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메바성 대장염의 임상적 관찰

        邊智善,洪仁範 최신의학사 1968 最新醫學 Vol.11 No.9

        Authors have attempted a clinical observation on the 48 cases of amebic colitis who were selected from the admitted patients to the St. Mary's hospital, - Catholic Medical College during the 5 consecutive years from January, 1963, . The 48 subjects were those who have found to have, Endamoeba Hystoiytica in their stool by the iabolatory.; The study which was obtained, the followings as to their ages, sex,symptoms signs, nature of stool, J findings in palpation, sigmoidoscopic findings, findings of balium enema and complications. 1. All 48 cases prescuted overt clinical symptoms. While'child cases revealed diarrhea, abdominal pain and distention, and dehydration as the major clinical symptoms, the adult group showed nutritional deficiency, anemia, diarrhea and neurological symptoms. 2. The frequency of symptoms were diarrhea, abdominal pain, mild fever and nausea consecutively, and tenderness by palpation in the Rt lower quadrant and in the'Lt lower quadrant was noted from about one half of the cases, and 12.5% of the cases revealed hepatomegaly. 3. 50% of the cases with sigmoidoscopic examination prescuted ulcerative changes and 46% of the cases with balium enema revealed pathological findings and mostly in the descending and sigmoid colon. 4. About 30% of the cases showed mild fever, 37% revealed leucocytosis and 21% prescuted more than 20mm oneH at the ESR tests. 5. Complications were liver abscess(12.5intestinal perforation (2.1%), empyema (2.1%) and arthritis (2.1%). 6. Antiamebic treatment showed satisfactory out come at all cases except one case who axpired from intestinal complication.

      • KCI등재후보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교양 글쓰기 과목의 수업사례 연구 - 덕성여자대학교의 기초글쓰기 수업사례를 대상으로

        변지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1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for the undergraduate writing class, making use of museum in writing class. The undergraduate writing class is one of liberal art requirements in many universities, but lots of students still feel difficulty in writing. This research starts with such needs; we suggest an education method which enables us to teach whole writing process by providing the case,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a part of writing class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consists of 4 classes. The first class introduced theories of “narration” and “description” and taught “travel essay.” The second class brought students to the university museum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Students got a guide tour, had a discussion for theme selection and wrought the first outline. The third class is for developing the frist outline to wring a draft. Students got the corrected draft and polished it in the final class. Students must narrate and describe their plan, experience and impression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Museum Travelogue.” Their writing process consisted of several steps, selecting theme, making outline, organizing compositions, writing draft and developing draft. Students spent a large portion of their essay for describing what they saw but made quite a small portion