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백재연,박상봉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music,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3rd to 4th graders, focusing on sub-components of aestheticsensitivity competency among the 6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achieve this goal, action research method and the ADDIE model were applied and a professionallearning community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were organized in this study. Through thisprocess,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30 classes. Teaching andlearning programs consist of overviews,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andlearing materials. The draft program was reviewed by expert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department.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as enhanced completeness by checking the timeallo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in three department, accordance withcompetency and activities, and checking consideration professors an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of the study, we discussed str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of this programs throughorganizing and managing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integrating alternative curriculumfocused on competency. Finally, for follow-up research, it is suggested to consider of substance andstandard between each grade when curriculum is revised, review of interdisciplinary affiliate at thesame grade level, apply contents emphasized in individual subjects when developing integrated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cused on competency and develop assessment tools at each leveland each class to determine improving competency.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의 핵심 역량 가운데 심미적 감성 역량의 하위 요소들을 중심으로 3~4학년 군의 음악, 미술, 체육 교과를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 연구 방법과 ADDIE 모형을 수정·혼합한 절차를 따르며 교수 – 교사 간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교과 간 통합적 주제 설정 및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차시별 주제는즐거운 생활 통합교과의 영역, 핵심 개념과의 연계를 고려하였고 내용 요소는 음악, 미술, 체육 세 교과의 내용 특성과 현장의 실천적 지식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30차시분량의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크게 개요, 교수·학습 활동의내용, 학생 및 교사용 자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초안은 전문가의 검토과정을 거쳐 세 교과의 활동특성을 고려한 시간 배분 및 역량, 활동과의 부합성 확인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에 대한 고려 여부를재확인하며 완성도를 높여나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프로그램의 실천성 강화, 역량 중심의 대안적 교과 통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 개정 시 학교급 간의 계열성 고려뿐만 아니라 동학년 수준에서의 교과 간 연계 검토, 역량 중심 통합적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시 개별 교과에서 강조하는 내용 요소의 필수적 반영, 역량 함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위 차시 및 단원 수준에서의 평가 도구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백재연 ( Paik Jae Yeon ),박상봉 ( Park Sang B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2 No.S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의 핵심 역량 가운데 심미적 감성 역량의 하위 요소들을 중심으로 3~4학년 군의 음악, 미술, 체육 교과를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 연구 방법과 ADDIE 모형을 수정·혼합한 절차를 따르며 교수 - 교사 간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교과 간 통합적 주제 설정 및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차시별 주제는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의 영역, 핵심 개념과의 연계를 고려하였고 내용 요소는 음악, 미술, 체육 세 교과의 내용 특성과 현장의 실천적 지식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30차시분량의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크게 개요, 교수·학습 활동의 내용, 학생 및 교사용 자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초안은 전문가의 검토과정을 거쳐 세 교과의 활동특성을 고려한 시간 배분 및 역량, 활동과의 부합성 확인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에 대한 고려 여부를 재확인하며 완성도를 높여나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프로그램의 실천성 강화, 역량 중심의 대안적 교과 통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 개정 시 학교급 간의 계열성 고려뿐만 아니라 동학년 수준에서의 교과 간 연계 검토, 역량 중심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시 개별 교과에서 강조하는 내용 요소의 필수적 반영, 역량 함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위 차시 및 단원 수준에서의 평가 도구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3rd to 4th graders, focusing on sub-components of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among the 6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action research method and the ADDIE model were applied a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were organiz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30 classe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consist of overviews,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and learing materials. The draft program was reviewed by expert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as enhanced completeness by checking the time allo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in three department, accordance with competency and activities, and checking consideration professors an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str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of this programs through organizing and managing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integrating alternative curriculum focused on competency. Finally, for follow-up research, it is suggested to consider of substance and standard between each grade when curriculum is revised, review of interdisciplinary affiliate at the same grade level, apply contents emphasized in individual subjects when develop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cused on competency and develop assessment tools at each level and each class to determine improving competency.

