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論語』「學而」1장의 解釋學的 硏究

        徐根植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2 No.-

        {論語}의 핵심사상이라고 하면 보통 ‘仁’을 떠올린다. 그러나, {論語}의 첫 구절인 [學而] 1장에는 ‘仁’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렇다면, {論語}의 편집자는 왜 [學而] 1장을 {論語}의 첫머리에 놓은 것일까? 본 논문은 {論語} [學而] 1장에 孔子의 핵심사상이 함축되어 있음을 서술하였다. [學而] 1장은 ‘기쁨(說)’⋅‘즐거움(樂)’⋅‘君子’라는 단어가 중심이 된다. ‘說’은 자신을 修養하는 단계 혹은 ‘올바른 관계맺음’을 위한 자격을 갖추는 단계이고, ‘樂’은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同志들과 관계를 맺는 단계이다. ‘君子’는 天下의 모든 사람과 ‘올바른 관계맺음’하는 단계로 孔子가 제시한 理想的 人間像을 뜻한다. [學而] 1장의 핵심인 ‘說’⋅‘樂’⋅‘君子’는 {論語}의 핵심사상인 ‘仁’⋅‘恕’⋅‘修己治人’과 연결된다. ‘仁’⋅‘恕’가 ‘올바른 관계맺음’을 의미한다면, ‘說’은 ‘올바른 관계맺음’을 위한 자격을 갖추는 단계이고 ‘樂’은 同志와의 ‘관계맺음’을 하는 단계이고 ‘君子’는 天下 모든 사람과 ‘올바른 관계맺음’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修己治人’에 대해 孔子는 修己以敬(敬으로 자신을 修養함)→修己以安人(자신을 修養하여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만들어줌)→修己以安百姓(자신을 修養하여 天下 모든 백성을 편안하게 만들어줌)의 3단계를 제시하는데, 이는 [學而] 1장의 ‘說’→‘樂’→‘君子’와 연결된다. 孔子가 [學而] 1장을 통해 제시한 ‘君子’라는 人間像은 ‘修養’으로 깨우친 도덕성을 ‘관계맺음’을 통해 ‘實踐’으로 옮기는 인간이다. When we say the core though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e normally come up with ‘Ren(仁)’. However, in the first phrase of Chapter One([學而]) of the Analects, there is no mention about ‘Humanity’. Then, why the editor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had put the First Chapter at the opening of book?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fact that the First Chapter On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mplies the core thought of Kongzi(孔子). In the First Chapter One, the vocabularies, such as ‘Pleasure’(說), ‘Delight’(樂), and ‘Confucian Gentlemen’(君子) are central to the phrasal structure. ‘Pleasure’(說) is the phase to cultivate himself, or the phase to equip with a qual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righteous relation’. And ‘Delight’(樂) is the stag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share same value and ambition with himself. ‘Confucian Gentlemen’(君子) is the stage to ‘establish righteous relationships’ with all people in the world, and it denotes an ideal human image presented by Kongzi(孔子). The core concepts of the First Chapter One are connected to the core thought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wit, ‘Ren’(仁), ‘Shu’(恕), and ‘Xiujizhiren’(修己治人). If ‘Ren’(仁) and ‘Shu’(恕) refer to specifically ‘establishment of righteous relationship’, then ‘Pleasure’(說) is the stage to obtain qual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righteous relationship’, and ‘Delight’(樂) is the stag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brothers and colleagues, and ‘Confucian Gentlemen’(君子) means a person who can build up ‘righteous relationships’ with all the people of the world. Regarding the Confucianism in ‘Character building and guiding other souls’ Confucius presents three phases, viz. ‘Cultivation of himself in reverential carefulness’(修己以敬)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others’(修己以安人)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all the people’(修己以安百姓), and the se get through ‘Pleasure’(說) → ‘Delight’(樂) → ‘Confucian Gentlemen’(君子) in the First Chapter One of the Analects of Kongzi(孔子). The human image, named ‘Confucian Gentlemen’(君子) presented in the Chapter One is equated with the human who practices ‘morality’(修養) that attained by means of ‘cultivation’(實踐) through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 KCI등재

