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人畵論에 나타난 人品의 儒家哲學的 考察

        서수정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文人畵를 문인의 그림이라고 최초로 언급한 사람은 明代의 董其昌이 으로 추정된다. 董其昌은 화가들을 지리적으로 남과 북으로 나누어 南宗畵와 北宗畵로 분류하였는데, 흔히 南宗畵는 文人畵라 하고, 北宗畵는 화원들의 그림을 뜻하는 院休畵라 하였다. 董其昌은 당대 王維를 南宗畵의 창시자로 보고 있다. 文人畵는 문인, 사대부의 회화로서, 민간과 궁정화원의 회화와 구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文人畵를 또 士人畵, 士夫畵,士大夫畵라 칭하기도 한다 본고는 먼저 德上藝下論과 도를 담고 있는도구(器)로서의 회화는 인품과 화품이 연결될 수 있는 고리 역할을 하였음과, 인품이 높은 것이 기운이 생동하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인품을 높이고 기운이 생동하게 하는 방법론으로 讀萬卷書와 行萬里路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讀萬卷書 하고 行萬里路 하면 明理, 俗氣 제거, 養性의 세 가지 측면의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기운이 생동하여 형사를 넘어서 존재하는 生生不窮하는 세계를 한 폭의 종이에 담으려면 讀萬卷書, 行萬里路를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유에 입각한 文人畵家들은 기본적으로 士氣와 逸格을 旗幟로 삼아 形似의 脫略과 함께 神韻을 강조하고 필묵의 情趣를 강구하면서, 水墨, 寫意 등의기법을 통하여 畵中의 意境을 표현하는데 주목하였다. 회화가 전승됨은 오래되었고, 또 시대마다 명가가 있어 그 격은 인품에 따라서 달랐지만,그 생평을 고찰하면 대부분 고상한 인품의 선비였다. 결국 인품을 강조하는 것은 인품이 높은 사람이 기운 생동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운은 우주론적으로 보면 생생불궁하는 자연의 眞氣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인품에 바탕한 기운이 생동하는 그림은 형사적 차원을 넘어서며, 그런 작품을 명품이라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런 점을 볼 때 문인화가들은 인품과 화품은 다른 것이 아니라고 여긴 점을 알 수 있다. Tung Ch'ich'ang in Ming first mentioned that a literary painting is a painting of a literary man. He divided painters geographically into Southern and Northern ones, which led to the division of a painting into the one of the Southern school and the one of the Northern school. The former is usually called a literary painting and the latter imperial-court decorative painting that means painters' painting. He saw Wang Wei in Tang as the founder for a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A literary painting as the one of a literary man and the one of a man of noble birth is also called the one of a classical scholar and the one of a man of noble birth because it is distinguished from civilian and court painters' paintings. First of all,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theory of respecting virtue and belittling art and the painting as an instrument containing the way which played the role as a link between personality and artistic merit of a picture. Next, it investigated that high personality was related to the vivid expression of objects by containing one's own emotion, spirit and elegance. And it investigated 'reading many books and travelling much' as a methodology of heightening personality and expressing objects vividly by containing one's own emotion, spirit and elegance. 'Reading many books and travelling much' revealed utility in the three aspects such as showing the principles of things, removing worldliness and fostering nature. It was clear that 'reading many books and travelling much' were required to contain into a piece of paper the world of connecting all creatures incessantly by threading them through living mind, which exists beyond similar forms, in the technique of expressing objects vividly by containing one's own emotion, spirit and elegance. Basically under the banner of morale and great dignity the literary painters based on such thinking stressed lofty and mysterious elegance with looted similar forms and studied the artistic effect of the brush and Chinese ink, paying attention to expressing the intention in a painting through the techniques such as India ink and description of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Painting has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and the dignity of great masters in each period varied according to his or her personality. However, their daily lives showed that most of them were classical scholars of noble personality. Eventually, the emphasis on personality was due to the possibility that a man of high personality painted the painting with vividness Cosmologically, the vividness is also the pure essence of nature that connects all creatures incessantly by threading them through living mind. The painting with vividness, which is based on the personality, goes beyond similar forms, which is valued as a masterpiece. The point indicated that literary painters regarded personality and artistic merit of a picture as not different.

