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주의 부위별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부하정,김진아,천지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fruit, leaves, and stems. The color of bitter melon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 Additionally, each part of powdered bitter melon showe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Howev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parts (P>0.05). The fruit, leaves, and stems of bitter melon showed 191.30, 191.61, and 218.05 mg/g, respectively. Evaluation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vealed that the leaves had the highest activity (34.09%), and that this was concentration dependen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itter melon leaves than other parts (P<0.05).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ves and fruit of bitter melon could be utilized in processed food.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된 미숙과 여주(Momordica charantia L.)를 과육, 잎, 줄기 부위별로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로 품질 특성을 관찰하고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석한 결과 여주는 부위별로 이화학적 특성이 다르게 관찰되었는데, 특히 과육 부분이 잎이나 줄기보다 수분 함량, 고형분 함량이 높고 pH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여주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191~218 mg GAE/g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부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주 잎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 mg/mL 농도에서 각각 34.09±1.63%와 19.78±1.50%로 과육(27.69±1.37%, 6.71±0.64%)과 줄기(15.50±1.56%, 8.41±0.75%)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주의 부위에 따른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고, 특히 잎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열매뿐 아니라 잎의 활용대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채집 시기에 따른 제주 연안 괭생이모자반의 외관 특성 및 항산화 특성

        부하정,문효석,지영흔,전유진,천지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5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모자반을 2019년 2월부터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인근 연안에서 매월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외관 변화와 일반성분을 조사하고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괭생이모자반은 계절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보였고 탄수화물이 주요 성분이며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있어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추출물의 수율과 총당 함량은 열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추출물의 다양한 특성은 채집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월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채집 시기 중 개체 수가 풍부하고 탄수화물 및 조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항산화 활성이 좋은 5월이 채집 적기로 판단된다. 또한, 추출 수율과 총당 함량은 열수 추출물이 높았으나 이는 수용성 당이 다량 추출된 것으로 보이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좋은 70% 에탄올 추출물이 추출 용매로서 가장 적합하다. 본 연구는 괭생이모자반의 원재료로서의 특성을 채집 시기 및 추출조건에 따라 관찰함에 따라 향후 다양한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으로 개발 및 제조 시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xtern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Sargassum horneri according to collection time as well as determin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S. horneri according to month were 45.1∼59.3%, crude protein contents were 19.0∼26.2%,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1.08∼2.85%. The extraction yields and polysaccharide contents of hot water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thanol extracts (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May for the 70% ethanol extracts. As a result, May was shown to be the most suitable month to collect S. horneri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In May, S. horneri constituted a large portion of the population and had higher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Moreover, ethanol extracts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