through the story of Kitchomu, readers and get a glimpse of the awakening and doubts of modern, lower-class Japanese people who agonize and struggle over balancing the essential desires of individuals with the group-centered order. Through the discussion, it can be seen that both characters were legendary and historic figures that were molded newly by those who enjoy folktales. Both men were the same trickster-type characters, but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rms of the space, target, and purpose of tricks. Furtherm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behind such uniqueness lies the world orientation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people of the time.

      • KCI등재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의 일부 대사증후군 관련 변인의 차이

        서은경(Seo, Eun Kyung),이미애(Lee, Mi yea),정은수(Jeong, Eun Su),성동준(Sung, Dong Ju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3년간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의 일부 대사증후군 관련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순환교대근무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법적 모색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병원에 근무하는 111명의 간호사(순환교대: 65명, 주간고정근무: 46명)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직장인 건강검진 내역 중 대사증후군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공복 시 혈당(FBS)의 3년 평균이 순환교대근무자 94.23±8.86mg/dl, 주간고정근무자 90.10±7.13mg/dl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10.257, p=0.002), 반복측정 결과에서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0.257, p<0.01). 또한 3년간 고밀도지단백질(HDL)의 평균이 순환교대근무자 59.25±11.45mg/dl, 주간고정근무자 62.37±12.76mg/dl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327, p=0.040), 반복측정을 통한 그룹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327, 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관련 변인들 중 순환교대근무 간호사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보다 공복 시 혈당이 높았고, 고밀도지단백질이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간호사 근무형태에 따라서 일부 대사증후군 관련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근무유형이 간호사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selected metabolic syndrome makers between nurses o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and present its findings as a basic reference to explore methods to improve the health of nurses on rotating shift schedul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 years from 2015 to 2017 on 111 nurses (rotating shift: 65, daytime fixed work: 46) working in a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and investigated and compared variable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makers from their health screening records.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3-year average fasting blood sugar (FBS) level of nurses on rotating shift schedule and nurses on daytime fixed work schedule was 94.23±8.86mg/dl and 90.10±7.13mg/dl, respectively,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0.257, p=0.002). Results from the repeated measurem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groups (F=10.257, p<0.01). On the other hand, the 3-year averag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of nurses on rotating shift schedule and nurses on daytime fixed work schedule was 59.25±11.45mg/dl and 62.37±12.76mg/dl, respectively, exhibi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F=4.327, p=0.040). Results from the repeated measurement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groups (F=4.327, p<0.05). In conclusion, regarding metabolic syndrome makers, this study identified that nurses on rotating shift schedule was higher in FBS level and lower in HDL than nurses on daytime fixed work schedu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ork types of nurses can make a difference in some metabolic syndrome makers. For further in-depth analysis, a long-term study need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 types on metabolic syndromes in nurses.

      • KCI등재후보

        아로마 마사지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수술 전 심리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은경(Eun-Kyung Seo)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5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3 No.2

        본 연구는 자궁적출술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손 마사지를 시행하여 수술 전 상황에서의 심리적, 생리적 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전ㆍ후 시차 설계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소재 B종합병원에서 자궁적출술의 진단을 받고 수술을 앞둔 환자 중 의사소통이 충분히 가능한 실험군Ⅰ 20명과 실험군Ⅱ 20명, 대조군 20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세 집단의 실험 전후 차이 검증은 AN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술환자의 수술 전에 손 마사지를 받은 실험군Ⅰ과 실험군Ⅱ은 심리적 불안반응의 지표인 기질 상태불안과 VAS 불안정도는 대조군보다 약간 감소하였고, 생리적 불안반응인 혈압과 맥박은 대조군과 함께 증가하였으나 증가가 작았다. In this study, A hysterectomy surgery patients before surgery carried out a hand massage on the situation in the effects on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xiety reaction in order to find out, conducted by the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parallax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study. This study was done A Material B in hospitals hysterectomy surgery in the diagnosis of the patient ahead of the communication is fully availabl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experimental groupⅠ 20 people, the experimental groupⅡ 20 people, 20 people were selected as a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surgical studies of patients receiving a hand massage before surgery Ⅰ and group Ⅱ is an indicator of psychological anxiety and state anxiety VAS anxiety reaction substrate was slightly lower than the comparison group, physiological reactions of anxiety, increased blood pressure and pulse with the comparison group the increase was small. Hand massage simply produces a surgery the patient's psychological state is the effect on anxiety reduction in the massage on the employment and to assume that it will work as well as expected, but did not have.

      • KCI등재
      • KCI등재

        뇌졸중 교육프로그램이 급성기 허혈성 노인 뇌졸중환자의 질병 수용 및 지식에 미치는 효과

        서은경 ( Eun Kyung Seo ),손경희 ( Kyung Hee Shon ),김남희 ( Nam Hee Kim )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4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a stroke education program for disease acceptance and knowledge among acute ischemic senior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8 to November 2, 2014.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of 28 people and a control group of 28 people from acute ischemic senior stroke patients at D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χ²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 WIN 19.0 program. Results: 1. Disease acceptanc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higher(Z=-4.568, p<.00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1 was accepted. 2. Knowled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higher(Z=-4.740, p<.00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was accepted. Conclusion: The stroke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evidence-based research hereafter becau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ogram develops higher disease acceptance and improves knowledge among acute ischemic senior stroke patients.

      • KCI등재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지역축제의 ESG 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은경 ( Seo Eun-kyung ),이호영 ( Lee Ho-young )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se12.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축제의 ESG 활동이 지역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시흥갯골축제는 환경 보전과 지역사회 참여를 중시하는 ESG 실천의 대표적 사례로 인정받고 있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위해 제19회 시흥갯골축제에 참여한 경기도 시흥시 거주 지역주민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링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개념적 틀로서 ESG 활동, 사회적 자본, 시민의식, 그리고 임파워먼트에 관한 선행 문헌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의 ESG 활동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자본은 시민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방문객 중심 연구와 달리 지역주민의 관점에서 ESG 활동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축제를 통한 ESG 활동의 강화와 주민 참여 확대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ctivities in regional festivals on local residents' social capital and civic awareness, while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this process. The Siheung Gaetgol Festival was selected as it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case implementing ESG practices, particularly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34 residents of Siheung, Gyeonggi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the 19th Siheung Gaetgol Festiv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explored existing literature on ESG activities, social capital, civic awareness, and empowerment as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estival's ESG activiti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ed the enhancement of civic awareness. Furthermore, empowerment was found to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ivic awaren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examining ESG activities from local residents' perspectiv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mainly on visitors' percep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strengthening ESG activities through regional festivals and promoting resident participa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