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불교 건축에 나타난 공(空) 사상의 공간화 특성과 의미

        김종진 ( Kim Jongjin ),권미경 ( Kwon Migyoung ),서동빈 ( Seo Dongb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불교의 사찰건축은 부처의 사상 및 불교적 세계관이 공간으로 구현된 형상들의 종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출가 수행자와 참배객을 위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찰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공간화되어 왔지만 비교적 규정된 전통 속에서 양식이 반복됐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 지어지고 있는 불교 사찰은 보다 더 자유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건축가의 고유한 해석에 따라 다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건축적 분석을 요한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 사찰건축의 공간화 설계를 논하되 특히 불교의 사상 중에서도 대승불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공(空)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 사찰건축에서 空 사상이 어떤 방식으로 공간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결과) 연구의 방법적 틀로는‘시퀀스를 통한 시지각적 경험’과 ‘빛과 공간현상’이라는 개념으로 空의 공간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空의 개념 정리 및 전통사찰에서 구현된 空의 공간화를 살폈다. 시퀀스와 빛을 통한 시지각적 체험은 현대 사찰건축뿐만 아니라 전통 건축에서도 경험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했다. 이어 현대 불교 건축의 건축 디자인 경향을 살폈다. 1990년대 이후에 진행된 한국, 대만,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의 현대 불교 건축 프로젝트가 대상이 되었다. 그 결과, 현대 불교 건축은 건축 형태, 공간구성 측면에서 자유로운 모습을 띠고, 프로그램 측면에서도 복합문화 기능, 즉 사찰만이 아닌 불교 관련 다목적 공간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대만, 일본이 대승불교의 지역인만큼, 空 사상이 비움의 공간, 시퀀스, 빛 등의 장치를 통해 곳곳에서 공간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동아시아 사찰건축에서 空의 공간화를 보다 자세하게 살폈다. 해외 사례로는 일본의 워터 템플(Water Temple)과 화이트 템플(White Temple), 대만의 워터-문 선원(Water-Moon Monastery)이 대상으로 포함됐고, 국내 사례로는 만해마을 만해사, 태화산 전통불교문화원(한국문화연수원), 제따와나 선원이 대상으로 포함됐다. 사례분석 결과, 현대 건축의 자유로운 해석과 불교 고유의 종교성이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대 건축가들의 고유한 공간 설계 방법이 사찰건축에 있어서도 여전히 적용됨을 발견했다. (결론) 본고는 불교의 空이 본질적으로 언어나 형상으로 표현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체험’을 통해 포착되고 내재화되는 것임에 착안하여, 형상이라는 건축적 방편 너머에 존재하는 空을 체험하게 하도록 만든 설계 원리와 실제를 밝히고,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사찰건축을 새로운 시각으로 고찰한데 의미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Buddhist architecture can be said to be a comprehensive composition of the Buddha's ideas and Buddhist worldviews embodied in space. The Buddhist temple, as a space for Buddhist monks and worshipers, has been spatializ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region and time, but the style has been repeated in relatively rigid tradition. However, Buddhist temples, which have been built in recent years, are varied with the architect's unique interpretation in a more free and creative way, requiring an architectural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spatialization of contemporary Buddhist temple, focusing on the Śūnyatā (空, emptiness), which is the core of Mahayana Buddhism, among the Buddhist ideology, and aims to analyze how the Śūnyatā was spatialized in contemporary Buddhist architecture. (Method and Results)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the study, the concepts of ‘visual-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sequence and ‘light and spatial phenomena’ were used to analyze the spatialization of Śūnyatā.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Śūnyatā and then analyzed the spatialization of Śūnyatā implemented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t was confirmed that visual-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sequences and light can be experienced in traditional Buddhist architecture. We then examined the architectural design trends of contemporary Buddhist architecture. Contemporary Buddhist architecture projects conducted after the 1990s in Far East Asia, including Korea, Taiwan, and Japan, were subject to analysis. As a result, contemporary Buddhist architecture was found to be free in terms of architectural form and spatial composition. The programs operated by the temple were diversified, and the multi-purpose spaces were discovered. In addition, as Korea, Taiwan, and Japan are regions of Mahayana Buddhism, it was confirmed that the idea of Śūnyatā is being spatialized in various spaces through the effects of empty space, sequence, and light. Furthermore,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spatialization of Śūnyatā was conducted. Overseas examples included Water Temple and White Temple in Japan, and Water-Moon Monastery in Taiwan, while domestic examples included Manhae Temple in Manhae Village, Traditional Buddhist Cultural Center(Korean Culture Training Institute), and Jetavana Seon(Zen) Center.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liberal interpretat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were combined into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rchitect’s own unique style was applied to their contemporary Buddhist architectural works. (Conclusions) Based on the fact that Buddhism's Śūnyatā is essentially captured and internalized through 'experience' rather than through language or shape,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design principles and practices that allow us to experience the Śūnyatā beyond the shape.

      • SCOPUSKCI등재

        복합 재난을 위한 장갑형 로봇의 차체 설계

        박상현,김무림,김영렬,김도익,김준식,서동빈,서진호 한국로봇학회 2018 한국재료학회지 Vol.28 No.11

        In this paper, a design for a vehicle body of an armored robot for complex disasters is described. The proposed design considers various requirements in complex disaster situations. Fire, explosion, and poisonous gas may occur simultaneously under those sites. Therefore, the armored robot needs a vehicle body that can protect people from falling objects, high temperature, and poisonous gas. In addition, it should provide intuitive control devices and realistic surrounding views to help the operator respond to emergent situations. To fulfill these requirements of the vehicle body, firstly, the frame was designed to withstand the impact of falling objects. Secondly, the positive pressure device and the cooling device were applied. Thirdly, a panoramic view was implemented that enables real-time observation of surroundings through a number of image sensors. Finally, the cockpit in the vehicle body was designed focused on the manipulability of the armored robot in disaster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