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어성 부사와 문어성 부사 목록 선정 연구

        백재파 ( Baek¸ Jae-pa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of colloquial adverbs and literary adverbs list and discuss ways to use li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the colloquial and literary scores in a total of 647 adverb vocabularies using the G<sup>2</sup> valu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revealed that 203 vocabularies have colloquialism, while 444 vocabularies have literarines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G<sup>2</sup> values, it divided the colloquial and literary words into three levels and presented a list of adverb vocabularies. In addition, it discussed different ways of implementing the suggested list of adverb vocabular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딕토글로스 교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Baek, JaeP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딕토글로스 교수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딕토글로스 교수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 논문 21편에서 3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딕토글로스 교수의 전체 효과크기는 .534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달도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중급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676) 둘째, 종속변인에 따라 메타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의 효과크기에 큰 차이가 없었다(듣기: .510, 쓰기: .546, 문법: .539). 셋째, 학습자 언어권,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 목적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각각의 결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ctoglo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ally.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30 effect sizes in 21 related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 of dictoglos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ctogloss transpired to be medium (.534). In addition, dictogloss was most effective in intermediate level (.676). Seco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each variable has a similar effect size (listening:.510, writing: .546, grammar: .539). Third,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with the language group,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lessons, and learning purpose taken as the moderating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learning purpose.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입력중심 FonF와 출력중심 FonF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Baek, Jaepa) 언어과학회 2020 언어과학연구 Vol.0 No.94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input- and output-based Focus on Form (FonF).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f a total of 113 effect sizes taken from 47 studie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effect size of output-based FonF (0.798) was greater than that of input-based FonF (0.750),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upon analyzing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the proficiency variable influenced the effect sizes of both input-based and output-based FonF, and the higher the proficiency, the greater the effect size. The variables of students per class and level of treatment intensity only influenced the effect size of input-based FonF, where the effect size grew with a larger class and higher level of treatment intensity. Furthermore,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for the effect size of outputbased FonF, where longer duration displayed higher effectivenes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MALL 연구 담론 분석

        백재파(Baek, Jae-P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MALL 연구가 어떠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지점은 어디인지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MALL 연구 95편을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연구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개의 연구 담론이 도출되었으며, 이 연구 담론에 속한 핵심어의 공통된 속성을 바탕으로 ‘MALL 변인’, ‘MALL 도구 개발’, ‘MALL 적용’ 담론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연구 담론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가 필요한 지점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research has achiev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dentify which areas need further research,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o achieve this, 95 MALL studies publish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gathered, and the text mining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research discourses. The analysis revealed a total of three research discourses, and these were named “MALL variable,” “MALL tool development,” and “MALL application,” based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keywords found in each discourse. This study then examined in detail which areas would need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each research discourse.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상위인지 전략 교수의 효과

        백재파(Baek Jae Pa)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연구는 상위인지 전략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편의 관련 연구에서 2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종속변인, 독립변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를 메타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인지 전략의 전체 효과크기는 .794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위인지 전략은 말하기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었다(1.522). 셋째, 자기 수정(1.682), 자기 조절(.969), 자기 질문(.888), 자기 평가(1.258) 전략이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각각의 결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ally.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20 effect sizes in 19 related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structi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struction transpired to be medium (.794). Second, meta-cognitive strategies instruction wa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speaking ability (1.522). Third, self-correction (1.682), self-regulated (.969), self-questioning (.888), self-assesment (1.258) strategies instruction transpired to be big. Fourth, the analysis of the moderator effects revealed that none of the five variables (language group, proficiency,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lessons, and learning purpo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ult.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암시적·명시적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 비교 연구

        백재파(Baek, Jae-p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암시적·명시적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총 36편의 연구에서 105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교수의 전체 효과크기는 .785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명시적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크기(.965)가 암시적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크기(.497)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숙달도 변인과 학생 수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과 함께 교육적 제안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mplicit and explicit form focused instruction (FFI)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a total of 105 effect sizes were gathered from 36 studies and were meta analyz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FFI was medium (ES=.785). Second, the effect size of explicit FFI (ES=.965) was greater than that of implicit FFI (ES=.497). Third, the analysis of the moderator effects revealed that two variables (proficiency, number of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effect size.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이해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Baek Jae P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는 한국어 이해 교육 분야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증거 기반 교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83년에서 2017년까지 발표된 읽기 교육 분야 38편의 연구에서 54개의 효과크기, 듣기 교육 분야 37편에서 54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한 후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48로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하고, 듣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820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둘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읽기 교육 분야의 경우 읽기 자료 활용(.948), 어휘(.742), 전략(.667), 다독(.582), 읽기 방법(.525)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교육 분야에서는 발음(1.413), 어휘(1.109), 전략 (1.006), 매체 활용(.970), 섀도잉(.681), 받아쓰기(.567), 딕토글로스(.449)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 학습 목적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분석한 결과 읽기, 듣기 교육 분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분석된 연구 결과는 영어교육학 분야에서의 메타분석 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instruction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teaching of receptive skills in Korean and presenting the results. To this end, 54 effect sizes were extracted from 38 studies on reading education and 54 effect sizes from 37 studies on listening education for a meta-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effect size of reading education was medium at .648 while that of listening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at with .820. Second, the analysis on effect sizes b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vealed the effect sizes in reading education with following order: use of reading materials (.948), vocabulary (.742), strategy (.667), extensive reading (.582), reading method (.525). The effect sizes in listening education sections were: pronunciation (1.413), vocabulary (1.109), strategy (1.006), use of media (.970), shadowing (.681), dictation (.567), Dictogloss (.449). Third, an analysis based on the moderating variables including native language of Korean learners, proficiency,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number of lessons, purpose of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reading or listening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e meta-analysis result from studies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동시 관계 유사 문법 항목 ‘-으며’, ‘-으면서’의 레지스터 분석 연구

