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디자인특허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형상 관리방안 기초연구

        서수민(Seo, Soo Mi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디자인특허는 시각적 대상에 대하여 독점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로, 제품디자인의 외관형상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지속적으로 응용하여 디자인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 제품디자인 형상의 재료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선별되고 조합되는 과정에 디자인 특허적 권리가 더해질 경우 시장에서 차별성 있는 정체성 구축에 유리해 질 것이고 구체성 있는 특허로서의 권리는 형상요소 그 자체를 관리하는 것에 비하여 가치의 측정과 계획 설정이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디자인의 형상요소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기업의 디자인특허 포트폴리오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자 애플사의 스마트폰 디자인특허를 대상으로 디자인특허와 형상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형상요소를 분석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분석 대상인 디자인특허건의 선별과 해당 디자인 특허건에서의 디자인요소 추출 및 분석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분석 대상 선정을 위해서 애플사의 등록 완료된 디자인특허 중 스마트폰 형상의 전체 또는 일부를 권리의 범위로 특정한 건을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도 디자인특허 내의 도면에서 형상요소를 선택하거나 생략하는 편집이 이루어진 건만을 따로 구분해 냈다. 그 후 형상요소의 추출 단계에서는 대상 도면에서 형상에 관련된 권리 부분만을 남긴 후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즉, 원이나 사각형과 같은 기본도형이나 하나의 완결된 외곽선을 낱개로 분리해 제품외관에 사용된 모든 요소를 추출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디자인 특허건에서 다루어진 모든 형상 요소의 도출이 이루어 졌고 각 요소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형상요소는 다른 형상요소들 보다 더 자주 그리고 더 다양하게 디자인특허권으로 운영되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애플사가 디자인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서 핵심적인 형상요소를 관리한 패턴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애플사는 2011년 삼성사와의 디자인특허 분쟁 이전부터 특허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관리를 해온 기업으로 디자인특허가 가진 제도적 특징과 장점이 충분히 활용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사의 디자인 특허건에서 형상요소의 분석을 시도하고 분석방법을 제시한 본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애플사가 최초의 스마트폰을 선보인 이후 십여 년간 핵심적 형상요소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를 분석할 토대가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형상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patenting is a system that grants exclusive rights to the visual aspect of objects, which can be used as a very effective tool for companies that seek to establish a design identity by emphasizing or continually applying certain aspects of a product’s design. This is because, if the design patent right is added to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mbining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aterials of the product design shape, it will be beneficial to 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market differentiation and it would be relatively easier to measure the value and set a plan concerning the rights as a concrete patent than to manage the shape elements themselves. This study is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ing a management method for the shape elements of product design through design pat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atent and shape elements to analyze a company’s operating case of a design patent portfolio, and propose a way of analyzing shape elements through the specific case of Apple’s smartphone design patent. This study consists of selecting the design patent cases for analysis and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elements in the corresponding design patent case. First, to specify the analysis target among Apple’s registered design patents, the cases that included the whole or part of the shape of the smartphon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were sorted. Among them, only the cases in which the shape elements were selected or omitted in the plan included in the design patent were selected. Subsequently, in the stage of extracting the shape elements, only the parts of the rights in the target plan related to the shape were left, and all elements used in the product shape were extracted by separating them into the minimum unit that constitutes the shape—including basic figures such as a circle, rectangle, or complete outline. Thus, all shape elements covered in the analyzed design patent cases were obtained and the way each element was combined with the others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ome shape elements were managed more frequently under the patent rights and more diversely than other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attern through which Apple managed the key shape elements to establish its design identity. Apple has been extensively investing in and managing patents since before its design patent dispute with Samsung in 2011. This means that Apple is a corporation that has established a portfolio that sufficiently utilize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design patents. This study, which attempts to analyze the shape elements in Apple’s design patent cases and thus proposes an analysis method,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follow-up studies to analyze how Apple has managed key shape elements in the ten years since it introduced the first smartphon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product shapes through design patents.