      • KCI등재

        A Report of Two Root Mealybugs (Hemiptera: Rhizoecidae) on Non-native Ornamental Plants in Korea

        서수정,박영미,조명래,Suh, Soo-Jung,Park, Young Mi,Cho, Myoung Ra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3

        온실에서 재배되는 수입 드라세나묘목 및 게발선인장에서 채집된 뿌리깍지벌레 2종 Ripersiella multiporifera Jansen 및 Rhizoecus albidus Goux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들은 수입된 식물을 통해 온실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 추가적인 유입과 정착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종의 진단형질, 사진자료, 기주 및 분포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wo root mealybugs, Ripersiella multiporifera Jansen and Rhizoecus albidus Goux, were collected on imported Dracaena plants (Dracaenaceae) and Schlumbergera truncata (Haw.) Moran (Cactaceae) grown in greenhouses in Korea. Both species were probably introduced into greenhouses via the plant trade. Therefore, it reiterates the need to focus attention on the detection of root mealybugs at the ports of entry to prevent their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in the Korean environment. In this paper,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two species is provided with diagnoses, photographs along with host plant and distribution data for accurate species identification.

      • KCI등재

        文人畵의 形神論에 관한 儒⋅道哲學的 考察

        서수정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7 No.-

        흔히 文人畵란 學識을 갖춘 선비, 文人, 士大夫 등이 餘技적 次元에서 혹은 餘墨이나 墨戱적 차원에서 그리는 그림으로, 文人畵는 ‘寫’로 특징 지워지는 寫意적이며 精神, 神韻을 중시한다. 동양회화 특히 문인화에서 논란거리 중의 하나는 形似와 神似의 관계이다. 당대까지 산수화는 그다지 중요시되던 것이 아니었지만 송대에 오면 문인사대부들이 회화창작에 임하면서 상황은 달라진다. 그 결과 형사와 신사에 대한 이해도 함께 달라진다. 그 바탕에는 유가와 도가의 철학이 깔려 있다. 문인화는 흔히 문인사대부들의 餘技 혹은 墨戱, 自娛 등과 연계되어 형사보다는 신사를 중시하는 것으로 이해하며 이런 점에서 형사의 공교로움에 치중하는 화원들의 화풍과 다른 것으로 이해한다. 사실 문인화는 氣韻生動과 神韻을 강조하고, 傳神을 강조하고, 높은 인품을 강조하는 점에서는 이런 경향성이 농후하다. 그러나 형사와 신사의 상관 관계가 시대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는가를 살펴본 결과 반드시 신사만을 존중한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회화에서의 형신론의 역사적 변천을 보면, 문인화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당대에는 신사적 요소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신사보다는 형사를 존중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점은 송대 이전의 화가들이 주로 人物⋅道釋畵를 그린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송대에 산수화가 화목의 중심이 되면서 상황은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산수화는 천지대자연의 이치를 담아내야 한다고 보며, 무엇보다도 기운생동과 신운을 강조하게 된다. 따라서 형사적 측면에서의 산수화보다는 신사적 측면을 담아내야 한다는 산수화론이 전개된다. 송대는 문인사대부들이 신사를 강조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당대에 비해 형사와 신사가 골고루 강조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즉 송대는 형사적 측면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형사만을 존종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신사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유가의 文質彬彬적 사유에서 신사와 형사를 보고자 하는 시각도 있었다. 그리고 송대는 특히 소식의 常理論을 대표로 하는 ‘理’와 관련된 회화이론이 나타나는데, 이같은 이론에는 송대 성리학의 이기론적 사유가 한 몫을 하였다. 원대는 사의적 화풍이 일어나 신사를 중시하고 형사를 존중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다. 같은 원대의 사의적 화풍 속에는 道家의 神 중시적 경향과 得意忘象적 사유가 담겨 있다. 청대는 원대의 중신사⋅경형사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사유로서 선형사⋅후신사적 사유와 ‘不似之似論’이 나타났다. 이처럼 송대 이후의 문인화는 형사와 신사의 관계에 있어 시대에 따라 그 상관관계가 달랐으며, 또 이같은 신사와 형사의 상관관계에 대한 다른 이해에는 유가와 도가의 철학이 그 기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내 공개공지 확보를 위한 총합설계제도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 오사카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서수정,박광재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3

