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 주행 자동차의 인테리어 I.P(instrument panel) 디자인 관여 요인 고찰

        변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As the partial autonomous driving function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2010s, various types of interior design have been proposed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driving era. This study defines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the I.P(instrument panel)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that realizes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up to the level 4 or lower of autonomous driving defined by the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and analyzes and compares current development cases for autonomous driving. It derives a I.P design method that matches the driving function and suggests a direction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pecific research method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I.P area is defined in autonomous vehicles and car interiors,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and background are discussed. In addition, it analyzes the principle of I.P configuration of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s based on power train and analyzes factors for the configuration of I.P design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where the application of electrified power train is spread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ic plan for the I.P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autonomous vehicles, and a method to secure design competitiveness, optimize design implementation, and derive a layou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interior I.P design of a car that implements the Level 4 autonomous driving function, the role of each device, and the design composition method and consideration factor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Third, this study analyzes I.P design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ers including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developed so far. It analyze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P design of the manufactur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n the automobile market. Fourth, focusing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tudy, we will comprehensively discuss the key issues for the I.P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and draw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o maintain the I.P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secure continuous competitiveness. suggest possibl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is study, the key el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fusion of engineering elements of automobiles as above in the I.P design configur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Level 4 stage are confirmed. 2010년대부터 부분적 자율 주행 기능이 확산되면서 자율 주행 시대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정의한 자율 주행 Level 4 이하 단계까지의 자율 주행 기능을 구현하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instrument panel) 디자인 구성 원리와 요소들에 대해 정의하고 현재의 개발 사례를 분석 및 비교하여 자율 주행 기능에 부합하는 I.P 디자인방법을 도출하고 개발되어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아래의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자율 주행 자동차와 자동차 인테리어에 있어 I.P 영역에 대해 정의하고 구성 원리와 배경에 대해 논한다. 또한 파워트레인(power-train)에 기반을 둔 비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구성 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전동화 파워트레인의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부합하는 I.P 디자인의 구성을 위한 요인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 디자인 경쟁력의 확보 및 최적화 된 디자인 구현 방법과 사용자의 선호 방식에 따른 레이아웃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Level 4 단계의 자율 주행 기능을 구현하는 자동차 인테리어 I.P 디자인의 세부 구성 요소와 각 장치들의 역할, 디자인 구성 방법 및 고려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한다. 셋째, 현재까지 개발된 자율주행 기능이 포함된 국내 및 해외 제작사의 I.P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자동차 시장에 자율 주행 기능으로 대표되는 제작사의 I.P 디자인이 갖는 특징에 대한 장점 및 단점, 시사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 구성을 위한 핵심 사항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하고 향후 개발 방향을 도출하여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에 있어 국제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율 주행 Level 4 단계의 I.P 디자인 구성에 있어 위와 같은 자동차의 공학적 요소 융합에 기반한 핵심 요소와 개발 방향을 확인한다.

      • KCI등재

        Urinary microRNA-1913 to microRNA-3659 expression ratio as a non-invasive diagnostic biomarker for prostate cancer

        변영준,박현미,정필두,강호원,서성필,문성권,이종영,최영현,이희윤,김원태,이상철,차은종,윤석중,김원재 대한비뇨의학회 2021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62 No.3

        Purpose: MicroRNAs (miRNAs) are small non-coding RNAs and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proliferation, and pathogenesis of prostate cancer (PCa). Urinary miRNAs are promising non-invasive biomarkers for PCa diagnosis because of their stability in urine. Here, we evaluated the diagnostic value of urinary miR-1913 to miR-3659 ratio in PCa patients and 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controls. Materials and Methods: Candidate miRNAs were identified from urinary microarray data and tested by real-time PCR. The urinary miR-1913 to miR-3659 expression ratio was selected and tested in 83 urine samples (44 PCa and 39 BPH) to confirm its validity as a non-invasive diagnostic biomarker for PCa. Results: The expression ratio of urinary miR-1913 to miR-3659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Ca than in BPH (p=0.002) and showed a higher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an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0.821 vs. 0.518) in patients within the PSA gray zone (tPSA: 3–10 ng/mL), with sensitivity of 75.0% and specificity of 78.6% (p=0.003). Conclusions: The urinary miR-1913 to miR-3659 expression ratio was increased in PCa and may serve as a useful supplemental biomarker to PSA for the diagnosis of PCa,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in the PSA gray zone.