for their impressions. After such process, we did a survey to check their interest in the museum and to ask their feeling in each steps, selecting theme, making outline, organizing compositions, writing draft and developing draft. As a result, we know that students got more interested in the museum, feel ease in narration and description but feel difficulty in expressing impression. Also, lots of students answer that writing draft is not hard and very helpful in developing compositions as planned.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enables students to learn wring stp by step. Between steps, students’ works are corrected by the lecturer so that hey can get correction on every step. Also, they learn not only theoretical study of writing but also experimental study.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University Museum” needs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y museum and understanding exhibits of lecturers and ability of searching apllying data. Also, we suggest further writing like “museum talk for students” or “imaging as a person in the ear of the exhibit” to help students who got difficulty in expression their impression.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수업에 있어 ‘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의 글쓰기는 여러 대학에서 교양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학생들은 여전히 글쓰기를 어려워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이유에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글쓰기의 전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방법으로 덕성여자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중 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은 총 4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에는 ‘서사’와 ‘묘사’의 이론과 ‘기행문’에 대한 이론적 강의가 시행되었다. 또한 덕성여대 박물관에 대한 안내와 향후과제 및 박물관 관람에 대한 준비물을 공지했다. 2차시에는 강의실에서 덕성여대박물관까지 이동하여 박물관을 관람한 뒤, 강의실로 돌아와 주제선정을 위한 덕성여대박물관 감상을 나누었다. 아울러 1차개요를 작성하였다. 3차시에는 1차개요를 수정보완하여 2차개요작성이 진행되었고 초고쓰기가 이어졌다. 초고는 교수자가 첨삭하였고 4차시에는 첨삭된 초고를 바탕으로 재고를 작성하는 순서로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이 작성해야 하는 ‘덕성여대박물관 기행문’에는 여정, 견문, 감상이 포함되어야 하며 ‘서사’와 ‘묘사’의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글쓰기 과정은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주제선정, 개요작성, 내용구성, 초고쓰기, 고쳐쓰기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내용구성과 초고쓰기의 과정에서 대상에 대한 묘사를 지나치게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대상에 대한 감상을 적는 부분에서는 인상적인 유물에 대한 감상의 분량이 적었다. 이러한 과정이 종결된 후, 학생들에게 대학박물관에 대한 관심도, 주제선정, 개요작성, 서사와 묘사 기법활용하기, 감상쓰기 등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의 결과 대학박물관에 대한 관심도는 증가하였고 주제선정, 서사와 묘사의 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느꼈으나 감상을 적는 부분은 어려웠다고 답했다. 개요작성은 매우 쉬웠으며 글을 구성하고 내용을 전개하는데 있어 큰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이 글쓰기의 과정을 단계별로 익힐 수 있고 단계별로 첨삭이 이루어지므로 글쓰기의 전단계에서 고쳐쓰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글쓰기 이론을 배우는데서 그치지 않고 실제적 체험을 동반하여 익힌다는데 있어 의의가 있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는 대학박물관과의 긴밀한 협조, 교수자의 전시와 유물에 대한 이해, 자료의 검색과 활용능력 향상과 같은 문제가 선결되어야 함을 밝혔다. 또한 학생들이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에 있어서 인상적인 유물에 대해 느끼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들 입장에서 전시설명, 전시기획하기’, ‘유물이 활용되었던 시대의 인물로 상상하고 글쓰기’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당내력류 唱婦거리의 성격과 특징

