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OLE OF BIBLICAL NARRATIVES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FOCUSED ON THE MARCH 1<SUP>ST</SUP>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BYUN Chang Uk(변창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4

        본 연구는 성경의 내러티브가 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교회의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미국 선교사의 영향력 하에 있던 한국 기독교인들은 초기부터 사회, 정치적 문제에 개입하지 말라는 교육을 받았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충고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민족의 독립을 위해 항일운동에 활발히 참여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경 이야기를 자신들의 상황에 직접 적용되는 말씀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한국 기독교인들은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바로 왕을 상대로 벌이는 출애굽기의 투쟁을 일본과의 투쟁과 동일시하였다. 이처럼 이스라엘의 압제와 구원을 묘사한 출애굽 이야기는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을 뿐만 아니라, 일제의 압제로부터 한국의 해방을 약속하는 사건으로 이해되었다. 1919년의 독립단 통고문에는 이러한 해방의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그 결과,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경 속의 여러 사건을 통해 일제의 압제에 견딜 힘과 희망을 얻었으며, 항일운동의 최전선에 나서게 되었다.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examine the role of biblical narrati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rom the outset, the Korean Christians under the leadership of western (mostly American) missionaries were educated not to participate in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Despite the missionaries’ urges, these Christians staged the anti-Japanese movement for the sake of national independence. The Koreans applied the Bible stories directly to their context. For example, Korean Christians regarded Exodus as a powerful biblical account and equated Moses’ struggle against Pharaoh with that of their own against the Japanese. The Old Testament stories describing the deliverance of Israel engender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were taken to heart as promising the deliverance of Korea. This kind of liberating ethos is well expressed in the Tokripdan Tonggomun (Notification Statement of the Korean Independent League) of 1919. Christianity was the hope that gave the Koreans the strength to withstand Japanese hegemony. This resulted in Korean Christians being at the forefro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모스크-교회 상호전용(轉用)의 교훈 : 코르도바 ‘모스크-성당’ 사례를 중심으로

        변창욱(Chang Uk Byun)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이슬람연구소 2021 Muslim - Christian Encounter Vol.14 No.1

        중세 스페인의 이슬람 통치시대(711-1492)에는 갈등과 관용의 역사가 함께 존재했다. 715년 이베리아 반도 정복에 성공한 이슬람은 스페인 안달루시아에서 대부분의 교회 건물을 파괴했으며, 견고하게 지어진 교회 건물들은 이슬람 사원(모스크)으로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바실리카 교회가 모스크로 바뀌고, 그후 스페인의‘재정복 운동’(Reconquista) 이후 모스크가 교회로 전환되어가는 역사적 과정과 특징을 살펴본다. 대표적 예로 8세기에 무슬림들이 바실리카 성당을 허물고 교회 터 위에 이슬람 사원을 건축했으나, 13세기에 스페인이 레콩키스타를 통해 잃어버린 땅을 다시 찾은 후에 이슬람 모스크를 가톨릭 성당으로 개조하여 다시 사용한 코르도바‘모스크-성당’의 전용과정을 시기별로 나누어 역사적, 건축사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고찰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지조사(fieldwork) 방법을 같이 사용하여 코르도바의 모스크-성당의 역사 속에 숨어있는 기독교-이슬람 간에 공존과 갈등 관계가 오늘날 교회에 주는 선교적 교훈과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코르도바 모스크-성당은 이교신전 터나 타종교 예배장소를 기독교(성당)-이슬람(모스크)의 예배처소로 전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이슬람-기독교 두 문명이 공존하는 역사를 가진 코르도바 모스크-성당을 활용하여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대화와 화해의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프로그램 혹은 실천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이슬람-기독교 두 종교전통이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 조성되고 공유되어 온 코르도바 모스크-성당은 폭력과 분쟁보다는 평화공존과 관용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기에,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종교간 갈등을 해소하고 상대방 종교를 이해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세 스페인 코르도바의 모스크-성당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이슬람과 기독교 간의 평화공존(convivencia)의 정신이 오늘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극한 대결을 통한 공멸이 아니라 이슬람과 타종교에 대한 존중과 이해와 협력에 대한 필요성을 다시 강조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Conflict and tolerance coexisted during the Muslim rule of medieval Islamic Spain (711-1492). Islam, which successfully conquered the Iberian Peninsula in 715, destroyed most church buildings in Andalusia, Spain, and converted others into mosque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basilicas were converted into mosques, then re-converted into churches after the Spanish Reconquista.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adaptive reuse of the Cordoba’s mosque into a cathedral from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perspectives and examines the missiological rationale behind such reuse. This paper utilized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work methods. The following are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for today. First, the conversion of the Cordoba Mosque into a cathedral demonstrates the adaptive reuse of physical buildings as a place of Christian worship. Second, the Cordoba Mosque-Cathedral can serve as a bridge for dialogue and reconcili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Third, the Cordoba Mosque-Cathedral represents a historical legacy to foster peaceful coexistence and tolerance, rather than conflict and violence. Fourth, Christianity needs to demonstrate the spirit of tolerance and hospitality through the Cordoba Mosque-Cathedral. Fifth, Christianity should strive to understand Islam, aiming for the coexistence of civilizations instead of a clash of civilizations. This study focusing on the Cordoba Mosque-Cathedral challenges Christians to share the spirit of convivencia and the need for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with Islam and other faiths.

