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서연실(Seo, youn sil),온은아(On, eun ah)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피고,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유아교사 행복감을 독립변인으로, 직무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북지역 유치원에 재직중인 국, 공, 사립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행복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들의 행복감 증진과 관련한 제 변인들의 중요성과 그 관계를 확인한 바 연구의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ffecting to happiness. Based on the preceeding and related researches, we verified the effect by setting happiness of children teacher as in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s mediating variabl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dependent variable. For this experiment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ting 255 children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in Jeonbuk province. Parameters of the survey wer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childr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1.0. For the result, first, there was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Second, we could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 일반연제(포스터) : P-11 ; P. aeruginosa의 imipenem, meropenem, doripenem에 대한 약제감수성검사 비교

        최민규,박순철,서연실,정길봉,박수경,박경실,한상봉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 Carbapenem 계열 약제는 장내세균 및 비발효장내세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carbapenem 약제의 의존도가 높아져 가고 있고, 이에 따라 imipenem, meropenem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가 많아 졌다. Pseudomonas aeruginosa의 경우는 imipenem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 중 44.2%까지 doripenem에 감수성을 보인다는 보고(Fujimura 등, 2009)와 doripenem이 imipenem과 meropenem보다 2배 더 강력하다는 보고(Castanheira 등, 2009)가 있다. 최근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와 EUCAST는 각각 2012년과 2013년에 P. aeruginosa 에 대한 carbapenem 감수성 기준이 변경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년도 CLSI 기준과 2011년도, 2013년도 EUCAST 기준에 따른 P. aeruginosa에 대한 imipenem, meropenem, doripenem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2013년 5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 본원에서 배양검사가 의뢰된 모든 검체 중 P.aeruginosa로 동정된 103 균주를 대상으로 imipenem, meropenem, doripenem에 대한 약제감수 성검사를 CLSI의 지침에 따라 Muller-Hinton 배지에 disk diffusion 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P. aeruginosa 103 균주 중 imipenem, meropenem, doripenem에 감수성인 균주는 2012년도 CLSI기준으로 각각 77건(74.8%), 80건(77.7%), 86건(83.5%) 이었다. Imipenem (R)인 균주 중doripenem (S)인 균주와 mero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는 각각 29.1% (7/24), 15.0% (3/20)였으며, imipenem (R) & mero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는 15.0%(3/20)였다. EUCAST 기준으로는 imi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는 2013년도는 12.0% (3/25)로 2011년도의 20% (5/25)보다 8.0% 줄었고, meropenem (R)인 균주 중doripenem (S)인 균주는 2013년도는 0%(0/21)로 2011년도의 4.8%(1/21)보다 4.8% 줄었으며, imipenem (R) & mero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는 2013년도는 0% (0/21)로 2011년도의 4.8%(1/21)보다 4.8% 줄었다. P. aeruginosa의 doripenem에 대한 감수성을 비교해보면, 2013년도 EUCAST 기준은 2013년도 CLSI 기준보다 imi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 meropenem (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 그리고 imipenem (R) & meropenem(R)인 균주 중 doripenem (S)인 균주가 각각 17.1%, 15.0%, 15.0% 더 낮게 나왔다. 고찰: 2011년도 이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imipenem에 저항성을 보이는 P. aeruginosa중 doripenem에 감수성을 보이는 경우가 44.2%까지 보고되기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29.1%에 불과했다. 그이유로는 EUCAST 2011년도와 2013년도의 비교에서처럼 P. aeruginosa의 carbapenem에 대한 감수성 기준치가 더 엄격해진 점과 대한민국에서 동정되는 P. aeruginosa의 doripenem에 대한 MIC50과 MIC90이 미국보다 높다는 연구 보고(Lee 등, 2011)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disk diffusion 법을 이용하여 MIC 법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향후 MIC 법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성덕 ( Sung Deok Park ),서연실 ( Youn Sil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부부갈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에 조사된 총 1,706명의 어머니 설문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 부부갈등,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Hayes의 “PROCESS”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integrated the processes of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In this model,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or variable. Social support was select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moderated mediator variable, and fa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data from 1,706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yea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and four different scales were used, which respectively dealt with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marital conflict,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and to make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tiliz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To analyze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se’s SPSS “PROCESS” was put to use. As a result,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produced both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both discussed.