        변지선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4

        This study on Changbugeori of Mudangnaeryuks. Mudangnaeryuks are ‘Karamgobon’, ‘Kobon' of Seoul University Kyujanggak. And 'Mudansungjukidodo’, ‘Munyuyounjunghaensajeolchamokrok’. First, analyzing of Mudangnaeryuks. Smiler ‘Karamgobon’ and ‘Munyuyounjunghaensajeolchamokrok’. Also, simler ‘Kobon’ and ‘Mudansungjukidodo’. ‘Karamgobon’, ‘Kobon’ of Seoul University Kyujanggak, ‘Munyuyounjunghaensajeolchamokrok’ are boos. ‘Mudansungjukidodo’ is not a book. That is a paint. They have a lot of paints and writing about ‘Geori’. ‘Geori’ like a chapter of drama. Second, compare Changbugeori of Mudangnaeryuks and Deagamgeori of modern Seoulgut. They have 'Entertainment'. Entertainment on Deagamgeori of modern Seoulgut is for Dagam(God). But Changbugeori of Mudangnaeryuks don't have God. Entainer of Mudangnaeryuks is young and beautiful. She dancing and sining in Chanbugeori. Therefore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is not same Deagamgeori of modern Seoulgut.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and Chanbug대ri of modern Seoulgut have same pronunciation of name. Chanbugeori of modern Seoulgut's God is ‘Kwandea’ but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is not. Author of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has focus that Chanbug대ri of Mudangnaeryuks is not a ritual. That is a ‘entertainment’.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of name is not the others. Chanbug대ri of Mudangnaeryuks of name is entertainer of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According to writing of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Chanbugeori of Mudangnaeryuks describing about entertainment of late Chosun. 이 연구는 무당내력류 자료에 수록된 ‘창부거리’의 성격을 고찰한 연구이다. 무당내력류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는가람古본, 古본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된 ‘무당성주기도도’,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녀연중행사절차목록이다. 먼저, 무당내력류 자료를 검토했다. 이 자료 중 가람고본과 무녀연중행사절차목록이 유사하고 고본과 ‘무당성주기도도’의 唱婦거리’가 무녀의 복식과 무구 등이 유사하게 그려졌다. ‘무당성주기도도’ 를 제외한 다른 자료는 책의 형태이고 ‘무당성주기도도’는 두루마리형태의 그림이다. ‘무당성주기도도’는 책 형태의 자료를 휴대하기 쉽게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볼 수 있다. 가람고본의 구릉거리와 창부거리 사이에 있는 한 그림에는 무당이 현대 서울굿에서 무당이 입는 창부의대를 입었으며 唱婦거리의 해설과 동일하게 어리고 예쁜 무녀로그려져 있다. 따라서 이 장은 후대에 누가 唱婦거리의 해설에 따라새로 덧붙인 것이 아닌가 추측할 수 있다. 이어서 唱婦거리와 현대 서울굿의 대감거리를 비교했다. 현대 서울굿의 대감거리에서도 유흥성이 발견되지만 이때의 유흥성은 욕심이많은 대감이라는 신격을 위해 춤과 노래를 바치고 이어서 굿판에 모인 사람들이 무감서기를 통해 춤을 추며 즐기는 거리이다. 그러나 唱 婦거리에서는 특정한 신격을 모시지 않으며 어리고 예쁘고 묘한 무당이 노래하고 춤추는 한마당 놀이인 거리이다. 또한 唱婦거리와 현대 서울굿의 대감거리는 연행자의 성격과 모셔지는 신격이 다르므로이 두 거리에 대한 친연성을 찾기 어렵다. 唱婦거리와 발음이 같은 현대 서울굿의 唱夫거리와의 비교를 통해唱婦거리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현대 서울굿의 唱夫거리는 예능신인 唱夫 즉, 광대를 모시는 거리이다. 현대 서울굿의 唱夫거리에서 는 무당이 무가를 불러서 창부의 외양과 성격을 나타내고 일년 열두달의 액을 막아준다. 그러나 唱婦거리에서는 모셔지는 신격에 대한설명이 없고 연행자에 대한 설명과 唱婦거리가 한바탕 유희일뿐이라는 제작자의 시각이 드러났다. 唱婦거리의 특징은 여타의 거리에서 각 거리의 명칭이 각 거리에서 모셔지는 신격의 이름을 거리의 명칭으로 삼은 것과는 달리, 唱婦 거리에서는 이 거리를 연행하는 연행자인 ‘唱婦’를 거리의 명칭으로삼았다. 唱婦거리에 서술된 설명에 의하면 이 거리의 연행자는 ‘어리고 아름답고 묘한 무녀’이이며 이 거리에서 무녀는 춤추고 노래하는유흥성을 보여준다. 무당내력류 자료의 다른 거리에서는 신격의명칭과 성격의 설명을 통해 서울굿의 제의성을 보여주지만 唱婦거리에서는 유흥성이 강하게 드러난다. 아울러, 서울굿에 이러한 유흥성이 나타나는 시기는 이 자료의 제작 당시로부터 육십년 전부터임을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뜬대왕 거리의 성격와 의미