      • KCI등재

        평양 장로회신학교 초기 역사(1901-1922) –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경과정을 중심으로

        변창욱(BYUN, Chang U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2

        본 논문은 평양 장로회신학교(이하 신학교)가 설립된 1901년부터 신학교 본관 건물을 헌당하는 1922년까지 신학교 명칭(校名)의 변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1907년 9월 장로회공의회는 그 이전까지 ‘신학반’(1890-1907)이라 불리던 명칭을 공식적으로 ‘조선 장로회신학교’로 부르기로 결의했다. 또한 1907-1909년 ‘大韓’(대한), ‘大韓國’(대한국) 용어가 신학교 명칭에 사용되다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장로교회의 모든 공식문서에서 ’대한‘(大韓)이 ‘조선’(朝鮮)으로 변경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4개 장로회선교부의 연합사역으로 시작된 신학교육의 초기 명칭은 ‘신학반’이었으나, 1907년 6월 ‘대한장로회신학교’(1907)로 잠시 불리다가, 1907년 9월 노회 창설과 함께 ‘조선장로회신학교’(1907-1912/1916)라는 공식 명칭으로 불렸으며, 그 후 ‘조선 예수교 장로회신학교’(1912/1916-1940) 등으로 변경되어갔다. ‘대한’에서 ‘조선’으로의 국호 변경은 1910년 한일병탄 이후 일제(日帝)에 의한 대한제국 국호(國號) 말살과 ‘조선’의 강요 등의 정치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평양 장로회신학교의 초기 역사는 우리에게 개(個) 교회 중심 혹은 교파교회 중심의 분파적 선교사역이 아니라 연합과 협력사역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학교 발간 문서와 신학교 관련 자료, 즉 노회-총회 회의록, 장로교 선교공의회 회의록, 『신학교 요람』(영어판, 1916, 1923, 1928, 1931; 한글판 1916, 1931), 평양신학교 직인(職印), 『조선총독부 官報』(관보) 등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신학교 명칭 변경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대한제국(大韓帝國)의 국호 ‘대한국’과 ‘한국’이 한일병탄 이후 일제에 의해 ‘조선’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이러한 변화가 신학교의 공식 명칭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학교 공식 명칭과 여러 약칭(略稱)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밝힘으로써 신학교 명칭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는데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ames of the Pyongyang Seminary from 1901 to 1922, when the new main building of the Seminary was constructed. In September 1907,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of Presbyterian Missions began to use the nam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stead of calling it the “Theological Class.” In June 1907, the name of the Seminary was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of the Great Korea’(大韓). Bu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esbytery in 1907, it was modified to the ‘Chosun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1907-1916). With the annexation of Korea by imperialistic Japan in 1910, all official nam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at used ‘Korea’(大韓) or ‘Great Korea’(大韓國) were inevitably altered to ‘Chosun’(朝鮮) because the national name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was forcibly changed to Chosun by colonial Japan. The early history of Pyongyang Presbyterian Seminar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unity and inter-denominational (or ecumenical) cooperation rather than sectarian mission centered on individual or denominational churches. This study is based on documents published by the Seminary, primary sources related to the Seminary left by missionaries, minute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Seminary Catalogue (English version, 1916, 1923, 1928, 1931; Korean version 1916, 1931), the Pyongyang Seminary’s official seal, an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demonstrate how Korea’s official country name affected the Seminary’s name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numerous changes of the Seminary’s name by analyzing the historical milieu of the Seminary.