        朝鮮時代 ‘向化’개념에 대한 硏究 - {朝鮮王朝實錄}을 中心으로

        서근식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7 No.-

        ‘向化’라는 말을 우리에게 낯선 단어이지만,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번쯤 음미해볼 가치가 있는 단어이다. 현행 국어사전에서는 儒敎 德治主義의 敎化와 관계있는 단어로 정의되었으며, 向化라는 말 자체도 이미 敎化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向化人은 德治主義라는 名分보다는 경제적⋅정치적 이익이라는 실질적인 이유 때문에 조선으로 이주해 온 경우도 많다. 따라서, 向化人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德治主義라는 名分과 경제적⋅정치적 이익이라는 實狀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皇朝人이라는 말도 ‘向化’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皇朝人은 멸망한 明나라의 유민으로 北方民族이나 倭로 이루어진 向化人과는 대비된다. 實狀에 있어서 向化人과 皇朝人 모두 국제정세의 변화 때문에 조선으로 이주해 온 것이지만, 이들은 ‘華夷’라고 하는 名分上의 이유 때문에 다른 대우를 받았다. 조선을 ‘我’라고 한다면 向化人과 皇朝人은 모두 ‘他者’이다. 조선은 ‘他者’와 올바른 ‘관계’를 맺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 向化人이라는 ‘他者’와 皇朝人이라는 ‘또 다른 他者’가 생겨난 것으로 보아 둘 사이의 ‘관계’는 올바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向化人과 皇朝人이라는 명칭은 ‘他者’가 원한 것이 아니라 조선에서 일방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向化人이라는 ‘他者’와 皇朝人이라는 ‘또 다른 他者’가 생겨난 것은 ‘華夷’라는 이념 때문이다. 이념이라는 색안경을 걷어내야만 ‘我’와 ‘他者’의 ‘관계’를 바르게 정립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념이라는 색안경을 걷어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d, ‘Naturalization(向化)’ is an unfamiliar term for us; however, to us as citizens who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a word worthy of hearty appreciation even once. At the present Korean dictionary, it has been defined as the word related to those terms such as Enlightenment(敎化) which are used to explicate the governance through a virtue of moral excellence(德治主義) of Confucianism, and the word, ‘Hyanghwa(向化)’ itself has already included the meaning of Enlightenment(敎化). On many occasions, people who were dubbed the converts or the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emigrated to Chosun because there were such substantial reasons as economic and political advantages, rather than living in a society for reasons to the governance through a virtue of moral excellence(德治主義). Therefore, to understand the converts or the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correctly, it shall be required to examine the cause which is the governance through a virtue of moral excellence together with the true realities which are economic and political advantages. The word, such as Hwangjoin(皇朝人)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Naturalization(向化)’. Hwangjoin(皇朝人) were those displaced people who had been forced to leave the fallen Ming Dynasty, and they will be contrasted with the converts or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that were mainly composed of the Northern tribes or Japanese. Actually,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and Hwangjoin(皇朝人) had all emigrated to Chosun becaus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affairs, meanwhile, however, they were treated differently for the reason that they were ‘Hwai’(華夷). If we dub Chosun ‘Self’(我),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and Hwangjoin(皇朝人) are equally called as ‘The Other persons’(他者). Can we say that Chosun had established the right relationship with Other persons(他者)? Judging from the facts that there was occurrence of convert or naturalization for the other persons, dubbed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and that there was another occurrence of emigrants, called