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타버스 내 상표의 실시에 관한 연구

        서경서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2021 지식재산 교육과 연구 Vol.9 No.2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들 수 있어 새로운 경제활동 공간으로 자리잡아갈 신세대 공간인 메타버스는 차후 우리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 공간이 될 것이며,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가상현실의 세계로 다가오고 있다. 초고속의 인터넷과 최적화된 모바일 환경, 그리고 컴퓨터 정보장치의 고성능화로 인해 종래의 한계를 가졌던 가상현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머지않아 메타버스 세계는 현실세계의 경제활동과 문화예술활동을 뛰어 넘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의 발전전망과 영향력에 대해 파악한 엔터테인먼트와 세계 유명 패션 기업들은 장소와 시간에 제약이 없으며 인터넷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신세대를 공략할 수 있다는 메타버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활동범위를 메타버스까지로 확장하고 있다. 한편, 산업 활동은 지식재산 중에서도 상표권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메타버스 공간에까지 산업 활동이 확장되어가고 있는 현재, 메타버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표권 관련 분쟁에 대한 논의는 필수불가결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메타버스 내 상표권 실시 관련 부작용 또는 연관된 법률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상표권과 관련하여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지식재산권에 비추어보아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상표권 사용과 관련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사진 또는 그림 등으로 구현되는 물품의 표현 또는 거래 등으로 사용되는 물품을 지정상품으로 보아야하는지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해본다. Metaverse, a new generation of space that will become a new economic activity space because it can cross the real and virtual worlds, will become a must-have space, not an option for us in the future, and is now approaching a world of virtual reality that we are familiar with. The high-speed Internet, optimized mobile environment, and high performance of computer information devices have made it possible to realize virtual reality, which has limitations in the past, and the Metaverse world is expected to surpass the real world's economic an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Entertainment and world-renowned fashion companies, who have grasped the development prospects and influence of Metaverse, are expanding their scope of activity to Metaverse by taking advantage of Metaverse' advantage of targeting the new generation that freely handles the Internet. On the other hand, industrial activitie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rademark rights among intellectual property, and as industrial activities are expanding to Metaverse spaces, discussions on various trademark disputes that may arise within Metaversees are indispensable.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confusion may arise regarding trademark rights as side effects or related law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rademark rights in Metaversees have not yet been reviewed. In l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 examine closely whether goods used as expressions or transactions of goods implemented in photographs or pictures in Metaverse spaces should be regarded as designated products in relation to the use of trademark rights in Metaverse spaces.

