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수업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서보순,연희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mage types of preschool teacherstowards inclusive instruction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rough Q-methodand find a way to support inclusion instru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47 teacherswho are currently employed at preschool in Busan metropolitan city or Kyungnamprovince. Pre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rank the level of their agreement withthe statements of inclusive instruction.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QUANL program. As a result, the image of the preschool teachers about inclusiveinstruction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rewere ‘type 1: perceiving teaching efficacy and having needs for human resources’,‘type 2: taking a negative view and asking for administrative support’, ‘type 3:positive role awakening with a focus on the value of inclusion for preschoolers withdisabilities’, and ‘type 4: seeking high-quality inclusive instruction’. This study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to look back on their beliefsin inclusive instruction,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In addition, this study isexpected to make some suggestions on the practice of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by analyzing their perception of inclusive instruction in detail.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활용하여 장애 유아 통합교육에서의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미지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통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통합수업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 유치원에근무하고 있는 47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수업에 관한 진술문들의 동의수준을 분류하도록 하고, 응답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유치원 교사들의 장애 유아 통합수업에 대한 이미지 유형은 네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유형은 ‘인적자원 요구를 지닌 교수 효능감 지각형’, ‘부정적 이미지에 기반한 행ㆍ재정지원 요구형’, ‘통합의 가치에 무게를 둔 능동적 역할 자각형’, ‘질 높은 통합수업 바람형’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에게는 통합수업에 대한 신념을 되돌아보는기회가 되었으며, 통합수업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지원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체장애아동 교육의 연구동향 고찰: 국내연구와 국외연구의 비교

        서보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7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아동 교육 연구의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국내와 국외에서 핵심적으로 연구되는 주제어를 탐색하고 주제어 간 구조를 밝히며, 연구 흐름의 차이를 발견하기 위해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 193편에서 1,316개, 국외논문 241편에서1,384개의 키워드를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국내연구와 국외연구 각각의 키워드 출현빈도, 네트워크 구조적속성 및 중심성을 분석하고, 주제어 군집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지체장애아동 교육 연구에서 ‘지체장애’, ‘뇌성마비’, ‘중도장애’, ‘학생’, ‘아동’, ‘부모’, ‘학교’, ‘교육’, ‘통합교육’, ‘인식’, ‘부모’, ‘중재’, ‘운동’ 등은 국내외에서 모두 높은 빈도로 연구된 키워드였다. 그렇지만 ‘교사’, ‘특수학교’, ‘학급’, ‘중복장애’, ‘교육과정’, ‘AAC’ 등은 국내연구에서, ‘참여’, ‘유아’, ‘여가’, ‘가족’, ‘의사소통’, ‘비장애아동’ 등은 국외연구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었다. 둘째, 국내연구와 국외연구 키워드 네트워크는 많은 키워드가 소수의 단계로 연결을 만드는 분산된 구조였다. 셋째, ‘인식’, ‘통합교육’, ‘중도장애’, ‘부모’, ‘학교’, ‘운동’은 국내외 연구에서 중심성이 높은 핵심 주제어였다. 넷째, 주제어의 군집에서 국내연구에서는 특수교육의 체계 중심의 접근이, 국외연구에서는 교육과 삶을 아우르는 관점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지체장애아동 연구에서 주요하게 조명되는 개념들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연구와 국외연구의 보편성과 차이를 확인하였고, 추후 연구와 지체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keywords that are core to the field, reveal the structure of keywords, and discover differences in research trends. Method: In total, 1,316 keywords in 193 domestic articles and 1,384 keywords in 241 internatio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22 were selected, and keyword frequency, network structural properties, and cluster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physical disabilities', 'cerebral palsy', ‘severe disabilities', 'students', 'children', 'parents', 'schools', 'inclusive education', ‘awareness’, ‘interventions’ and 'movement' were frequently studied. Second, the networks were distributed, with many keywords being connected by a small number of steps. Third, ‘awareness’, ‘inclusive education’. ‘severe disabilities’, ‘parents’, ‘school’, and ‘movement’ were words with high centrality. Fourth,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domestic focus was on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while the international focus was on education and lif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keywords, this study identifi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직무만족도가 어린이집의 CCTV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보순,구은미,강인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CCTV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직무만족도가 CCTV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2개 광역시와 2개 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30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CCTV관련 연구도구는 ‘영유아권리보장’, ‘교사권리보장’, ‘심리적 반응’, ‘기관운영 개선에 대한 기대’ 등 총 20문항으로 이루어진 정현옥(2011)과 김은하(2013)의 연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Cronbach-α계수는 .88이다. 직무만족도 연구도구로는 동료, 원장, 일과 발전기회, 근무여건과 보수에 대한 만족도 등 총 28문항으로 이루어진 윤재석(2013)연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α계수는 .89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어린이집 CCTV에 대해 ‘영유아권리 보장’영역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은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 담당 학급, 교실 내 CCTV 설치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하위 영역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근무여건과 보수에 대한 만족도’와 높은 상관이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 담당 학급, 교실 내 CCTV 설치 기간, 직무만족도가 CCTV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근무여건과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CCTV에 대한 인식의 4가지 영역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와 교사의 권리보장 및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 연구