      • KCI등재

        모빌리티 기업의 디자인 정체성 구축을 위한 디자인 융복합 전략 연구 -제품, 커뮤니케이션, 융합 공간 디자인 일관성 중심으로-

        변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디자인 분야의 융합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대의 모빌리티 기업은 고객이 경험하는 요소를 일관된 디자인으로 구현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구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관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와 디자인영역의 특징을 활용 가능한 복합적인 디자인 전략이필요한데서 시작되었다. 과거에는 모빌리티 산업이 단일 모델의 디자인 품질향상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 분야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현대의 빠르게 전개되는 시장상황 변화와고객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수준의 고객 경험을 창출할수 있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모빌리티 제조사의디자인 정체성 구축은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모빌리티 제조사의 산업 특성상 고객 접점에 있는 제품, 커뮤니케이션, 융합 공간 디자인은 구현되는방향에 있어 일관된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정체성이 해당 기업의 자산이며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킨다. 이는- 178 - 궁극적으로 기업이 유지될 수 있는 주력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제품과 커뮤니케이션, 융합 공간 디자인의 경우 디자인되는 대상물의 물리적 스케일(Scale) 및 프로세스(Process) 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고객에게 구현되는방식에서도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어 일관된 디자인을구현하는데 한계는 존재한다. 그러나 체계적인 디자인융복합을 활용한 전략을 수립하여 가용한 범위에서 일관된 디자인 적용으로 구축 범위를 확대시킨 사례가있으며, 결과적으로 디자인을 활용하여 브랜드의 가치및 인지도는 향상되었다. 일관된 디자인 구현을 위한 디자인 융복합 전략으로1. 고객 경험 접점 및 단계 응용, 2. 크리에이티브 디렉션의 설정, 3. 브랜드 하이라키(Hierarchy) 구조의정립, 4. 라이프 사이클 분석 및 가이드 수립, 5.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 구축을 활용을 제시하고 구체적방법에 대해 제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제조사에서 제품, 커뮤니케이션, 융합 공간 디자인 분야의일관된 디자인 적용된 사례를 마스터 브랜드, 독립 브랜드 및 서브 브랜드로 분류하여 디자인 정체성을 형성시킨 관점에서 분석했다. 본 연구는 모빌리티 제조사의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일관된 디자인의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에 대해 논한다. Mobility companies in the current era, where the convergence of the design field is emphasized, build a corporate image by implementing the elements experienced by customers in a consistent design. Therefore, this study began with the need for a design convergence strategy that can utilize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area to implement a consistent design. In the past,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design fields were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design quality of a single product model. Building a design identity for a mobility manufacturer is an essential element. In particular, due to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mobility manufacturers, the identity of a consistent design in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product, communication and space design at the customer contact point is an asset of the company and the added value of flagship products that can ultimately be maintained by enhancing the brand value will act as a key factor in improving. In the case of product, communication, and space desig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scale of the object being designed and the design process method. There is a limit to implementing a consistent design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way it is implemented to customers.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design application area was expanded through the design strategy planned at the time of design initiation, and the brand's value and recognition improved through design. As a design strategy for consistent design implementation, 1. Application of customer experience points and stages, 2. Establishment of creative direction, 3. Establishment of brand hierarchy structure, 4. Life cycl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s, and 5. Design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were suggested and specific method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cases in which consistent designs were applied in the fields of product, communication, and space design by mobility manufacturers were classified into master brands, independent brands, and sub-brands,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ming design ident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key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onsistent design at a time when the target range of mobility manufacturers are expanding.

      • KCI등재

        자동차 인테리어 칵핏(Cockpit) 조형 디자인의 관여 요인 고찰 -디자인적 연관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변영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3

        자동차 디자인은 차량 주요 시스템의 전동화 및 자동화, 전자화로 인해 과거에 비해 급격히 진화되고 있다.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영역은 각 요소들의 형상에서부터 운전자와의 인터랙션, 소재를 활용한 감성적인 완성도를 추구하는 영역까지 디자인적으로 고려해야 할 영역이 고도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진화하고 있는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 요소를 정의하고 칵핏(Cockpit)의 조형적 디자인 관여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칵핏 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자동차의 주행 조작에 있어 가장 많은 영역이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 있으며 차량 제어를 위한 조작 장치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칵핏 디자인의 조형적 완성도는 심미성뿐만 아니라 사용성 및 안전성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자동차 인테리어의 조형 디자인 요소들에 대해 파악하고 칵핏 디자인이 발전해 온 과정에 있어 핵심 요인에 대해 논한다. 이를 기반으로 칵핏의 조형 디자인에 있어 영향을 주는 인테리어 디자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요인을 분석한다.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칵핏 고유의 기능을 전제로 디자인적 조형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칵핏의 조형 디자인적 관여 요인을 고찰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한다.

      • KCI등재

        자율 주행 자동차의 조작부 디자인 개발을 위한 관여 요소 연구 -융합 기능 기반의 물리적 조작 장치 디자인 중심으로-

        변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need to establish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esign a physical operating devices operated by a driver by converging the core functions of an autonomous vehicle.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physical operating devices are decreasing due to the nature of self-driving cars being digitized, but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as they are composed of core functions. In addition, since the driver's driving tasks are reduced due to the use of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an analysis of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of physical operating devices are requir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without errors even with a reduced frequency of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esign-relate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hysical operating devices that require acceptance of convergence functions among the interior design areas of autonomous vehicles, and to propose key points for implementati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devices including the convergence functions required by the driver in the fourth level or lower of autonomous driving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ior layout of the vehicl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operating devices arr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class and manufacturer. Second, the type of operating devices that perform the convergence function was defined, and among the design considerations, the factors involved in securing the driver's controllability based on factors such as interior layout, arrangement of control devices, size, shape, and protrusion were defined. 본 연구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핵심 기능을 융합하여 운전자의 물리적 조작 장치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정립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전자화되고 있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특성상 물리적 조작 장치의 개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핵심 기능 중심으로 구성되어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율 주행 기능의 활용으로 운전자의 운전 과업이 축소되므로 줄어드는 사용 빈도에도 오류 없이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물리적 조작 장치의 디자인을 위한 고려 사항의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 주행 자동차의 인테리어 디자인 영역 중 융합적 기능 수용이 요구되는 물리 조작 장치에서 고려해야할 디자인 관여 요소에 대해 정의하고 구현을 위한 핵심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 주행 4 단계 이하에서 운전자에게 필요로 하는 융합 기능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는 차량의 인테리어 레이아웃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차급과 제조사에 따라 배치되는 조작 장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융합 기능을 하는 조작 장치의 유형에 대해 정의하고 디자인 고려 사항 중 인테리어의 레이아웃, 조작 장치의 배열, 크기, 형상, 돌출량 등의 요소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조작성 확보를 위한 관여 요소를 정의했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