      • KCI등재

        B. Brecht 의 「Mutter Courage un ihre Kinder」 에 나타난 Mutter Courage 의 모순적 성격

        서경 한국독어독문학회 1988 獨逸文學 Vol.40 No.1

        Das Theaterstuck utter Courage and ihre Kinder$quot; von Bertolt Brecht wurde im Jahr 1939 ver8ffentlicht, da war der Krieg im Begriffe, auszubrechen, Im Stuck ist mit dem Untertitel `Fine Chronik aus dem DreiBigjiihrigen Krieg' bezeichnet, Aber diese Chronik spielt nicht mehr unter den welthistorischen Individuen, ihr newer Held ist der gemeine Mann, sind die kleine Leute, Anna Fierling, die Hauptfigur, die Mutter Courage genannt wird, ist eine schneidige Marketenderin. Sie geht im Kreigsgebiet mit ihren drei Kindern Eilif, Schweizerkas, Kattrin, herum, um Gewinn zu machen, Aber sie versucht, sich and ihre Kinder aus dem Krieg herauszuhalten. Trotzdem verliert sie alle ihre Kinder im Krieg spater, Hier erscheint die Spannung von ihrem Geschaftstrieb and Mutterliebe, Immer wenn ihre Kinder verhaftet werden oder sterben, beschaftigt sich Mutter Courage mit dem Handel. Und Mutter Courage erkennt zwar das merkantile Wesen des Krieges, aber sie berechtigt den Krieg in bezug auf Geschaft, Sie enthullt die Tauschung der herrschenden Ideologie aus der plebejischen Perspektive, aus der Sicht des Volkes, Aber ihr Handeln ist widerspruchsvoll, weil sie bis zuletzt ihren kleinburgerlichen Stand behaupten will, Die Absicht von Brecht ist, daB das Publikum etwas lernen kann, Mutter Courage betrachtend, wenn sie weiter nichts lernt, Der Weg der Courage ist nach den Prinzipien des Epischen Theaters in keiner Weise tragisch, sondern einfach falsch, Dadurch kann das Publikum die Leute wie Mutter Courage kritisieren, die den Krieg unterstutzt, um am Krieg ihren Schnitt zu machen. Die stumme Kattrin ist die alternative Figur des Stucks. Gegenfigur zur Courage ist Kattrin auch dadurch, daB ihre Entwicklung den umgekehrten Weg nimmt wie die ihrer Mutter, Diese beiden gegetilaufigen, aber gelegentlich sich treffenden Bewegungen sind ein wichtiges Moment der Handlungsfugung. Kattrin hat die wahre Mutterlebe, ihr Widerstandgeist 1fiBt sich ihren Protest gegen die Ungerechtigkeit zur Tat werden, Und sie opfert sich, um die Stadt Halle zu retten. Sie and Mutter Courage rind keine realistischen Figuren, sondern parabolische Figuren, Durch sie gibt Brecht dem Publikum die Lehre mit Benutzung von den epischen Methoden. Besonders erscheinen die Gestalt and Funktion der widerspruchsvollen Figur and Handlung and Gesellschaft durch die epische Struktur, Durch diesen Verfremdungseffekt sieht der Zuschauer die historische Wirklichkeit and Vorgang distanziert vom objektiven Standpunkt aus, Brecht hat einen neuen Horizont der Erkenntnis erdffnet,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서경현(Kyung-Hyun Suh),양승애(Seung-A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 KCI등재후보

        대학생활 스트레스 및 우울과 일주기성과 수면부족의 관계

        서경현(Kyung-Hyun Suh)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 일주기와 수면부족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그 역할에 있어서의 성차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19명(남: 147, 여: 172)의 대학생들이고,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 (M=23.36, SD=2.94)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일주기성 척도, 수면부족 척도, 대학생 스트레스 대처 질문지, 자기평가 우울 척도 및 AUDIT이다. 분석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저녁활동형이었으며, 저녁활동형이 아침활동형보다 수면부족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아침활동형이 저녁활동형보다 더 우울한 반면에, 여학생은 저녁활동형이 더 우울해 하고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수면부족 여부에 따라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차이가 없었지만, 여학생은 수면이 부족할 경우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남녀 대학생 모두 음주 수준이 많아질수록 저녁활동형이 될 가능성이 컸지만, 인터넷 게임을 하여 저녁활동형이 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면 일주기 양상과 대학생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성차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depriv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Three hundreds and nineteen participants were volunteered in this study. Of which, 147 were male and 172 were female,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7 (M=23.36, SD=2.98). The outcome measures wer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 Sleep Deprivation Scale, Stress Coping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Zung"s Self-Rating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evening type than female, and the evening type was more likely to experience sleep deprivation than the morning type. The morning type were more depressed than the evening type for males, while it was reversed for female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by existence of sleep deprivation for males, female students who were experiencing sleep deprivation showed significant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an females who were not experiencing sleep deprivation. Consuming alcoholic beverages was positively related to being evening typ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playing internet games was positively related to being evening type only for mal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possible gender differences may exist in relationships between sleep circadian rhyth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Str Res 2009;17:247∼254)

      • 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능에 관한 연구 -지체장애인의 공간서비스 요구(Needs)평가 요소 중심으로-

        서경자(주저자) ( Koung Ja Seo ),정성훈(공동저자) ( Sung Hoon Jung ),전정호(공동저자) ( Jung Ho Jun ),공성훈(교신저자) ( Sung Hoon K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5 No.-