        서보순,황해익,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유아특수교사가 스스로 자기평가를할 수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유아특수교사들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정도를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적 자질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구성하였다. 선행연구가 제시한 교사의 전문적 자질 및 자기평가 관련요소를 추출하여 도구의 평가 영역과 문항의 기초로 삼았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항을요인분석하여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적 자질평가에 적절한 문항을 도출하였다. 자기평가도구를 유아특수교사들에게 적용해 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특수교사들은자신의 전문적 자질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으며(M=3.97, SD=.39), 연구대상의 배경변인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경력과 학력에 따라 자기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organize the ‘self-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r's professional quality’, and apply this method to see the status of current self-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In this study, we organized the ‘self-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fessional quality’ by studying past studies and conferring with professionals. The scale was organised 8 sub-areas based on connection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 quality and self-evaluation in past studies. It contained 34 items about self-evalu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professional quality by factor analysis of past study's items. The self-evaluation tendency of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professional quality was generally high(M=3.97, SD=.39). The self-evaluation tendency by teachers'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유치원 통합수업 평가척도 개발

        서보순,박재국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The young children should access to variety activities with peers together and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s in line with their educational needs. For tha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valuation scale of inclusive instruction in preschool which can offer the quality criteria of inclusive instru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final draft for the evaluation scale through the Delphi-method researche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developed and finally the usabil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l draft of the evaluation scale for the inclusive instruction in preschool has 4 areas (‘plan of instruction-implement of instruction-environment of instruction-evaluation of instruction’), 13 sub areas, 74 items. Second, the evaluation scale for the inclusive instruction in preschool demonstrated appropriate level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item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 and item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유아들이 교수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하여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통합교육을 위해, 통합수업 평가척도를 개발함으로서, 수업의 질적 기준을 제시하고, 수업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척도 최종안을 마련하고, 통합수업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양호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환경’, ‘수업평가’의 4개 영역, 13개 하위 영역, 74개 문항으로 구성된 ‘유치원 통합수업 평가척도’를 도출하였다. 둘째, ‘유치원 통합수업 평가척도’의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문항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문항변별도, 문항반응분포를 검토하여 척도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유치원 통합수업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평가하는 도구이며, 수업의 특성 및 현상을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양호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예비특수교사들의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지식 구조