        변지선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3

        이 글은 서울 진오기굿의 뜬대왕거리를 연구한 글이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첫째, 뜬대왕거리는 ‘거성, 시왕가망노랫가락, 시왕가망공수, 중디가망노랫가락 중디가망공수, 말명만수받이, 말명공수’의 순서로 연행된다. 시왕가망과 중디가망을 모실 때는 큰머리를 쓰고 거성과 노랫가락을 올리지만 말명은 만수받이와 공수로 끝난다. 이러한 연행의 순서는 각각의 진오기굿의 연행에서 변하지 않으며 생략되거나 축약되지 않는다. 따라서 뜬대왕거리는 매우 고정적인 제차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뜬대왕거리는 제의적 성격이 아주 강한 제차이다. 뜬대왕거리에서는 인간인 무당이 높은 신격에게 거성과 노랫가락을 올리고 인간의 소원인 공수를 한다. 셋째, 뜬대왕거리의 무가를 해석해보면 시왕가망노랫가락은 저승의 가망을 모시는 거리임을 알 수 있다. 중디가망노랫가락은 시왕가망노랫가락과 유사하나 망자의 현재상황, 심정, 중디가망의 직능 등의 내용이 첨가되어 노랫가락의 양이 늘었다. 중디가망노랫가락은 시왕가망노랫가락의 형식에 변형을 가한 것이라 생각된다. 넷째, 뜬대왕거리에 등장하는 신격의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섯째, 뜬대왕거리는 무속의 신격에 의해 망자가 이승에서 저승으로 편안히 모셔지는 과정이다. 이어지는 사재삼성거리는 타종교의 신격인 사재삼성이 저승에서 이승으로 와서 망자의 혼을 이승에서 저승으로 데려가는 과정이다. 여섯째, 뜬대왕거리는 망자가 이승에서 저승의 십대왕 앞까지 가는 과정을 서정적인 노랫가락과 교술적인 만수받이로 보여주고 있다. 시왕가망노랫가락과 중디가망노랫가락에서는 망자가 이승에서 저승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말명만수받이에서는 십대왕 앞의 상황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서정과 교술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여정과 망자의 심정, 십대왕 앞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과정은 망자노정의 첫 단계이기도 한다.

      • KCI등재

        서울진오기굿의 ‘신’ 연구 -‘중디’의 성격과 의미를 중심으로-

        변지선 국립민속박물관 2009 민속학연구 Vol.0 No.25

        The god of Seoulginogwuigut, who is Jungdee,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d and the meanings of Jungdee are investigated and introduced in the document. The study was conducted by observing its ritual and interpreting/deciphering it's shamanic myths. The ritual for Jungdee, Seoulginogwuigut, is composed of dances and songs performed by a shaman. For the ritual, the shaman is dressed in a special suit; a blue skirt and a big wig, a goblet. The big wig symbolizes Jungdee’s high status in Seoulginogwuigut. The goblet means a banquet for Jungdee. The songs performed in the ritual are Siwangkamangcheonbae, Jungdeenoraekarak, and Jungdeekongsu. That songs are analyzed and explained in the other paper. Siwangkamangcheonbae is not analyzed in the other paper. The meanings of the ritual song tit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Innterpreting Siwangkamangcheonbae means of Kamang, Jundee. Kamang is name of gods of Korean shaman ritual. Siwangkamang is Kamang of The Other world. Jungdee is Kamang of The Other world. Names of Jungdeenoraekarak means load of deadman. That load is from deadman lived in hometown to Sibdeawang of The Other World. Jungdee is composed of two words : “jung” and “dee”. The former means middle or between, and the latter means a place.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Jungdee is a middle place; where is located between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This world belongs to the alive while the other world is for the dead. The ritual is composed of a sequence of performances. First, the shaman performs dancing and singing for Jungdee. One of Jungdee’s role is guiding the deadman to Sibdaewang. Jungdee helps a deadman and protect a deadman from dangerous. This part of performance is appreciation and comfort. Then, a performance for Saja,who catches and carries the deadman to the other world, is done by the shaman. This part of performance is a prayer for the safe journey of the deadman. The order of the ritual sequence is always same : the ritual for Jungdee happens prior to that for Saja. The same shaman performs the rituals for Jungdee and Saja because the load of Jungdee and Saja are considered same. Keywords

      • KCI등재

        An Essay on Construction of Gyeonggiyetgil Electronic Culture Atlas-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and the Basic Concept of Information Provision

        변지선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2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9 No.2

        This study is on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Electronic Culture Atlas of Gyeonggiyetgil the concept of information provision. Gyeonggiyetgil is a road restored by Gyeonggi-province with the goal of completion in 2022. The purpose of the road is not just the purpose of movement. In the case of Gyeonggiyetgil, it was built in the Joseon Dynasty and is a road that can be traveled on foot. Travelers walking on this road can experience the history, stories, cultural properties, and natural scenery of the road.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Gyeonggiyetgil exist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ention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Gyeonggiyetgil and discuss in detail how existing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provided.