      • KCI등재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백재연(Jae Yeon Baek),이해연(Hae-Yeon Yi),황지윤(Ji-Yun Hwang),김기랑(Kir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0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 주부 14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지론을 적용하여 개발된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환경 인식, 식행동을 조사하여 교육 전후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항목에서는 하루 필요 소금 섭취량에 대해 인지하는 비율이 교육 후 77.8%로 교육 전보다 54.6%가 증가하였다. 교육 후 싱거운 쪽의 음식의 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 변화한 대상자는 25.6%였다. 대부분 대상자들은 식생활에서 저염 섭취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싱겁게 조리된 음식을 제공할 시 선택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 저염 섭취를 위한 환경적 요인이 향상된다면 저염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해당하는 개인적 수준의 영역이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트륨 섭취 관련 환경 항목에서는 대상자의 약 2/3가 교육 전 저염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을 찾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육 후 찾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변화된 대상자는 23.6%로 증가하였다. 교육 후 서울 시내에서 저염 음식점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0.0% 이상이었으나, 저염식을 섭취 시 주변에서 먹을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은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93.5%).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항목에서 교육 전후로 효과가 있었던 항목은 식품의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선택, 저염 제품 등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구매, 조리 시 소금의 사용량을 줄이고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천연재료를 사용, 패스트푸드(햄버거, 피자 등) 및 가공식품의 섭취 감소 항목으로 직접적인 저염 실천 행동에서의 개선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 요인과 관련된 식행동인 짜지 않게 조리 요청 여부와 저염 제품 및 건강음식점 소개 여부 항목에서는 행동 변화율이 낮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저염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하여 저염 섭취를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과 병행하여 환경 인식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지속해서 저염 섭취를 위한 행동 변화들이 유지될 수 있는 영양교육 내용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are limited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based on the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housewives who cook family me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l-based nutrition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among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by incorporating social cognitive theory. A quest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conducted on 140 housewives who participated in the ‘Low Sodium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delivered by a district public health center for 12 weeks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The conten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items were based on the action plans for ‘Less Sodium Healthy Practic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 participants showed a lower preference for sodium, higher selection of low sodium dishes from restaurants or cafeteria if available,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 need of restaurants to serve low sodium dishes compared to before. In terms of behavioral change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hecking nutrition labeling and selection of foods with low sodium, use of low sodium food products, use of natural seasonings to reduce salt intake, and consumption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On the other hand, requesting less salty meals when ordering and introducing restaurants or cafeterias with healthy and low sodium menus turned out to be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intake reduction for housewiv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environment recognition, and behaviors related to low sodium intake but not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es for sodium intake reduc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implemented with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s for low sodium intak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환경기술 혁신을 위한 전략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

        명수,유의선,안병옥,재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환경기술의 혁신은 환경기술자체를 과학기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만으로 온전히 해결되기 어렵다.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환경기술을 둘러싼 시스템 속에서 문제를 이해하며 그 해결책도 찾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환경기술의 혁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략, 정책, 법, 제도의 내용 및 방향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일, 미국, 일본의 환경기술 혁신에 영향을 주는 전략과 시스템을 살펴보고, 우리의 환경문제 해결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사회경제시스템과 환경기술개발의 상호관계를 개관하여, 주요 선진국의 환경기술 혁신을 위한 전략 및 시스템을 보는 틀을 준비하였다. 즉, 환경문제의 사회경제적 의미, 생태경제로의 전환, 과학기술·환경기술을 둘러 싼 여러 측면과 이슈 및 협약, 거시적 환경 전략 및 모토/개념, 환경세의 도입의 방향과 효과 등을 살펴 보았다.독일의 특수성은 독일의 법, 정책이 유럽연합(EU)과 유기적 관계가 있으며, 월경성 오염 문제에 대한 EU차원의 협력도 있다는 것이다. 통독 후 구동독의 환경 문제가 있었던 것도 한 특수성이다. 지속가능성의 전략이 독일의 환경정책이 진행될 방향을 정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영역은 빈곤의 퇴치, 기후 보호, 생물다양성의 보존이다. 동시에 사회적 보장 시스템, 고용 시장, 정보기술의 진보, 인구변화, 경제적/재정적 시장의 빠른 지구화 등도 고려된다. 독일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표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 사회적 과제, 기후 보호, 재생가능 에너지원, 생물다양성, 국가부채, 미래를 위한 경제적 준비, 혁신, 대기오염, 개발협력, 농업, 이동성이다.독일은 재생가능 에너지 시나리오와 지속가능한 자원관리 전략을 갖고 있다. 독일은 공식적으로 2050년 목표 유럽연합의 에너지 시나리오를 채택하고, 충실히 구현해 나가고 있다. 즉, 2050년까지 핵 및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 체제에서 재생가능에너지로의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독일은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물질흐름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전략은 생태효율, 국토관리, 통합 제품 및 생산 정책, 폐기물 관리를 포함하되 상위 차원에서 전체 물질 흐름 수지를 조망하는 것이다. 환경문제 해결 전략이 70, 80년대 독성제거 전략에서 90년대 이후 지속가능한 자원관리 전략으로 변환된 것이다. 90년대 이래 자원의 지속불가능한 사용으로 인한 비가역적 환경 변화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완된 접근방식은 탈물질화/생태효율 및 건설지역 확장제한이다. 독일은 지속가능한 자원관리를 위한 정량적 타겟을 설정하여 그 경과를 모니터링 한다. 예를 들면, 2020년까지 건설된 토지의 확장을 일일 30ha로 저감, 에너지 생산성을 ‘인수 2’만큼 증가, 비재생가능 원자재의 생산성을 ‘인수 2.5’만큼 증가, 2010년까지 유기농업 토지를 20%까지 증가 등을 추구한다.독일의 환경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환경세 등 경제적 수단은 자원 절약 및 보존, 비재생가능물질로부터 재생가능물질로의 전환을 추구케하고 이는 기술혁신 및 환경기술 시장 창출로 이어진다. 최적가용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의 적용을 포함한 독일의 강력한 규제가 대기질 및 수질의 개선에 근본적으로 기여하였고, 결과적으로 독일의 환경 기술이 주목할 만큼 세계 시장을 점유하게 하였다. 환경원칙의 법적, 제도적 엄격한 이행도 주목할 만하다. 사전주의 원칙, 오염자 부담 원칙, 통합의 원칙 등이 강조된다. 사전주의 원칙의 부분으로서 재생가능에너지 촉진을 위하려 화석연료에 에너지세를 부과하여 재생가능에너지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물 관련 법에서의 오염자 부담 원칙의 이행에 있어서 물 오염 피해에 대한 책임성은 시간적으로 무제한적이다. 시설물의 운용이 관계 당국에 의해 부과된 법과 조건에 상응할지라도, 환경피해가 있는 경우 그 운용자는 피해를 보상해야만 한다. 통합의 원칙은 환경적 관심이 비환경적정책 영역에 고려되야 함을 뜻한다. 정책, 계획 및 프로그램의 전략적 환경 평가(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가 검토되고 있다.R&D 계획 및 이행 구조 측면을 보면, 국가적 연구 지원에 다음 3가지 테마가 중 시되고 있다: 매체 중심 계획에서 확장하여 환경 시스템 연구(기후 및 생태 시스템 연구), 토지 이용 중심의 연구, 환경 기술 개발의 확장으로서 제품과 생산에 통합된 환경 보호이다. 환경시스템 연구는 고도의 복합적인 대륙과 해양의 생태 시스템 및 기후 시스템의 기능, 구조, 동력학과 그들 시스템들의 합동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시스템 연구는 초학제적인 합동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공간중심의 토지 이용 연구 계획은 구체적 생활 및 경제 공간(예:도시, 산업지역 등)을 위해 생태적 근거를 갖는 구조와 이용 개념을 개발하는 것을 지향한다.