Hwangjoin(皇朝人), it is eviden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had not rightly established. Also, the names so called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and Hwangjoin(皇朝人) were not give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other person, but provided by Chosun one-sidedly. The reasons for occurrence of convert or naturalization for the other persons, dubbed Naturalized citizens(向化人) and for occurrence of other emigrants, called Hwangjoin(皇朝人) were ideology such as ‘Hwai’(華夷). It is though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我) and ‘The Other Person’(他者) can be established only after excluding ideology.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인(仁)에 대한 해석 연구 - 『논어석의』, 『연평답문』과 『연평답문질의』, 『성학십도』 「인설도」를 중심으로 -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In this thesis, Yi Hwang(李滉) thoughts about In(仁) were examined focusing on Noneosukye( 論語釋義 ), Yeonpyeongdapmun( 延平答問 ) amd Yeonpyeongdapmun- gilyi( 延平答問質疑 ),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 “Insuldo(「仁說圖」)”. Through this, it has been proved that Yi Hwang(李滉) emphasized In(仁) as much as Gyeong(敬). Yi Hwang thought that he didn’t need to highlight In(仁) himself because it had been stressed by Confucius(孔子) and Chu Hsi(朱熹) from a neo-Confucian viewpoint. Therefore, In(仁), which had been emphasized since Confucius, should be regarded important along with Gyeong(敬). While the letter, In, was used 109 times in Noneo( 論語 ), it was mentioned only 15 times in Noneosukye. Noneosukye had the biggest impact on Gyobon Noneoeonhae( 校本 論語諺解 ) published in 1590, accepted not only loyalty(義理) of Song Dynasty but also the opinions from Han Dynasty, and took the opinions of the literary men and followers of those times into consideration. In Joseon, both Yeonpyeongdapmun amd Yeonpyeongdapmungilyi were taken care of by Yi Hwang. In Yeonpyeongdapmun, Yi Tong(李侗) tried to help realize that In(仁) was related to Ji(智), but Chu Hsi and Yi Hwang said that they were not related through “Insul(「仁說」)” and “Insuldo(「仁說圖」)” of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e explanations about In(仁) in “Insuldo” of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followed Chu Hsi’s “Insuldo” and “Insul” in many ways. Gyeong was important to Yi Hwang, but In(仁), which has been emphasized since Confucius,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mportant as much. 이 논문은 이황이 인(仁)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하여『논어석의(論語釋義)』,『연평답문(延平答問)』과 『연평답문질의(延平答問質疑)』, 『성학십도(聖學十圖)』 「인설도(仁說圖)」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이황은 ‘경(敬)’ 못지않게 ‘인(仁)’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황은 인(仁)에 대해서 공자(孔子)에게서 강조되었고, 주희가 성리학적 입장에서 다시 강조한 부분이므로 자신이 다시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공자 때부터 중요하게 생각되었던 인(仁)은 경(敬)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다. 『논어(論語)』에서 인(仁)이라는 글자가 109번 사용되었던 것에 비하여 『논어석의(論語釋義)』에서는 15번밖에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논어석의』는 1590년에 발간된 『교본(校本) 논어언해(論語諺解)』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송나라의 의리(義理)뿐만 아니라 한나라, 당나라의 견해까지 받아들였고 당시 문인·제자들의 견해도 참작하고 있다. 조선에서 『연평답문』과 『연평답문질의』는 모두 이황의 손을 거친 것이다. 그 가운데 『연평답문』에서 이통(李侗)이 인(仁)과 지(智)가 관련된다는 것을 깨우쳐 주려고 하였으나, 주희(朱熹)와 이황(李滉)은 「인설」과 『성학십도』 「인설도」를 통해 서로 관련 없음을 말하고 있다. 이황에게 있어서 인(仁)은 특별하게 강조되지 않았다. 그러나 공자 때부터 강조되어온 인(仁)은 이황에게 있어서도 여전히 강조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 KCI등재