      • KCI등재

        제품조형 보호를 위한 디자인특허 출원의 대상과 방법 연구

        서수민(Seo, Soo Mi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지난 2011년 애플사가 삼성사를 상대로 제기한 디자인침해 소송은 양사가 보유한 각각의 디자인특허건과 양산제품에 대한 다각적 검토를 이어가며 긴 법적공방을 끌어오고 있다. 그 과정에서 애플사가 제기한 삼성사의 침해 내용 중 일부는 무효 판결을 받았고 배상금의 규모도 앞으로 남아있는 재판을 통해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 애플사의 초기 주장은 어느 정도 축소된 감이 있다. 그러나 분쟁 기간 동안 발행한 대응 비용과 언론을 통해 각인된 카피켓 디자인이라는 이미지는 삼성사가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았다. 또한, 애플사가 구축해 온 체계적인 디자인특허 포트폴리오가 알려지면서 애플사가 자사의 디자인권리 관리에 적극적이고 디자인침해에 준비되어있다는 것이 기타 경쟁자와 잠재적 경쟁자에게까지 각인되었다. 따라서 디자인특허는 등록의 여부나 소송의 결과 또는 배상금의 측정과 같이 명료하게 결과를 알 수 있는 부분뿐만 아니라 실제제품과 시장의 관계에서 방어력 구축의 내용과 과정측면에서도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의 방어력 구축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개발자 관점의 디자인특허 출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디자인특허의 제도를 이해하고 디자인개발에서 도출된 제품조형에서 권리화 대상의 선정과 권리 구성의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디자인특허에서 권리의 내용은 출원 시 이미지로 표현되는 그대로 특정이 되고 선도를 도시하는 방법에 따라 권리설정의 여부마저도 선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실제 시장 판매 제품과는 별개로도 권리화에 대한 적극적인 편집과 구성이 가능하고 특히 계속출원이나 다중실시예와 같은 특유제도를 활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디자인 테마에서 발생한 여러 개의 조형 안을 여러 건의 디자인특허로 등록받아 권리를 확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두 번째, 제품디자인의 조형에 있어서는 디자인개발과정에서 도출된 단 하나의 완성된 조형물에만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정전체에 걸쳐 발생한 다양한 조형요소와 그 결합의 상태들 모두가 권리화의 대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한다. 그 결과 개발과정 전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조형요소일수록 디자인개발자가 생각하는 핵심적 조형이므로 강한 보호가 필요한 대상이고 자주 등장한 조합의 경우일수록 이를 토대로 타인에 의한 희석화가 일어날 수 있는 유사한 디자인의 범위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특허의 개념은 디자인보다는 기술의 보호와 운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디자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디자인특허의 보호와 운영 방안은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개발의 단계와 디자인권리화의 단계를 상호 협력적이며 동시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고 디자이너가 권리화의 대상과 권리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제품조형의 디자인출원 과정을 토대로 실제 시장제품과 분쟁에 대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지식재산으로서의 디자인가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t can be said that Apple’s claim has been somewhat reduced since some parts of the design infringement claimed by Apple have been ruled invalid and the amount of damages claimed is likely to be reduced through future trials. However, the response cost generated during the legal dispute and the reputation for “Òcopycat design”Ó created through the media remain problems to be solved by Samsung. In addition, as the systematic design patent portfolio that Apple has built was revealed, it has become known to other competitors and even to potential competitors that Apple is actively managing its design rights and ready to deal with design infringement. Therefore, a design patent should be studied not only in terms of the aspects whose results can be clearly identified-such as the status of registration or the result of a lawsuit-but also in terms of the content and process of defense establishment in relation to the actual product and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design patent applica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developer to effectively protect product shaping from competitors. It first examines the system of a design patent and studies the selection of the object of rights and the strategy for the composition of rights in product shaping derived from design development. In a design patent, the content of the right is specified as it is expressed in the image at the time of filing, and even whether a right is establishe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e diagram is illustrat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edit and organi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ight separately from the actual market products. In particular, when utilizing the unique system,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rights by registering several shaping designs derived from one design theme with multiple design patents. Second, in the shaping of product design, not only is the finished product of design derived from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worthwhile but also the various shape elements and the states of combination that occur throughout the process should all be considered as possible objects of design rights. This is because the most frequently used shape elements throughout the development process need strong projection since they are what the designers consider the core shape elements and becaus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mbinations provide the basis on which the range of similar designs that can be diluted by others is known. In general, the concept of a patent in companies is focused on the protection and operation of technology rather than design. Therefore, research on design patent protection and operation that considers the specificity of design needs to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developers.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the designer understand the object of rights and the composition of rights by considering the phases of design development and generating design rights as a mutually collaborative and concurrent process. Based on the design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duct shaping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analysis of actual market products and disputes and, furthermore, to endeavor to contribute to the operation of design value as intellectual property.

