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동아시아 지식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동아시아 근대 출판의 성립과 이동을 중심으로

        서광덕(Seo, Kwang-Deok)(徐光德)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1 No.-

        근대는 활자 미디어의 시대이다. 활자의 발명은 인쇄술의 혁명을 가져왔고, 인쇄술의 발달은 대량의 신문잡지와 책의 출판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들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고, 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근대적인 출판이 시작된 곳은 바로 해역도시들이었고, 이 도시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으로 지식이 전파되기도 하고 또 수용되기도 하였다. 근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식의 수용과 전파는 이렇게 형성된 동아시아 출판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 출판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 동아시아 지역의 각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또 이 지역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이 해역도시들 간에 어떻게 이동되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도서만이 아니라 출판업 곧 인쇄소, 출판사, 서점 등의 하드웨어 자체가 이동한 것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출판의 대중화와 산업화가 이 지역 사람들의 근대적인 지식을 전유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나아가 동아시아의 인문네트워크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Modern times are the age of type media. The invention of type has led to a revolution in printing, and the development of printing has enabled the publication of large amounts of newspaper magazines and books. And based on this, the general public got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The modern publications in East Asia were in the sea areas, and knowledge was spread and accepted to each area centered on these cities.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in the modern East Asia was based on the publication network of Northeast Asia.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ublishing network of modern Northeast Asia was formed, focusing on each country in East Asia, and summarizes how the publications produced in this region were moved between the sea citie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is is a basic work to examine what role the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publications in East Asia since the modern era played in preserving modern knowledge of people in this region and furthermore, how it affected the formation of humanistic networks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해역 근대 지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사 검토- 서학(西學)의 수용과 한국 근대지(近代知)의 형성을 중심으로

        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근대 지식의 수용 그리고 근대 학문의 수립 과정에는 우선 근대 지식으로 대변되는 서구의 학문 곧 서학-물론 이 서학의 범위도 광범위하지만 통칭해서 부른다면-이 어떤 방식으로 동아시아에 전래되었고, 동아시아 지역내에서는 또 어떻게 유통되었는지를 살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학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내용을 담고 있는 서적은 어떤 것이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그 다음은 그 서적이 어떻게 전파되고 보급되었는지 또 서학을 배운 사람들은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그 내용을 공유했는지 하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학문과 그것을 학습한 이들과의 사이에 갈등과 대립이 발생한다. 이 과정은 종교적, 사상적, 과학적, 운동적 측면이 얽혀서 작동한다. 한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기독교 수용과 함께 일어난 충돌은 실로 대단했고, 과학으로 대변되는 서구 근대학문의 토대는 종래의 전통적인 학문과는 결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인문학적 바탕 위에서 전개된 전통과 근대의 대립은 긴 시간에 걸쳐 전개되었고, 그 가운데 번역어의 탄생과 개념의 번역이란 형태를 통해 소위 서구의 근대 지식을 전유해나갔다. 초기 새로운 지식의 수용에 따른 혼란은 점차 제도화를 통해 정착되어갔는데, 동아시아 각국은 대학을 비롯한 교육 기관을 설치하여 이를 강고하게 만들었다. 국가에 의해 설치된 이와 같은 기관 밖에서는 출판을 통해 지식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여기서 출판(또는 서적상)이 공식적인 학교와 다른 차원에서 근대 지식의 전파를 수행한 점에서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처럼 동북아해역에서 전개된 근대 지식을 둘러싼 (유통)네트워크의 양상에 대한 검토는 방대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근대 지식이 단지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그 내부에서 성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횡적인 검토가 중요하다. 또 이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종적으로도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래서 이 논문에서도 어떤 특정한 지역과 시대를 규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시기적으로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까지를 설정하고 지역은 동북아해역으로 한정하여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odern knowledge and establishing modern scholarship, Western scholarship, Western scholarship represented by modern knowledge, of course, has been introduced to East Asia in a certain way, You should look at how it was circulated. To do this, we need to understand what the content of the book is and what the book contains. The next point is how the book was disseminated and distributed, and what network people learned to share it. In this process, conflicts and conflicts arise between traditional learning and those who have learned it. This process works by intertwining religious, ideological, scientific, and kinetic aspects. The conflicts that occurred with the acceptance of Catholicism and Christianity in Korea and East Asia were really great, and the foundations of Western modern science represented by science were difficult to combine with traditional traditional scholarship.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developed on this humanistic basis has been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modern knowledge of the so - called Western world has been totally destroyed through the form of translation and the concept of translation. The confusion caused by the acceptance of the early new knowledge gradually became establish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East Asian countries established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ed them. Outside of such an institution set up by the state, popularization of knowledge was achieved through publishing.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publication (or book prize) is carried out in the dissemination of modern knowledge at a different level than the official school. The review of the aspects of the network surrounding the modern knowledge developed in the sea area of ​​Northeast Asia is an enormous task. This is important because of the fact that modern knowledg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geographical area but grown within it. In addition, since this is constantly flow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t must be checked longitudinally. Therefore,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set, and the region is limited to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the researcher is reviewed.