      • KCI등재

        기독교와 이슬람의 변증적 만남의 역사: : 논쟁점을 중심으로

        변창욱(Chang Uk Byun) 한국선교신학회 2017 선교신학 Vol.46 No.-

        본 논문은 역사적 관점에서 7세기 이후 기독교와 이슬람 간의 주요 논쟁점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무슬림들은 기독교인들이 하나님, 예수, 마리아의 삼신을 믿는다고 생각한다. 다마스커스의 요한은 이슬람을 기독교의 한 분파나 이단으로 간주하였다. 테오도어바르 코니는 다마스커스의 요한처럼 이슬람을 이단으로 간주하고, 무함마드를 이단의 두목으로 보았다. 가경자 피터, 루터, 칼뱅도 이슬람을 이단으로 단정하였다. 무슬림들은 예수의 하나님 되심과 구세주이심을 부인한다. 루터와 칼뱅은 무슬림들이 예수를 구원자, 중재자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님의 긍휼을 받지 못한다고 보았다. 루터와 칼뱅은 이슬람을 하나님이 범죄한 자기 백성을 징계하기 위해 사용하시는 진노의 막대기로 보았다. 루터는 무슬림을 기독교의 대적자로 보았고, 칼뱅은 이슬람은 거짓 종교(우상숭배)이며, 무함마드는 배교자, 협잡꾼, 악마의 하수인, 그리고 적그리스도로 간주하였다. 새로운 무슬림 전도방안을 제시하면, 그리스도인들은 대 이슬람 변증의 주요 논쟁점이 무엇인지 우선 인식해야 한다. 이슬람에 대한 공격적인 선교를 지양하고, 이슬람 선교의 장애물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성경과 유사한 꾸란의 내용을 활용하여 무슬림 전도의 연결고리(bridge)로 활용해야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oversial issues in Christian and Muslim relations from the sev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uslims thought that Christians worshipped three gods (God, Jesus, and Mary). John of Damascus regarded Islam as a Christian sect or heresy. Theodore bar Koni expressed the same view as John of Damascus and considered Muhammad as the head of the heresy. Luther and Calvin shared the same view of Islam as John of Damascus. Muslims deny Jesus as God’s saving son. Luther and Calvin argued that Islam cannot be a recipient of God’s mercy because Muslims do not accept Jesus as a Savior or a mediator. Both Luther and Calvin thought that Islam was the rod of God to discipline his sinful people. Luther evaluated that the Qur’an is a patchwork of Judaism, Christianity, and pagan religions. Luther regarded Muslims as enemies to Christianity; Calvin considered Islam as a false religion or idolatry and regarded Muhammad as an apostate, the Devil’s minion, and the Antichrist. We Christians should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We should be well aware of the barriers and objections to Christianity raised by Muslim polemicists. We should use the Qur’an as bridge-points in reaching Muslims to Chri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THE INFLUENCE OF ROMAN CATHOLIC MISSION ON COMITY AGREEMENTS: DEVELOPMENT OF TERRITORIAL DIVISION IN CHRISTIAN MISSION HISTORY