      • KCI등재

        업무시설 밀집지역의 공개공지 디자인 연구

        서수민(Seo, Soo Min),김현중(Kim, Hyun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현대 도시 공간의 공개공지는 개별 건물 위주의 발전 과정이 초래한 단절된 경계 사이에서 주변 환경과의 연계를 통해 경계의 대립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 공개공지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개공지의 가치를 재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법」과 「건축법 시행령」 등 관련 제도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공적 공간 조성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오픈 스페이스로서 공개공지는 가로 공간의 쾌적성과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을 향상시키고 보행공간의 연속성과 시각적 개방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공개공지의 유형별 기능 및 목적을 서울시 공개공지 가이드라인에 준거하여 살펴보고, 고층건물의 업무시설이 밀집하고 있는 광화문과 테헤란로 일대를 조사하여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가로 휴게형, 광장형, 선큰형을 관찰조사 대상 유형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지를 관찰 조사와 이용자 행태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대부분의 공개공지는 이용자 행태를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형태 및 공간 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된 공간으로서 공개공지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재료와 설치 시설물이 사용되어 조화롭지 못한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셋째, 유지 관리 부분에 있어 가이드라인의 세부 항목과 관리자의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관찰 조사를 통해 발견한 현 공개공지의 문제점은 공간 설계 뿐 아니라 제도적 차원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가이드라인에 의해 분류된 접근성, 안전성 및 편의성, 활동성, 정체성 및 지역성, 지속가능성에 대한 세부 항목은 공개공지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현재의 항목보다 섬세하게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공개공지의 확보는 무엇보다 가치가 있다. 공개공지는 도시 공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더불어 주변 환경과 이용자의 행태를 고려한 공간 조성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섬세한 공간 디자인과 체계화된 제도를 통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The POPS(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of the modern urban space plays a role of alleviating the confrontation of the boundaries that were severed by the individual buildings oriente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value of the POP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related laws such as 「Building Act」 and 「Building Act Enforcement Decree」, the efforts are made to create a public space for citizens by the government. Also,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it was found that the POPS as an open space improves the comfort of the street area and the connectivity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vides the continuity and visual openness of the walking space. The function and purpose of each types of the POPS were studied in accordance with the Seoul POPS Guideline. By surveying Gwanghwamoon and Teheran-ro areas where the office regions are highly dense, it was found that the Street resting type, Square type and Sunken types were the most common types. Therefore, such POPS types were selected for the observation subjects to draw the issues through the observation survey, based on the guideline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hysical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of most POPS are compulsory, which appears to the environment that does not consider user behavior. Secondly,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ublic notice, the materials and installation facilities that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causing chaotic spaces. Thirdly, the details of the guidelines and efforts to create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in terms of maintenance were insufficient. Through the observation research, the current issues of POPS have were not only due to the problems of spatial design, but also the institution and regulation, could be found. The provision details of accessi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activity, identity, locality, and sustainability classified by the guidelines must be considered to be more delicate and preci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OP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reserving POPS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t requires ongoing managemen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rban spa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pace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behavior of the users. For this purpose, it should be actively and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e delicate space design and well-organized system.