        茶山學團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 -丁若鏞의 아들들과 舫山 尹廷琦의 『易傳翼』을 중심으로-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This thesis examined how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and Jeong Yak-Yong(丁若鏞)’s grandchild, Yoon Jeong-Kee(尹廷琦), accepted Jeong Yak-Yong(丁若鏞)’s Yixue(易學).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showed their presence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Chashanwenda(「茶山問答」)” of Yixuexuyan(易學緖言).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followed Jeong Yak-Yong(丁若鏞)’s ideas well. In fact, Chashanxuetuan(茶山學團) became better known to the world owing to Yoon Jeong-Kee(尹廷琦) who led his whole life following Dasan’s ideology(茶山學). In Yoon Jeong-Kee(尹廷琦)’s Yizhuanyi(易傳翼), only the core of Jeong Yak-Yong(丁若鏞)’s Zhouyisijian(周易四箋) was accepted and developed properly. Yilisifa(易理四法), consideration of “Wenyanzhuan(「文言傳」)” as an ancient book, and Shierpigua(十二辟卦) are some examples. However, they believed the hypothesis that Confucius authored Shiyi(十翼), did not accept “Shiguazhuan(「蓍卦傳」)” in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had borrowed some lines from “Xicizhuan(「繫辭傳」)”, and returned to ZhuXi(朱熹)’s divination.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lived in their father's shadow and did not get enough recognition. After Jeong Yak-Yong(丁若鏞)’s death, Yoon Jeong-Kee(尹廷琦) adequately fulfilled his role as a successor of Dasan’s ideology(茶山學). Yet, in his efforts to establish his own theory distinct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he seems to have rather gone backward compared to Jeong Yak-Yong(丁若鏞). 이 논문은 丁若鏞의 아들인 丁學淵․丁學游와 외손인 尹廷琦가 정약용의 역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정학연․정학유는 周易四箋과 易學緖言 「茶山問答」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윤정기도 평생을 다산학의 계승자로서 살았기 때문에 다산학단이 좀 더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윤정기의 易傳翼은 정약용의 주역사전의 핵심적인 부분만을 받아 들여서 잘 전개하고 있다. 易理四法이라든지 「文言傳」을 고대의 字書로 본 점이라든지 十二辟卦라든지가 그렇다. 그러나 공자가 十翼을 지었다는 설을 믿거나 정약용이 「繫辭傳」에서 독립시킨 「蓍卦傳」을 받아들이지 않고 朱熹의 占法으로 되돌아갔으며, 주희는 인정하였지만 정약용은 부정한 <文王八卦方位>도 실어 놓고 있는 점 등은 다산학의 발전과정에서 오히려 퇴보된 느낌이다. 정약용의 아들들은 정약용의 그늘에 가려져서 빛을 보지 못하였다. 윤정기는 정약용이 죽은 후에 다산학의 계승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였다. 그러나 일부 정약용과는 다른 학설을 내세우다 보니 오히려 정약용보다 퇴보된 느낌이 든다.