      • KCI등재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적용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인식 및 요구 차이

        김래은(Rae Eun Kim),서연실(Youn Sil Seo)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적용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인식 및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54명, 초등교사 253명, 총 507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배경 5문항,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에 대한 인식 17문항, 요구는 41문항 총 63문항이었다. 자료분석은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적용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의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에 대한 요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간에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적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 및 초등학생 대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적용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demand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about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STEA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4 preschool teachers, 25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 total of 507 students. As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recognition of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STEAM was 15 items, and the request was 39 items, totaling 54 items. For data analysis, t-test and cross-analysis were appli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pplying smart devices for STEAM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educational effects. Second, the demand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STEAM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demand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steam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ing these results, it will help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STEAM program that applies smart devices for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Adenosine deaminase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

        고광상,박정오,강성훈,김재석,박순철,서연실,김기헌,조무자 임상병리검사과학회 1999 임상병리검사과학회지 Vol.31 No.2

        배경 : Adenosine deaminase(ADA) 는 adeno-sine을 inosine으로 deamination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혈액 종양을 비롯한 결핵, 간 질환, 등의 다양한 질환에서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질환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측정의 기술적 어려움으로 이용이 확대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고안된 자동 화학 분석기를 이용한 ADA 와 동위효소의 분별정량 방법으로 ADA 측정의 임상적 적용이 용이 해졌다. 저자들은 이 방법으로 혈장을 이용하여 AML에서의 ADA활성도와 동위효소의 분포양상의 특성과, 치료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AML에서 ADA측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AML 환자군 16 예와 정상 대조군 25 예의 혈장 ADA와 동위효소의 활성도를 측정 비교하고, 환자군중 10 예에서는 치료 후 1주 간격으로 최고 8 주까지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ADA측정은 자동화학 분석기로 발색 정량하고, 동위효소의 측정은 ADA_(1) 선택적 억제제인 EHNA를 첨가하여 ADA_(2)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AML 환자 군 16명의 혈장 ADA 활성도는 34.0±20.8IU/L로 정상 대조군 25명의 혈장 ADA 활성도 14.28±3.26IU/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 대조군에서는 ADA2 가 75.0%로 우세한 것에 비해 AML군에서는 ADA_(1)이 62.5%로 우세하였고, ADA_(1)은 모두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 AML 환자 군 중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던 10 예 (완전관해 5예 , 불완전관해 5예)에서 ADA 값과 ADA1이 10예 모두에서 4주 안에(평균 2.8주) 정상범위로 감소하였고, 5 예에서 ADA활성도가 정상범위로 감소한 후 1 주 후까지 ADA_(1)활성도가 정상범위 이상으로 지속되었다. 결론 : AML의 진단과 경과 추적에 혈장에서 측정한 ADA활성도와 동위효소 분포 양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ADA_(1)이 total ADA나 ADA_(2)보다 더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ADA 활성도는 치료 후 관해여부와 관계없이 세포수가 감소함에 따라 모두 감소하므로 관해 여부를 예측 할 수는 없으나, 재발을 검출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ADA 활성도가 모두 정상범위로 감소하는 치료 후 4 주 이후부터 검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Adenosine deaminase(ADA) activiteis in sera are increased in various disease such as hematologic malignancies, tuberculosis, and liver disease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measuring ADA and its isoenzyme activites in plasma with the automated assay in acute myeloid leukemia, we compared ADA and its isoenzyme activities in normal control group with those in acute myeloid leukemia group, and followed up those during chemotherapy in AML group. The measurements of plasma ADA and its enzymes, especially ADA_(1) were useful for AML diagnosis. But they were not valuable markers to discriminate between complete remission and incomplete remission. For the detection of relapse, it could be valuable to measure ADA activities beyond 4 weeks after chemotherapy.

      •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Adenosine deaminase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

        고광상 ( Kwang Sang Kho ),박정오 ( Chung Oh Park ),강성훈 ( Seung Hun Kang ),김재석 ( Jae Suk Kim ),박순철 ( Seun Cherl Park ),서연실 ( Yeon Sil Seo ),김기헌 ( Ki Heun Kim ),조무자 ( Mu Ja Jo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9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1 No.2

        Adenosine deaminase(ADA) activiteis in sera are increased in various disease such as hematologic ma1ignancies, tuberculosis, and liver diseases. To eva1uate the c1inica1 va1ue of measuring ADA and its isoenzyme activites in plasma with the automated assay in acute myeloid leukemia, we compared ADA and its isoenzyme activities in norma1 control group with those in acute myeloid leukemia group, and followed up those during chemotherapy in AML group. The measurements of plasma ADA and its isoenzymes, especia11y ADAl were useful for AML diagnosis. But they were not va1uable markers to discriminate between complete remission and incomplete remission. For the detection of relapse, it could be va1uable to measure ADA activities beyond 4 weeks after chem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