        This study describes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status about the Comprehensive Design System to make Open Space has been applied in multi-family housing in Japan. This study aims to clear the planning control system that Comprehensive Design System is to lead maintain the open space and to analyze the type and level of incentive to lead the open space by Comprehensive Design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at, this paper conduc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116 cases that the Osaka administrative office has approved from 1996 to 2000.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rehensive Design System for the multi-family housing is classified to Urban housing Comprehensive Design System, Downtown Residence Comprehensive Design System, Super-block Site Residence Comprehensive Design System, and Urban housing Comprehensive Design System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in Osaka. 2) Significant Open Space ratio to judge the incentive level describes the highest ratio value in Urban housing Comprehensive Design System, and the Significant Open Space ratio becomes higher with incentive level about floor area ratio. But, the relaxation of the height of sky exposure plane is not so different with the change of Significant Open Space Ratio. As a result, the relaxation of the floor area ratio is more effect on e incentive for the maintenance of open space rather than the height of sky exposure plane in multi-family housing.

      • KCI등재

        揚州八怪의 ‘怪’ 미학사상에 관한 연구 ― 鄭燮의 ‘怪’ 미학사상을 중심으로 ―

        서수정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유가사상이 지배 이데올로기 역할을 할 때 중국에서의 예술은 공자가 말하지 않았다고 한 괴(怪)·력(力)·난(亂)·신(神) 등은 철저하게 부정되고 온유돈후(溫柔敦厚)한 중화미를 담고 있는 것을 미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런 유가의 전통적 심미기준은 한대 이후 오랫동안 계승되어 왔으나, 명대 중엽에 이르러 양명좌파(陽明左派)의 사유가 유행하면서 사상해방의 풍조가 일어나고 아울러 문예사상의 분야에도 혁신적인 변화의 바람이 일어났다. 이런 상황에서 양주지역에서 법고(法古)를 기준으로 하는 형식적 틀과 고전적인 아름다움에서 벗어나 기괴함과 추졸(醜拙)함을 추구하는 혁신적인 예술세계를 펼쳐내고자 하는 이른바 양주팔괴(揚州八怪)가 나타난다. 그들의 예술창작은 ‘괴(怪)’라고 지칭될 만큼 반형식적이고 개성적인 화풍을 추구하여 독창적인 서화예술의 세계를 이룩하였다. 이런 양주팔괴의 ‘괴’의 성격은 세 가지로 고찰할 수 있다. 예술 격조상의 괴, 사회 지위상의 괴, 개인 생활상의 괴이다. ‘괴’는 다른 것, 새로운 것, 기이한 것, 인간 본성이 억압되고 왜곡된 뒤에 일어난 분개와 불만, 인욕을 드러낸 것, 상투적인 법칙과 정해진 심미틀에 대한 반역 등으로 말할 수 있다. 양주팔괴는 예술상에서 법도에 구속받지 않는다는 것과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정섭(鄭燮)을 비롯한 '괴'라고 말해지는 양주화파(揚州畵派)는 상규(常規)에 반하는 반정대립(反正對立)의 이단미학(異端美學)을 세운다. 그것은 기존의 유가가 제시하는 미학과는 다른 창신의 미학을 드러냈다. 정섭은 통상의 규범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성을 진솔하게 드러내면서 독창성을 추구했다. 정섭은‘난(亂)’을 강조하는데, 난은 규구와 법도에 대립되는 말로서, 이런 ‘난’을 긍정적으로 본 것은 미의 창조는 구태의연한 기존의 법을 벗어나 그의 자유로움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섭은 진정한 화의(畵意)는 자신이 느낌 감정을 마음껏 어지럽게 표현하는 것에 있다고 보아 ‘난’을 긍정하고 있다. 이 부분은 기이함과 방일함, 그 옛것을 벗어나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 및 ‘난’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는 근본적으로는 숭신상기(崇新尙奇)로서의 반유가미학적 사상이 깃 들여져 있다. 