      •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草廬 吳澄의 역학사상에 대한 陽村 權近의 수용과 비판 연구

        서근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본 논문은 吳澄의 역학이 權近의 역학에 어떻게 수용되고 비판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오징이 가장 얻은 것이 많았다는 『易纂言 과 권근의 『入學圖說』·『周易淺見錄』에 관하여 비교⋅고찰한 것이다. 그리고 오징의 『역찬언』은 권근이 『주역천견록』을 집필하게 된 직접전인 원인이 되었다. 권근의 역학에서는 오징의 體用論이 朱熹의 입장을 이어받았으므로, 권근 역시 『입학도설』의 『周易』관련 「圖說」에서 체용론의 입장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권근만의 독창적인 체용이론도 보인다. 또한 권근은 『주역천견록』에서 오징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그의 해석을 따른 부분이 많이 있다. 그러나 권근은 오징이 象에 대한 해석을 잘못했거나 『주역』 經文의 글자를 고치거나 異端에 빠졌다고 비판도 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권근은 오징의 역학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권근이 오징의 『역찬언』에 대해 수용도 하고 비판도 한 측면은 후에 정약용의 『易學緖言』 「吳草廬纂言論」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권근의 입장은 정약용에 앞서 오징의 역학을 수용⋅비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파의 음양오행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연구-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서근식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Positive School in the late stage of Joseon Dynasty pursued the original meanings of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and thoroughly rejected the creation principle of all things and the transformation principle and etc. The original meanings of Yinyang(陰陽) examined through Shuowenjiezi(『說文解字』) were the place where the sun shines brightly(陽地) and the place where the sun doesn’t shine(陰地), that is, shade and light. In addition, the Wuxing(五行) meant wood(木), fire(火), land(土), metal(金) and water(水), which are necessary in daily life. Yet, these meanings changed metaphysically starting from Guanzi(『管子』). Most scholars of the positive school in the late stage of Joseon Dynasty didn’t use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metaphysically, but with their original meanings, and said that people using them would become wealthy. Regarding Jeong Yak-Yong(丁若鏞)’s Yinyang(陰陽), it was regarded as the thing necessary in daily life in Zhongyongjiangyibu(『中庸講義補』). Wuxing(五行) were also mentioned as the object needed in daily life in Shangshuguxun Hongfan(『尙書古訓』 「洪範」). The principles of coexistence of Wuxing(五行)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appeared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other scriptures, but there were no scriptures that gave perfect explanation about the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Therefore, they couldn’t acknowledge the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of Wuxing(五行). Wuxing(五行) is not the creation principle of all things, but means the objects necessary in daily life. Nowadays, diverse activities are being performed around us with regard to Yinyang(陰陽) and Wuxing(五行), but we need to think that it is an object needed in daily life, and how much it will become of help in daily life. 조선후기 실학파는 음양과 오행의 본래적 의미를 추구하였으며 그것이 만물의 생성원리라든지 화생원리라든지 하는 것에는 철저하게 반대하였다. 이에 음양의 본래적 의미는 『설문해자』를 통해 살펴보면 해가 잘 비추는 곳과 비추지 않는 곳 즉 음지와 양지를 뜻하는 의미였다. 그리고 오행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목·화·토·금·수라는 의미였다. 이러던 것이 『관자』를 기점으로 형이상학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대부분의 조선후기 실학자들은 음양과 오행을 형이상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적 의미에서 사용한다면 그것을 이용하는 백성들은 풍족해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정약용의 음양에 대해 『중용강의보』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으로 여기고 있다. 오행도 『상서고훈』 「홍범」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라고 하고 있다.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의 원리는 『주역사전』과 여러 경전들에 나타나 있지만 완벽하게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에 대해 설명한 경전은 없었다. 그러므로 오행상생과 오행상극은 인정할 수 없었다. 오행은 만물을 생성하는 원리가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현재에도 우리 주변에서는 음양·오행에 관련된 상당히 다양한 것들이 행해지고 있지만 실생활에 필요한 물건이라는 생각으로 그것을 이용하면 얼마나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인가라는 생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경기학인의 {주역}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1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07 한국 철학논집 Vol.0 No.20

        본 논문에서는 京畿지역에 거주하는 學者들 가운데 朝鮮後期 思想史(혹은 朝鮮後期 經學史)에서 대표적인 學者라고 할 수 있는 星湖 李瀷茶山 丁若鏞楚亭 朴齊家秋史 金正喜保晩齋 徐命膺石泉 申綽을 중심으로 그들이 周易을 어떤 方法을 통해 解釋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또, 政派와 學者에 따라 그 특징적인 부분을 도출하여 朝鮮後期 易學의 地形圖를 그려보려고 하였다.새로운 學問方法論의 세례를 받은 京畿學人들은 이전의 解釋에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周易의 解釋을 놓고 본다면, 이제 더 이상 이전의 解釋으로는 易辭를 바르게 解釋할 수 없다고 여긴 것이다. 程子와 朱子의 見解를 비판적으로 再檢討하려는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하고, 宋代易學을 부정하고 漢代易學을 수용하는 보다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하였다. 少論은 적극적인 학자도 있고 소극적인 학자도 있어 ‘중립적 입장’으로 분류하였다. 政派에 따른 특징도 있지만 學者 각각에 따른 특징도 드러난다. 李瀷은 ‘實證的’이라고 할 수 있고, 丁若鏞은 ‘象數論的’이라고 할 수 있고, 朴齊家는 ‘義理論的’이라고 할 수 있으며, 金正喜는 ‘義理考證的’이라고 할 수 있고, 徐命膺은 ‘先天學的’이라고 할 수 있고, 申綽은 ‘訓的’이라고 할 수 있다.6명의 學者만으로 朝鮮後期 周易解釋方法 전체를 규정지을 수는 없지만 地形圖를 제시하기에는 충분하다. 이러한 地形圖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學者들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周易뿐만 아니라 다른 經典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Research regarding I-Ching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late Cho-sun the scholars in Gyeong-gi(Ⅰ) / Seo, Geun-Sik