        서보순,김혜리,김영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concepts and the knowledge structure for teacher training education with network analysis on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edu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129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in 4 universities were network analysed with UCINET 6.0 and visualized in NetDraw.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words which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came up with related to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education are Cerebral palsy, Wheelchair, Spastic, Muscular dystrophy, Athetosis, Ataxic, and Assistive device in order of high frequency. Second, the network on subject pedagog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education shows low density and dispersion. Third, Muscular dystrophy, Cerebral palsy, Technology-related assistance, Spina bifida, and Type are key words with high centrality in degree, betweeness, and eigenvector. Forth, on the ego network analysis, Muscular dystrophy is strongly connected to council, curriculum revision, and support person, Cerebral palsy is strongly connected to inclusive classroom, daily task, and activity. Technology-related assistance is strongly connected to special classroom, age, and activity.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contents schema of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education and the further stud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education should be diverse and deep based on the result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들이 형성하고 있는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교과내용학 지식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지체장애학생 교육 교과목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요 개념들과 그 구조를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4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특수교사 129명이 생성한 자료를 UCINET 6.0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분석하고, NetDraw프로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지체장애학생 교육의 개념에 대해 ‘뇌성마비’, ‘휠체어’, ‘경직형’, ‘근이영양증’, ‘불수의운동형’, ‘운동실조형’, ‘보조기기’ 등을 높은 빈도로 떠올렸다. 둘째, 예비특수교사들의 지체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교과내용학 지식의 네트워크는 밀도가 낮고 분산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셋째, ‘근이영양증’, ‘뇌성마비’, ‘보조공학’, ‘이분척추’, ‘유형’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이 높은 핵심 단어였다. 넷째, 에고 네트워크 분석에서 ‘근이영양증’은 ‘협의회’, ‘교육과정 수정’, ‘지원인력’과 연결강도가 높았으며, ‘뇌성마비’는 ‘통합학급’, ‘일과’, ‘활동’과, ‘보조공학’은 ‘특수학급’, ‘연령’, ‘활동’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예비특수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지체장애학생 교육과 관련된 내용지식 및 향후 보다 실제적이고 유용한 지체장애학생 교육 교과목 운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행위성(Agency) 발견하기

        서보순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한 경험에서 행위성을 발견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실천하며 경험하는 만남, 변화, 삶을 유아특수교사가 참여한 질적 연구물들로 메타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유아특수교사를 연구참여자로 교육과정 실행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물 10편을 선정했다. 질적 메타분석의 방법으로 연구물들을 여러 차원으로 들여다보면서, 자료에 제시된 사건들, 목소리들, 해석들을 넘나들며 재연결하고 재해석하여 행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특수교사들은 누리과정 실행에서 딜레마를 겪고, 특수교육 실제와의 상충을 경험하며, 주체들의 차이와 마주하면서 ‘누리과정에서 생기는 경계들과 부딪히기’에 놓였다. 이와 더불어 교사들은 ‘유아와 놀이에 귀 기울이기’를 실천하며 놀이를 다시 보고, 새로이 유아를 발견하고 있었다. 공동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과 더불어 지금 여기에서 나아가는 교사들은 ‘교육의 장에서 얽히어 거듭나기’를 경험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 경험을 다룬 질적 연구물들을 관통하며 행위성의 관점으로 비교 해석함으로써 심층적인 명료화와 의미 생성을 시도했다. 또한 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천과 연결된 맥락들을 파악하고, 의미와 장을 거듭하여 만들어가는 교사들의 수행을 발견하였으며, 여기에서 생성되는 교육공동체의 행위성을 감각하게 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ag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implementing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to examine the encounters, dilemmas, and lives.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10 qualitative studies of curriculum practices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2020 to 2023. Through the method of qualitative meta-analysis, agency was discovered in multiple dimensions, reconnecting and reinterpreting the events, narratives, and interpretations presented in the data. Results: Teachers experienced "encounting boundaries created by the Nuri curriculum," including dilemmas in curriculum practice, conflicts with special education practice, and encountered differences between actors. In addition, by practicing “listening to children and their play”, teachers were noticing play again and discovering children in a new way. Teachers experienced "becoming entangled from a journey of education" as they moved forward in the here and now with community.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deepen clarification and meaning-making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ies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practicing Nuri curriculum through the lens of agency. This study identified contexts connec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urriculum practices, discovered teachers' practices of creating meaning and field, and sensed the agency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