      • 메타버스 가상 콘서트의 유형 분석: 인게임요소와 콘서트 씬의 여부가 유튜브 관람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서수민(Soo-Min (Simone) Seo),사영준(Young June Sah)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메타버스 기술은 기존의 오프라인 콘서트와는 다른 콘서트 경험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공연 문화인 메타버스 가상 콘서트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 유형을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유튜브에서 나타난 메타버스 가상 콘서트 영상 및 관람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관람객들은 메타버스 콘서트를 유튜브를 통해 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튜브 관람자들의 이용행태는 콘서트의 관람자 선호를 파악하는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분석 결과, 메타버스 콘서트는 크게 인게임과 콘서트 씬 존재의 여부에 따라 융합형, 게임형, 디지털 트윈형, 뮤직비디오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또한 유형 별 유튜브 조회수와 좋아요 수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트윈형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유형임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분석은 메타버스 가상 콘서트가 대중에게 보다 높은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는 설계방향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팔의기(八義記)》공연본 연구-『철백구(綴白구)』본 절자희(折子戱)를 중심으로-

        오수경 ( Soo Kyung Oh ),서수민 ( Soo Min Se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본고에서는 『철백구』본을 통해 청대 무대에서 공연되던《팔의기》의 공연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철백구』본을 통해 에피소드 중심의 옴니버스 공연으로 특징적인 장면들을 엮어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절자희 공연의 규범이 확립되었음을 볼 수 있다. 재자가인극才子佳人劇이 절대적인 수적 우위를 보이던 명청 극목 가운데서 정淨과 말末, 외外, 생生 등 남성적인 배역이 골고루 등장하여 다양한 인물 형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절자희 공연을 통해 다양한 각색의 연기가 균형적 발전을 보이게 된다. 『철백구』본《팔의기》는 곤곡으로 연창되는 판본이다. 명 중엽 이후 곤곡 연창의 전승이 규범화되면서 여러 텍스트들이 비교적 일치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당시 최대의 통행본이었던 『육십종곡』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해서, 다른 성강에 비해 규범화된 곤곡도 시기적으로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출본으로서 절자희 공연의 면모를 잘 보여주는 『철백구』본의 경우, 고른 배역 운용과 생동감 있는 대사와 지문, 그리고 축의 골계 연기가 장엄한 비극을 장엄하지만은 않은 놀이로의 연극으로 만들어가는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rphan of Zhao family(Zhaoshi-Guer)`is one of the famous Chinese drama constant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from Yuan Dynasty to Qing Dynasty. The plot of the play in the transmitting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much, but added new characters or episodes. The Kunqu, one of the Chinese drama styles was characterized by graceful music and refined literature, being very popular among the gentr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Zhaoshi-Guer` play in `chuanqi` style of the `The Sixty Plays` collection, is called `Ba-yi-ji`, which was sung in Kunqu崑曲 stage. Because `The Sixty Plays` collection was widely read throughout the late Ming and Qing Dynasty, the `The Sixty Plays` version became the model of Kunqu lineage example and so it was in the case of "Ba-yi-ji". In the end of the Ming, new performing type of drama that is called as Zhe-zi-xi(折子戱) was appeared. Zhe-zi-xi refers to make only some pieces, not the whole. With the new form of performance appeared many of the selected texts of plays have come out including `Zui-bai-qiu`.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ices of two Kunqu version, `The Sixty Plays` and Zui-bai-qiu`, I tried to observe the charisteristics of the Ba-Yi-ji performance of Qing dynasty. The latter succeded the former, but more performance oriented, such as using lively and easy word with the acting direction intensified and comic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