      • KCI등재후보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변지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The study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of managing the writing centers at Korea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problem-solving methods of the writing center at Columbia University, which will be applicable to the writing centers at Korean universities. The author visited the Writing Center at MIT, Brown University, Harvard University, Columbia University during summer of 2015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directors. In particular, the interview with the director of the writing center at Columbia University gave the author the picture of the writing center operations and troubleshooting practices. It followed with the discuss about the future of the cooperative model of the writing center. Based on such activities, the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essential to co-work with other organizations to reserve enough spaces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center. Writing consulting should be done not only in limited space of the writing center, but in spaces where students are is easily accessible, such as museums and libraries on campus.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 center can provides library educational resources like screening in book report competition. The museum can cooperate with the writing center, in special exhibitions, by holding contest of museum trip essay - the writing center can screen writings and educate students. Second, the writing center should hold workshops and education for consultants to collect their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to solve such problems in public. Third, the writing center can make use of seniors and graduate students as assistants, to improve understaffed writing center. We can pick student in high grade in writing course and make them play their role after clearing consulting courses. It is also essential to hire enough staffs who can train assistants and can manage the whole programs. 이 연구는 국내대학의 글쓰기센터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컬럼비아대학의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을 조사하였고 국내 대학의 글쓰기센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MIT, 브라운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콜럼비아대학교의 글쓰기센터를 방문하여 관계자들과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해 인터뷰했다. 그 중 뉴욕시(NYC)에 위치한 컬럼비아대학교의 글쓰기센터 운영방식과 문제해결 사례에 대해 글쓰기센터장과 인터뷰했고 향후 글쓰기센터의 협력적 모델에 관해 논의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대학의 글쓰기센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센터의 공간과 운영방향에 있어 교내 다른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글쓰기상담은 글쓰기센터라는 제한된 공간을 넘어서 교내의 박물관, 도서관 등 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도서관의 독후감공모전에 있어서 글쓰기센터에서는 독후감의 심사나 독후감 쓰기와 같은 교육적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도서관과 협력할 수 있다. 박물관과의 협력은 박물관의 기획전시와 함께 박물관 관람 소감문을 공모하고 글쓰기센터에서는 심사와 교육을 담당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상담사례와 해결방향에서는 글쓰기센터의 구성원들이 제기하는 애로사항을 공개적으로 수렴하여 공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워크샵과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셋째, 인력의 문제와 해결방향은 글쓰기센터에 학부 고학년생이나 대학원생을 학습도우미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은 글쓰기과목의 성적우수자로 일정기간 글쓰기상담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후, 글쓰기센터의 내담자들을 상담하는 방법이다. 아울러 이들을 교육하고 글쓰기센터의 운영 실무를 담당한 정규직 인력의 확충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서울진오기굿의 ‘삼성’ 연구