양주팔괴는 예술상에서 ‘법도에 구속받지 않는다’라는 것과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즉 전통적인 화법이나 모가(某家) 등으로 불리우는 어느 한 화파의 기풍을 따르지 않고 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였고, 정섭은 자신만의 일격(一格)을 세우고자 하는 반정대립의 이단미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양주팔괴의 예술정신은 반세속(反世俗) 가치로서의 저항미학적 사상의 성격을 띤다. 그것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당시에 일반적으로 인정되던 아(雅)와 속(俗)에 대한 다른 견해를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Repaired glass ionomer cement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서수정,김신,Seo, Su-Jeong,Kim, Shin 대한소아치과학회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ond strengths of different kinds of glass ionomer cements (GIC), which is recently increasing the clin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pediatric dentistry and measure the repaired bond strengths in order to examine the clinical applicabilty of partial repaired cases. By using one kind of the light cured type GIC and three kinds of the chemical cured type GIC, the bond strengths of the followings were compared : unrepaired group as control, repaired conditioning group, which was treated the repaired surface using 25% polyacrylic acid and repaired non-conditioning group without surface treatment. Three point bending test was performed under Universal Testing Machine in order to measure the compressive bond streng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Light cured GIC had higher bond strength than chemical cured type GIC in both of repaired and unrepaired groups. 2. In repaired cases, all of the materials decreased the bond strength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light cured type, the bond strength of repaired conditioning group decreased 31.6%, repaired non-conditioning group decreased 40.8%. In chemical cured types, the bond strength of repaired conditining group decreased 11.8%, repaired non-conditioning group decreased 20.9%. 3. All the materials, in the case of the chemical treatment on the repaired surface using 25% polyacrylic acid had higher bond strength than untreated but, lower than control group.

      • KCI등재

        Aphelinids (Hymenoptera: Aphelinidae) of Unaspis euonymi (Comstock) (Hemiptera: Diaspididae) in Korea

        서수정,Suh, Soo-Jung,Gregory A., Evans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2

        사철나무 잎과 가지에 발생하는 사철깍지벌레로부터4종의 면충좀벌, 제줄깍지좀벌, 주걱깍지좀벌, 장미깍지좀벌 및 Pteroptrix machiaveli (Girault)가 채집되었고, 이중 Pteroptrix machiaveli (Girault) [사철깍지네마디좀벌(신칭)] 1종을 국내분포로 처음 보고한다. 또한 이들 종들의 식별형질, 사진자료, 분포 및 기주 정보도 함께 제공하였다. Four species of aphelinids from Unaspis euonymi (Comstock) infesting Japanese spindle (Euonymus japonicus Thunb. (Celastraceae)) leaves and twig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Ablerus perspeciosus Girault, Encarsia citrina (Craw), Marietta carnesi (Howard) and Pteroptrix machiaveli (Girault). Of these, Pteroptrix machiaveli (Girault) is newly documented in the Korean fauna of Aphelinidae. Brief diagnostic criteria and illustrative photographs of these species are provided and there is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hosts of each specie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