        백재파(Jae-Pa Baek) 동남어문학회 2022 동남어문논집 Vol.1 No.54

        본 연구는 동시 관계 유사 문법 항목 ‘-으며’, ‘-으면서’의 레지스터 분포를 명확히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종코퍼스를 재구성하여 준거 코퍼스를 마련하였고, 구어/문어, 격식/비격식 구어 레지스터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G2 값을 활용하여 분포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으며’는 매우 구어적 문법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으며(G2 2301.66), ‘-으면서’는 문어 레지스터에서 분포가 조금 더 많기는 하지만(G2 39.97) 구어 및 문어 레지스터에서 두루 사용되는 문법 항목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격식 구어 레지스터에서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으며’와 ‘-으면서’ 모두 격식 구어 레지스터에서의 분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으며’는 정도성이 약했으며(G2 29.47) ‘-으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G2 .95). 본 연구는 상반된 설명이 대립하는 유사 문법 항목에 대하여 객관적 결론을 도출하였고, 레지스터 분석 방법 및 기술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by register of the verbal suffixes -eumyo (-으며) and -eumyeonseo (-으면서) ‘while, during’ indicating simultaneous occurrence. To this end, a standard corpus was developed based on the Sejong corpus,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two forms by spoken/written and formal/informal speech registers were analyzed. The loglikelihood ratio (G2) values were then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stributional differences. The results show that -eumyo is predominantly used in speaking (G2 = 2301.66), while -eumyeonseo is widely used in both spoken and written registers, though it is more common in the latter (G2 = 39.97). Both -eumyo and -eumyeonseo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formal speech register, although the difference was smaller for -eumyo (G2 = 29.47) than in writing, while the difference for -eumyeonse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G2 = 0.95). This study allows objective conclusions to be drawn regarding similar grammatical items that have received conflicting explanations and is significant in showing the value of register analysis and depiction method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다독 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 ( Baek Jaepa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독 활동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독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11편의 관련 연구에서 2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독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559) 둘째, 다독 활동은 읽기 속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며(.663) 다음으로 어휘력 향상(.540), 독해력 향상(.485)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다독활동 기간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나타났는데, 숙달도가 낮을수록 다독 활동의 효과크기가 더 컸다(초급: 1.155, 중급: .549, 고급: .269). 그리고 각각의 연구 결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ally.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26 effect sizes in 11 related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 of extensive reading.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extensive reading transpired to be medium (.559). Second, extensive reading was most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speed (.663), followed by vocabulary (.540), and reading comprehension (.485). Third, learners’ language group, proficiency, learning purpose, their number in class, and period of extensive reading were set as moderator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ly. Consequently, profici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of extensive reading was higher when proficiency was lower (Beginner: 1.155, Intermediate: .549, Advanced: .269).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Baek Jae P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s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by the moderator variables, by performing a meta-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d verified the effects of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Towards this end, the 55 papers that had met the criteria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ose concerning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published from 1987 to January, 2015, and then the 59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was shown to be great with 0.913.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s by ‘teaching-learning Methods’, by ‘educational contents’, by ‘media utilizations’, by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by ‘feedbacks’ were found to be 0.746, 0.985, 0.839, 0.816, and 0.875 respectively.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moderator effects according to the learners’ language blocs, the learners’ proficiencies, and the numbers of experiment participants, the greatest effects were found to be 0.983 when the experiment group was organized with multinationals, 1.155 when the participant group were composed of more than 20 participants, and 2.401 whe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15 to 19 times.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독립변인과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87년부터 2015년 1월까지 발표된 한국어 쓰기 교육 분야의 연구들 중 본 연 구의 기준에 맞는 55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5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913으로 큰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에 따라 재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0.746, ‘교수 내용’에 따른 효과크기는 0.985, ‘매체 활용’에 따른 효과크기는 0.839, ‘수업 외 활동’의 효과크기는 0.816, ‘피드 백’의 효과크기는 0.875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학습자 숙달도, 실험집단의 인원, 실험 처치 횟수에 따른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을 다국적 반으로 구성하였을 때(0.983), 실험집단을 20명 이상으로 구성하였을 때(1.155), 15~19회 실 험 처치를 하였을 때(2.401)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