        BYUN Chang-Uk(변창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4

        이 논문은 중세 로마 가톨릭교회의 지역분할이 개신교의 선교지 분할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다. 1493년 교황은 신대륙 개척에 앞장섰던 가톨릭의 해양 강국인 스페인과 포르투갈 국왕에게 식민지 개척과 식민지에 선교할 권한과 임무를 부여해주었다. 또한 교황은 전 세계를 두 지역으로 분할하여 스페인과 포르투갈에게 나누어 주었다. 교황이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국왕에게 부여한 임무와 권한이 선교보호권(patronato real)이다. 보호권을 부여받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국왕은 처음에는 선교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였으나 이후 선교사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교황청은 1622년 포교성성(Propaganda Fide)을 설립하고 가톨릭의 여러 선교 종단 내의 갈등과 분쟁을 해결, 조정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선교하기 위해 위임권(jus commissionis)을 부여해 주었다. 즉 선교지를 선점한 선교종단에게 그 지역에서 독점적으로 선교할 수 있는 특별권한을 부여해주었고, 후발 선교종단은 선점한 선교종단의 동의 없이는 그 선교지역에 들어가서 사역할 수 없도록 하였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이러한 선교정책과 방법은 개신교 선교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 그 중에 지역 분할, 선교보호권과 위임권은 개신교 선교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엽에 이르기까지 개신교의 주요 교단 선교부가 참여한 선교지역 분할협정(comity agreements)은 가톨릭교회의 포교성성이 수립하고 시행한 선교방법을 그대로 모방한 대표적인 정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에서 행해진 선교지 분할과 선교위임권 인정을 통한 선교 협력의 전통은 오늘날 다른 선교부의 선교지역에 들어가 갈등과 분쟁을 야기하는 한국교회의 선교행태에 커다란 교훈과 도전을 준다. 남의 터에 들어가서 선교활동을 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erritorial divi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influenced the mission practices of the Protestant Church. Spain and Portugal, the two Catholic maritime powers, took the lead in pioneering the New World. In 1493, the Pope gave the two kings of the Iberian countries the right (patronato real) to colonize and Christianize the new colonies. The Pope entrusted this task to the kings of Spain and Portugal and divided the world into two regions distributed between them. The kings of Portugal and Spain performed their missions sincerely at first, but as time passed, they failed to fulfill their missions properly. To resolve this situation, the Holy See established the Propaganda Fide in 1622 and granted the jus commissionis (the right of entrustment) to the religious orders. Special authority was granted to the missionary order to carry out mission work in the designated area. Other missionary societies were not allowed to enter the field without the consent of the preoccupying missionary order. The mission policies and method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a great influence on Protestant missions, especially the division of regions and the jus commissionis. During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the comity agreements, in which major Protestant mission societies participated, modeled after the missionary method of the Catholic Church. As such, the influence of the Holy See’s delimitation of mission territories and the right of entrustment should be recognized as precursors to the division of mission territories of the Protestant mission. The pioneering attitude of Roman Catholic mission serves as an admonition of encroaching on the territory of others, which may cause ‘evangelistic anarchy’ in the mission field.

      • KCI등재

        윌리엄 베어드의 선교방법과 교육선교 정책

        변창욱(Chang Uk Byun) 한국기독교학회 201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4 No.-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the missionary methods and educational mission policy of William Baird. Baird came to Korea in 1891 as a pioneer missionary to start mission stations in Pusan and Taegu. He then employed a few missionary methods such as itinerant preaching, Sarangbang evangelism, and tract distribution. The first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to Korea were confronted with a number of urgent matters regarding mission schools. Initially, they did not adhere to any concrete policy of educational mission. In 1896,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commissioned Baird to be an educational advisor. 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formulate an educational policy for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The core element of Baird`s Educational Policy is as follows: institutions, like mission schools, hospitals, and orphanages, should not be started until the indigenous churches were established strongly in that mission field. He preferred the Christianizing method over the civilizing mission ideology. Baird also argued that tuition and any other expenses of a mission school should not be fully provided by the mission fund. Half of the tuition should be paid by the student, while the other half could be supported through mission money. This self-supporting policy was influenced by the so-called Nevius mission methods, which were adopted as the official policy of the Korea mission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since 1891. Baird`s educational mission policy challenges us to reflect upon the modus operandi of the missionary work of our Korean missionaries abroad. Baird`s self-supporting educational mission policy became the catalyst for the fast-growing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to Korea, thus paving the way for the healthy growth and solid development of the Korean mission schools and the early Korean churches.