        변지선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is study presents the Korean God ‘Samsung’ in Seouljinokwuigt. Seouljinokwuigt is a traditional shaman ritual for the dead performed in the Seoul area.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I making a survey of the previous research for ‘Samsung.’ The survey includes published books and papers about Seouljinoguigut. Secondly, I fieldworking on Seouljinokwuigut during 2004-2008. Finally, analyzing a shaman’s song and a witty talk based on both survey and field data. It is concluded that a shaman plays ‘Samsung’ in the SajeSamsungguri(Oder of Seouljinokwuigt). SajeSamsungguri consists of a play about ‘Saja(Azrael)’ and ‘Samsung’. A playing about ‘Samsung’ is composed of Samsungmansubazi(a shaman’s song), Samsungjaedam(a witty talk), Samsungkonsu(a chant). Samsungmansubazi depicting process of ‘Saja’ and ‘Samsung’ going from the other world to the present world. In Samsungjaedam, ‘Samsung’ changed ‘a terrible being’ to ‘a trifling being’. Samsunngkonsu is chant of that ‘Samsung’ ejected an agitator from the road of dead man. ‘Samsung’ is to make new death. The reason is that ‘Samsung’ sales ‘Samsungbibimbab’. (a mixed food of ‘Saja’ to a family of dead man). ‘Samsung’ demands some coins of ‘Samsungbibimbab’ to a family of dead man. This is the play of ‘Samsungbibimbabpalki.’ The family of the dead man has a terrible being of the new death. But this is overcome by Samsungjaedam. Samsunngkonsu is a chant of that ‘Samsung’ ejecting an agitator from the road of dead man. Many Gods of Seoulginoguigut. ‘Siwangkamang’, ‘Jungdee’ helping the dead man. ‘Saja’ protecting the dead man and taking the dead man to the other world. ‘Samsung’ watching sundry evil spirits for the dead man. 이 연구는 서울진오기굿에서 모셔지는 신의 하나인 ‘삼성’에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진오기굿에서 삼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행양상을 조사하고 무가와 재담을 분석하여 무가와 재담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고 서울진오기굿에서 삼성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삼성’에 관련된 연행은 <사재삼성거리>에서 ‘사자’에 관련된 연행 이후에 연행된다. 삼성과 관련된 무가와 재담은 <삼성만수받이>와 <삼성재담>, <삼성공수>이다. <삼성만수받이>에서 삼성은 사자와 함께 저승에서 이승으로 오는 것으로 간략하게 나타난다. <삼성재담>에서 삼성은 스스로 사자보다 더 무서운 신이며 갑작스러운 죽음을 만들어내는 신이라고 주장하지만 ‘삼성비빔밥 팔기’를 통해 삼성은 하찮게 대접받고 엄중한 신령님들을 무서워하며 오던 길로 곱게 돌아가는 존재로 구현된다. <삼성공수>에서는 삼성이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길에 생기는 여러 가지 찌꺼기들을 모두 없애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진오기굿에서는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한 공포를 <삼성재담>을 통해 극복한다고 볼 수 있다. ‘갑작스러운 죽음을 만들어내는 삼성’은 ‘사자상에 있는 음식들을 뒤섞어 만든 삼성비빔밥을 파는 존재’이고 ‘동전을 얻어가는 존재’이며 ‘신령님이 무서워서 오던 길로 곱게 돌아가는’ 존재로 구현된다. 즉, 공포의 대상인 삼성은 서울진오기굿의 삼성재담을 통해 공포스러운 존재에서 비루한 존재로 구현되고 결국에는 유족에게 아무런 해도 끼치지 못하고 ‘오던 길로 곱게’ 저승으로 돌아가게 되며 유족에게는 아무런 해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유족의 입장에서는 <삼성재담>을 통해 ‘갑작스러운 죽음’을 극복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진오기굿에서 망자가 가는 저승길에 시왕가망, 중디와 같은 신들은 망자를 도와주는 신이며 사자와 삼성은 저승에서 이승으로 와서 망자를 저승의 십대왕 앞으로 데려가는 신이다. 사자는 망자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며 저승으로 데리고 가고 삼성은 사자와 망자를 호위하는 신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時用鄕樂譜 소재 <삼성대왕> 연구