        현대사회는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후천적인 장애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공공도서관이 복합서비스공간으로 변화하는 상황 가운데 모든 이용자가 공평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지식정보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요구 속성을 파악하여 모두를 위한 공공도서관 공간’ 개념의 기능적ㆍ시설적ㆍ지원적인 요구와 목적을 완벽하게 수용하는 공공의 공간서비스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공간서비스범주와 환경에서 지체장애인의 공간서비스 요구(Needs)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요구평가요소의 의미와 목표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공공도서관의 실증적인 장애인 서비스를 위한 공간구성에 있어 복합적인 요구평가와 다차원적인 요구평가·분석이 가능하게 하며 이용자요구에 따른 경험 중심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As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the disorders have appeared in modern society, the population of acquired disorders has increased more and more. Thus, many public libraries have been developed to complex service facilities and it has been necessary research the public libraries as the space service design which perfectly accept both functional, institutional, supportive requirements and purposes for the disabled who have not had the enough knowledge an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draws the evaluations of needs in space service from the category and environment for the physical disabled and suggests the meaning and objective in the factors on the extracted evaluation of need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nable the researchers to analyze th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evaluations on the practical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he public libraries and will establish the foothold of the experience-oriented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users.

      • KCI등재

        승진장벽(Glass Ceiling)의 유발요인과 지각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방의료원과 민간의료원의 종사자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경,Suh, Kyung-D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조직 내에 존재하는 승진장벽 유발요인과 승진장벽 지각에 대한 직무몰입의 제고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조직성과를 지방의료원과 민간의료원 종사자에 따른 영향효과 차이분석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각 요인별 영향관계 규명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공공과 민간의료원 종사자들 간 영향관계 차이분석을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승진장벽 유발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서 고정관념과 조직문화에 따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크기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의료원의 종사자들은 승진장벽 유발요인이 지각된 승진, 보직배치, 교육훈련, 포상, 근무평정 모두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몰입는 승진장벽의 지각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에 있어서 민간의료원의 종사자들만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분야의 여성종사자들이 고위 관리직에 더 많이 진출 할 수 있는 인사 및 제도개선을 위해 승진장벽 현상 인식 및 지위개선에 대한 정책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lass ceiling induction factors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Commitment on the glass ceiling percep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influence of the local medical institute and private medical institute employees. Purpose. As a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In particular, multiple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influence rela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medical personnel. Respectively. Result, First,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glass ceiling inducing factors on job Commitment showed that job Commitment was influenced by stereotyp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different. Second, the employees of the room medical center were influenced by perceived promotion, job placement, education and training, reward, and job satisfaction. Third, in the hypothesis that job Commitment will be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glass ceiling, only the workers of the private medical center showed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plan policie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glass ceiling phenomenon and improve its status in order to improve the personnel and system that women workers in the medical field can enter more senior management positions.

      • KCI등재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 : 공중 손동작 인식을 위한 핸드 헬드형 기기의 설계 및 평가

        서경은 ( Kyeong Eun Seo ),조현중 ( Hyeon Joong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4 No.2

        본 논문에서는 원격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공중에서 섬세한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핸드 헬드형 포인팅 디바이스인AirPincher를 제안한다. AirPincher는 현재 존재하고 있는 손동작 인식 기술 중 장갑을 이용한 기술과 디스플레이 근처에 설치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장갑을 이용한 기술은 사용 시 매번 탈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설치형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사용자와 원격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라 제스처 인식 효율이 상이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AirPincher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디바이스를 잡고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손가락 동작은 AirPincher에 탑재되어있는 근접한 센서들에 의해 인식되어 섬세한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irPincher를 사용하는 두 가지 포인팅 방법을 제안하고 이들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AirPincher를 사용하기 위한 공중에서의 효율적인 가상 입력공간의 크기를 찾는 실험과 AirPincher를 사용한 연속 포인팅 방법과 불연속 포인팅 방법을 비교하는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We propose AirPincher, a handheld pointing device for recognizing delicate mid-air hand gestures to control a remote display. AirPincher is designed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the two kinds of existing hand gesture-aware techniques such as glove-based and vision-based. The glove-based techniques cause cumbersomeness of wearing gloves every time and the vision-based techniques incur performance dependence on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remote display. AirPincher allows a user to hold the device in one hand and to generate several delicate finger gestures. The gestures are captured by several sensors proximately embedded into AirPincher. These features help AirPincher avoid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techniques. We experimentally find an efficient size of the virtual input space and evaluate two types of pointing interfaces with AirPincher for a remote display. Our experiments suggest appropriate configurations to use the proposed device.