      • KCI등재

        중국교회 자립과 효율적인 선교비 사용

        변창욱(Chang Uk Byu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1 No.-

        선교지 교회의 자립 문제는 19세기에 개최되었던 여러 선교사대회에서 반복적으로 다루어지던 중요한 의제였다. 본 연구는 1860년 영국 리버풀(Liverpool) 선교사대회에서 현지인 유급 전도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이후,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세 번의 개신교 선교사대회(1877, 1890, 1907)에서 다루어졌던 선교와 돈 문제를 자립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제1회 선교사대회(1877)에서 미국 북감리회의 볼드윈(Baldwin) 선교사는 “현지교회의 자립”이라는 글에서 외국 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현지교회는 돈의 유입이 끊어지면 급속도로 붕괴되고 말 것이라고 하였다. 선교사가 많은 돈을 과도하게 끌어다가 현지교회를 돕게 되면, 병약한 교회들을 양산하게 된다고 하였다. 제안된 자립선교 방안은 1) 처음부터 교인들에게 능력에 따라 헌금하도록 가르치라. 2) 선교사들의 재정적 도움은 한시적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라. 3) 이양에 대비하여 현지 교회가 유지할 수 있을 규모로 목회자 사례비를 지불하라. 4) 건축비가 많이 드는 외국 스타일의 교회 건축은 피하라. 등이었다. 제2회 선교사대회(1890)에서는 이전보다 체계적인 자립선교 방안이 논의되었다. 돈 선교는 선교사를 월급을 주는 감독으로 전락시켜 버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현지교회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갑자기 중단하기보다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점차적으로 줄여 나가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선교사는 자립에 대한 분명한 확신과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하며, 마게도냐 교인들처럼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풍성한 연보를 드리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제안된 자립선교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현지교인들에게 헌금 훈련을 시키라. 2) 아무리 가난해도 헌금하는 법을 가르치라. 3) 각 사람의 수입에 따라 “십일조”와 헌금 훈련을 시키라. 중국 개신교선교 100주년 기념 선교사대회(1907)는 선교사들이 감독의 위치를 중국교회에 내어주고 그들의 동역자로 사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선교부 자금으로 현지 사역을 지원할 경우에 중국교회의 자립심을 가장 적게 해치는 범위 내에서 선교부 자금을 사용할 수 있음을 정당화시켰다. 광동성 산터우(汕) 지역의 교회 약 80%가 선교사의 재정 지원없이 완전자립하며, 동북 지방의 펑톈(奉天), 만주(滿洲)에 100% 자립하는 교회가 상당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선교사들은 자립교회 설립 목표가 가까운 장래에 달성될 것이라는 고무적인 평가를 하였다. 중국은 1840년대 이후 귀츨라프에 의해 고용된 많은 전도자들로 인해 소위 ‘모식(쌀) 신자’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선교 재정의 남용으로 인한 폐해가 극심한 선교지였다. 그러나 1877년부터 1907년까지 자립선교 방안을 찾기 위해 꾸준히 논의하고 실천한 결과, 30년 만에 80% 이상의 높은 자립비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과 시도는 오늘 한국교회 선교가 시혜적, 물량 공세적, 선교사 의존적 선교 상황에서 벗어나 보다 건강하고 현지교회 주도적인 자립선교를 위한 한 가지 규범을 제시해주고 있다. From the early periods of 19th century, Western missionaries had become concerned about creating financial dependence on foreign money. So the topic of self-supporting mission became a popular agenda at several mission conferences during those days. This article examines the self-support of the Chinese Church with a special focus on the General Conferences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1877, 1890, and 1907). In the first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1877), Baldwin of the American Methodist Mission argued that the National church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foreign money will collapse as soon as the influx of the foreign money is stopped. Foreign money will, in the end, lead the native churches to become sick and weak churches. At the conference, the following principles of the self-supporting church were presented: 1. From the beginning, teach the church members to give offering according to his/her financial ability; 2. Make it clear that the foreign financial aid of the missionary would be temporary; 3. Avoid payment of such high salaries for complete support of workers and ministers that the national church cannot later assume them; 4. Do not construct church buildings of western style that cost too much money. At the second General Conference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of China(1890), a more detailed method of self-supporting mission was suggested. A process of slowly diminishing subsidies was proposed. The goal was that the Chinese churches would become self-supporting as soon as feasible, with all pastors being paid by the church or churches they served. So a campaign was launched to teach the natives to increase giving through teaching stewardship, sermons on tithing, and offerings of food or cash. At the Centenary Missionary Conference held in 1907, missionaries endeavored to solve the issue of financial dependency. Foreign assistance is needed but should be limited in amount and duration. The native Christians should be given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ir pastors and evangelists as soon as they are able to bear it. The missionaries would cease to be patrons or overseers of Chinese churches; and would take up a position as partners, cooperating with the Chinese leaders as friends. Foreign funds may be given to the native churches with the least injury to the sense of self-reliance. It was also reported that many native churches were taking up the financial burden to the extent of 80% or more of the whole cost in Swatow, Fengtien, and Manchuria. The missionaries realized that dependence on foreign money was detrimental to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indigenous Church. As a result of the strenuous efforts of missionaries, they achieved a very high level(80%) of selfsupporting mission. The principles on self-support presented at these mission conferences in China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self-reliant mission principles for the Korean Church 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