      • KCI등재

        강화학파(江華學派) 역학사상의 전개 양상 연구(Ⅰ) -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역학사상의 하락(河洛)·선후천(先後天)적 특징

        서근식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In this thesis, Jeong Je-Du(鄭齊斗)’s I-Learning(易學) ideology was examined. Jeong Je-Du(鄭齊斗)’s Hagokjip( 霞谷集 ) was not completed as Munjip( 文集 ), but its unfinished version(未完成本) was published as a book. Just like Jeong Je-Du(鄭齊斗)’s Munjip( 文集 ) is an unfinished version(未完成本), his writings of I-Learning(易學) have left unorganize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Je-Du(鄭齊斗)’s theory of I-Learning(易學) he was a Yangming scholar(陽明學者) and a member of Soron(少論). The fact that SoronSoron(少論)’s theory of I-Learning(易學) was centered around “Hado(「河圖」)” and “Naksu(「洛書」)” and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shows that it followed Doseonsangsuyeokhak(圖書象數易學) of Song dynasty. In “Hado(「河圖」)” and “Naksu(洛書)”, 5 in the middle was an important part. To Jeong Je-Du(鄭齊斗), 5 in the center was important because it was formed with 4 dots centered around ‘Taegeuk(太極)’. From Jeong Je-Du(鄭齊斗)’s viewpoint, ‘Taegeuk(太極)’ was similar to ‘Mind[心]’. He treid to suggest some solutions to the matter of Seokhapbogong(析合補空), but made the mistake of confusing Zhu Xi(朱熹)’s opinions with those of Hu Fang-Ping(胡方平). In “Seonhucheondoseol(「先後天圖說」)”, what’s most impressive about Jeong Je-Du(鄭齊斗)’s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is that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were not 2. From the viewpoint of Ti(體) and Yong(用), from the aspect of Ti(體), Preceding Heaven(先天) and Succeeding Heaven(後天) were not two, and Preceding Heaven(先天) becomes separated from Succeeding Heaven(後天) only when it’s considered from the aspect of Yong(用). Jeong Je-Du(鄭齊斗)’s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astronomy(西洋天文學) was completed through Seonwongyeonghaktonggo( 璇元經學通攷 ) and others. It seems that Jeong Je-Du(鄭齊斗) first wrote “Seonhucheonseol(「先後天說」)”, and then completed Seonwongyeonghaktonggo( 璇元經學通攷 ) in his latter years after acquiring more advanced knowledge. 본 논문은 정제두(鄭齊斗)의 역학사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정제두의 하곡집(霞谷集) 은 문집(文集) 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미완성본을 책으로 발간한 것이다. 정제두의 문집 이 미완성본인 것처럼 그의 역학저술도 정리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제두 역학의 특징은 그가 양명학자이고 소론(少論)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정제두 역학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므로 송나라 도서상수역학(圖書象數易學)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하도」와 「낙서」는 가운데 있는 5가 중요한 부분이다. 정제두에 있어서 「하도」와 「낙서」의 가운데 5가 중요한 이유는, 한가운데에 ‘태극’이 있기 때문이다. ‘태극’은 정제두의 입장에서 보면 ‘마음[心]’과 같은 것이다. 정제두는 석합보공(析合補空)의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놓으려고 노력하였지만, 주희(朱熹)의 견해와 호방평(胡方平)의 견해를 혼동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정제두은 「선후천도설(先後天圖說)」은 선천과 후천이 두 가지가 아니라는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다. 본체[體]와 작용[用]의 측면에서 생각할 때 본체[體]의 측면에서는 선천과 후천이 두 가지가 아니며, 작용[用]의 측면에서 비로소 선천과 후천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정제두의 서양천문학의 이해는 선원경학통고(璇元經學通攷) 등으로 완성되었다. 정제두는 역학저술에 있는 「선후천설(先後天說)」을 먼저 저술하고 보다 발전된 지식을 입수하여 선원경학통고 를 완성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