      • KCI등재

        서울시 금연아파트 사업의 효과

        서경,신차수 한국보건사회학회 2012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he smoke-free apartment project in Seoul,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olicy and further studies. The participants were residents of 4 apartments, which were chosen the smoke-free apartment at different areas of metropolitan Seoul, and residents who lived at 3 apartments, which were not the smoke-free apartment, as a control group. Researchers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seeing others’ cigarette smoking or evidence of smoking at public places in the apartment. A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is questionnaire has 3 factors such as opinion o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smoking ban, the experience of having harmful effects of secondhand smoke or seeing smoking at public places in the apartment, and the experience of secondhand smoke in daily life. Results revealed that residents of the smoke-free apartment were becoming less experienced secondhand smoke in daily life after implement of the smoke-free apartment. And, after implement of the smoke-free apartment, resi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moking ban in public places, an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effect of the smoke-free apartment on preventing youth smoking. After implement of the smoke-free apartment, residents realized that harmful effects of secondhand smoke in apartment were reduced, and they were less experienced smoke in public places of apartment such as stairway, passageway, elevator, playground, open space, and benches. Therefore, they were becoming less seeing cigarette butts at public places in the apartment and unpleasant feeling caused by others’ cigarette smoke was reduced after implement of the smoke-free apar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oke-free apartment project significantly reduced harmful effects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 Seoul. 본 연구는 서울시의 금연아파트 사업이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정책수립과 추후 연구를 위해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1년 금연아파트로 선정된 아파트 중에 각기 다른 권역에 있는 4개 아파트 입주민들과 대조군으로 금연아파트가 아닌 3개 아파트 입주민들이다. 연구를 위해 입주민들이 아파트 단지 내에서 간접흡연을 한 경험과 타인의 흡연 혹은 흡연의 흔적을 목격한 경험을 묻는 문항들을 개발하였고, 문항들은 요인분석에서 간접흡연이나 금연정책에 대한 인식, 살고 있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의 간접흡연 피해와 흡연 목격, 그리고 일반적인 간접흡연 경험과 같은 세 가지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분석 결과, 금연아파트 시행 전보다 시행 후에 입주민들의 일반적인 간접흡연 경험이 감소하였다. 금연아파트 시행 후에 금연구역 지정에 대한 입주민들의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변하였으나, 금연아파트 지정이 청소년 흡연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은 더 줄어들었다. 금연아파트 시행 후 입주민들은아파트 단지 내에서 간접흡연의 피해가 줄어들었다고 느끼게 되었고 아파트 계단이나 통로, 엘리베이터, 단지 내 놀이터나 공터, 벤치 등에서 담배냄새를 맡는 경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아파트 시행 후에 입주민들이 담배꽁초를 목격하는 일도 줄고 아파트 단지 내 공공장소에서 타인의 흡연으로 인해 생기는 불쾌감도 감소하였다. 이런 결과는 서울시 금연아파트 사업이 시민의 간접흡연의피해를 의미 있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

        서경,오경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가 신체 및 정신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건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80명(여: 194)의 대학생들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2.06(SD=2.88)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 삶의 기대 척도, 신체증상척도, 건강지각척도, 정서빈도검사, 자기진술 부정정서질문지, 주관안녕척도이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으며, 그런 변인들에 대한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특히, 생활 스트레스는 신체증상과 우울의 변량을 각각 15.9%와 25.6%를 설명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신체증상, 우울 및 주관안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가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분석 결과, 신체증상과 우울의 경우 삶의 기대 수준이 낮은 대학생이 더 영향을 받아 스트레스가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많은 신체증상과 우울 수준을 보였다. 주관안녕은 삶의 기대수준이 높은 대학생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기대 수준이 높은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주관안녕 수준이 높았다. 이는 삶의 기대가 건강에 미치는 생활 스트레스의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는 중재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건강에 대한 삶의 기대의 중재효과를 선행연구와 동기상태이론 등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re related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the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their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280 college students (106 females) lived in Seoul or its suburb, whose average of age were 22.06 (SD=2.88).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he Life Stress Sca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Perceived Health Inventory, Emotion Frequency Test, Negative Affect Self-Statement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Version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all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and it was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m. The life stress, especially, accounted for the 15.9% and 25.6% each of the variances for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moderate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the relations of the life stress to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of simple main effect analyses revealed that influences of life stress on physical symptoms and depression for students with low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ere more stronger than those for students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hile influences of life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was vice versa. These means that it was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ir buffering effect on negative results of the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on their health. These moderate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 health were discussed with motivational state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