      • KCI등재

        『우리 시대의 영웅』과 러시아 제국의 군인들

        서광진(Seo, Kwang J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4

        본 논문은 레르몬토프의 『우리 시대의 영웅』에서 나타난 제국주의를 바탕으로 이 작품의 주인공이 누구인지(혹은 무엇인지) 다시금 밝혀보려는 시도에서 비롯된다. 작품의 지리적 배경이 되는 당시 카프카즈는 러시아 제국에 새로운 활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원이었으며, 러시아의 근대적 정체성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 때 러시아는 정복전쟁을 위해 카프카즈에 군대를 파견하였으며, 『우리 시대의 영웅』은 그곳에 주둔했던 러시아군 장교들(페초린, 그루쉬니츠키, 막심 막시므이치, 화자 등)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음은 새삼 주목을 요한다. 그들의 이야기는 러시아 제국의 카프카즈 정복 전쟁이 없었다면, 그리고 그들이 그곳에 파견된 군인들이 아니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경우 이 작품의 숨은 주인공은 장교들의 어깨 위 견장이 상징하는 바, 러시아 제국임을 상정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discover who (or what) is the real hero in Mikhail Lermontov’s A Hero of Our Time, focusing on imperialism appearing in this classic piece. Then Caucasia, which is the geographical place of the work, was a source providing new energy for the Russian Empire and ev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Russian modern identity. Thus the fact that the Russian Empire sent troops to Caucasia for conquering the area in that time, and concurrently A Hero of Our Time consists of the stories of the commissioned officers staying there, such as Pechorin, Grushnitskiy, Maksim Maksimych, the narrator and so on, requires academic attention again. If the Russian empire had not carried out a conquest war against Caucasia, and they had not been a military officer, their stories could not have been made. If so, the author can argue that the hidden but real hero of this classic could be considered the Russian Empire, as the military officers’ shoulder epaulet symbolizes her.

      • KCI등재

        벌브를 가진 쌍동형 선박의 종동요 응답 스펙트럼 분석

        서광철(Kwang-Cheol Seo),이창우(Chang-Woo Lee),Mehmet Atlar, 이경우(Gyoung-Woo Lee),김옥석(Ok-Sok G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에서는 18미터급 쌍동형 선형의 선수벌브 유무에 따른 운동응답특성을 선형 스트립이론에 기초한 상용코드(Seakeeper)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계산조건으로는 ITTC 파스펙트럼에 기초한 뷰포트 풍력계급 3, 4 및 5의 파스펙트럼을 산출하였고, 조우각은 선수파, 선수사파 및 횡파를 적용하여 종동요의 선체운동응답스펙트럼을 해석하였다. 선수벌브가 적용된 쌍동선 선형은 선수파와 선수사파에서 최대 20%의 종동요 응답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a commercial seakeeping program Seakeeper, integrated into Maxsurf, which is based on the linear strip theory was employed to compare the effect of bulbous bow (with/without) on mo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in a 18-meter catamaran. The seakeeping analyses were conducted at several Beaufort wind conditions such as scale No. 3, No. 4 and No. 5 based on ITTC wave spectrum. Pitch motion response spectrum was calculated at Head sea, Head & bow sea and Beam sea as encounter angles. Hull form of a catamaran with bulb showed the maximum 20% decrease of pitch motion response as compared to that of hull form without bulb.

      • KCI등재

        두 자살: 라디셰프와 카람진의 “리자”

        서광진 ( Kwang Jin Se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라디셰프의 죽음(그리고 라디셰프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자살의 모티브)과 리자의 자살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말 자살의 의미와 문화사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감상주의자, ‘러시아의 카토’인 라디셰프(그의 작품의 등장인물을 포함하여)와, ‘러시아의 베르테르’인 리자의 자살은 러시아 문화사에 독특한 비교적 관점을 제시해 준다. 라디셰프의 자살은 여전히 확정적이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독자들과 학자들에 의해 문화적으로 해석되고 있다. 근대 러시아에서 ‘최초의’ 자살이라 할 수 있는 라디셰프의 죽음은 고대 세계의 모범을 따른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자살과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자살의 모티브는 귀족적이고, 영웅적이며, 시민적인 파토스가 강하다. 반면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카람진의 「가엾은 리자」에서의 자살은 고상한 감정에서 비롯되긴 했지만, 농민적이고 개인적이며 비극적이다. 라지셰프에게 자살이 민중을 위한 귀족의 영웅적 자살이었다면, 리자에게 자살은 세속화된 개인이 느낀 고상한 감정에서 비롯된 농민의 것이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Lisa’s and Radishchev’s suicide (including the motive of suicide in the Radishchev writings) comparatively,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suicide in the lat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further examine its implications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of Russia. The suicide of the two sentimentalists, Radishchev, Russian Cato and Lisa, Russian ‘Werther’ has a very unique meaning in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The former demonstrates strong noble, heroic and civil pathos, while the latter originates from folkloric and individual but elegant emotion. Suicide meant a novel’s heroic decision for public to Radishchev, whereas it was peasants’ own resolution, stemming from elegant emotion felt by a secularized individual-hero, for Lisa.

      • KCI등재
      • KCI등재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간담도계 발현

        서광일 ( Kwang Il Seo ),강상범 ( Sang-bum K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3 No.5

        The hepatobiliary system is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of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he progression of IBD can lead to a primary hepatobiliary manifestation and can occur secondary to multiple drugs or accompanying viral infections.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is the representative hepatobiliary manifestation of IBD, particularly in ulcerative colitis. Although most agents used in the treatment of IBD are potentially hepatotoxic, the risk of serious hepatitis or liver failure is low. The prevalence of HBV and HCV in IBD is similar to the general population, but the clinical concern is HBV reactivation associated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 Patients undergoing cytotoxic chemotherapy or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 moderate to high risk of HBV reactivation require prophylactic antiviral therapy. On the other hand, HCV has little risk of reactivation. Patients with IBD are more likely to hav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end to occur at younger ages. IBD and cholelithiasis are closely related, especially in Crohn's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19;73:248-259)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