        변지선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5 No.-

        This study on <Samsungdaewang> of ꡔSiyounghyangakboꡕ is a music book that written in early Chosŏn dynasty. <Samsungdaewang> is song of that. This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1. An investigation a study of the studies on <Samsungdaewang>. 2. Into 'Samsungdaewang' minutely. 3. Studying Chosŏnwangjosilok.(Histoybook of Chosŏn dynasty)4. Looking for the meaning of Song in dictionary of an ancient Chiness. 5. Comparative 'Samsungdaewang' and Sonnim.(Sonnim is a God of smallpox in Korean shamanism) That results are as follows. 'Samsungdaewang' is a God of conta-gious disease. Samsungdaewang can take human life. But he can protect human being to a conta-gious disease. That does down in is based in interpretation of <Samsungdaewang>. 'Samsungdaewang' is 'Samsung' who came from North china in late Koryou dynasty. 'Samsungdaewang' is a God of conta-gious disease. That did down in Chosŏnwangjosilok and dictonary of an ancient Chiness. Comparative 'Sonnim' in <Sonnimgutmuga> and 'Samsungdaewang' in <Samsungdaewang>. <Sonnimgutmuga> is song for Sonnim. That is a shaman song. That results are follows. 'Samsungdaewang' is 'Samsung' who came from North china in late Koryou dynasty. Samsungdaewang is a God of a conta-gious disease. 본고는 조선시대 樂書인 ꡔ時用鄕樂譜ꡕ에 실린 노래 중 하나인 <三城大王>에 관한 연구이다. 그간 <三城大王>에 관해 논의되었던 연구들을 종합하고 <三城大王>을 해석하여 <三城大王>에 등장하는 三城大王의 실체에 대해 논의했다. <三城大王>은 노래가 수록된 ꡔ時用鄕樂譜ꡕ의 창작연대 및 수록된 노래의 성격에 관한 연구가 다수 있었다. <三城大王>은 무가계 고려속요로 분류되어 여러 노래 중 하나로 다루어졌다. 또한 <三城大王> 자체만을 연구하는 논의도 창작연대의 시기문제, 악곡의 특성, 노래에 등장하는 ‘三城大王’의 실체가 논의되었고 무속과의 관계는 간략하게 언급되는 정도였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三城大王>을 해석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문장과 문법적 대응이라는 방식으로 해석하였다면 본고에서는 노래 전체의 의미에 주력하여 해석하였다. 삼성대왕은 전염병의 신이며 사람의 목숨을 앗아갈 수도, 사람의 목숨을 보전하게 할 수도 있는 신이다. 또한 <三城大王>이 기록된 시기로 추정되는 조선초기에서부터 고려말기 사이의 역사적 기록을 검토하고 외국의 문헌자료를 해석하여 ‘三城大王’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성대왕’은 고려말 중국에서 전래된 ‘三聖’으로 볼 수 있으며 <三城大王>에 등장하는 ‘瘴’은 중국 남방에서 비롯된 전염성질환임을 밝혔다. 아울러, 현대에 전승되는 무가인 <손님굿 무가>에 나타나는 천연두의 신 ‘손님’과 <삼성대왕>에 등장하는 ‘삼성대왕’을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그간 해석상의 미진함이 있었던 <三城大王>을 노래 전체의 의미와 외국문헌을 활용한 해석의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관련된 역사적 기록과 현대에 전승되는 무가를 비교 고찰하여 여타 무가계 고려가요의 연구방법으로 시도해볼 수 있다.

      • KCI등재

        서브컬처 게임의 사용자 분석: 원신을 중심으로

        변지선,김재웅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인기 서브컬처 게임 <원신>의 사용자를 분석하여 선호 요소를 확인하였다. <원신>의 사용자들은 캐릭터 스토리, 그래픽 등 게임 배경설정을 더 선호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고, 대부분이 캐릭터 수집을 목적으로 과금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진 회귀분석에서는 만족도, 몰입도, 충성도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러 콘텐츠에 익숙한 10, 20대가 주 사용자인 <원신>에서 서브컬처 문화의 캐릭터가 사용자들에게 익숙하게 받아들여지고 매력적으로 다가오면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서브컬처 게임은 비주류 문화라는 인식으로 인해 실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향후 국내는 물론 세계 게임 시장에 더 많은 서브컬처 게임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기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게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