      • KCI등재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초등가창지도 비교 연구- 한국, 미국, 독일을 중심으로 -

        주대창,백재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2

        본 연구는 어릴 때부터 좋은 목소리를 만드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한국과 미국 및 독일의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초등 가창지도 방법을 해당 교육과정과 연계하면서 비교하였다. 한국의 음악교과서에는 좋은 발성에 대한 단편적 설명만 있고 그에 대한 비계 학습 활동이 미미하다. 미국의 경우는 일반 음악교육에서 이에 대한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독일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음악교과서에서 목소리 개발에 대한 구체적 활동들이 제시된다. 효율적 가창지도를 위하여, 자세와 호흡 및 발성은 따로 분리하지 않고 함께 지도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바른 자세와 호흡에 대한 원론적 안내를 넘어서서 어린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 활동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n curricula and music textbooks in Korea, USA, and Germany. Simple description of good posture and breath for singing appears in Korean textbooks. Also, American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general music education rarely mentioned how to practice children’s singing voice. Interestingly, in German’s textbooks, specific activities appear for developing children’s voice and it helps student understand how to sing systematically. This article has two results: First, to improve singing voice, student needs to learn good posture, breath, and vocalization all together. Second, it is a significant point for elementary school’s singing class that music textbooks have to provide practical ideas for voice training.

      • KCI우수등재

        음악 문해력 관점에 의한 초등학교 3학년 음악 지도서 분석

        민병선,백재연 한국음악교육학회 2022 음악교육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음악 문해력 관점으로 음악 지도서의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 문해력 향상을 위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음악 문해력 관련 논의들을 고찰하고 음악 문해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살펴본 후 초등 3학년 제재곡 을 음악 요소와 개념별로 범주화하여 음악 지도서 활동 내용에 적용된 기능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 교과 교육의 탐구과정 및 사고 과정인 기능은 음악적 활동이 풍부한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음악적 이해를 돕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음악 문해력 신장을 위해 음악 요소와 개념적 이해는 물론 음악 고유의 사고 능력인 기능이 활동 속에서 역동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 실행 및 성찰

        류재만,백재연,이정연,박상봉,한준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8 No.-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improve classes in the field by presenting the effects and reflection after implementing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gram developed by Park et al. (2021) for enhancing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e. To this e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was formed and the 13-hour program was implemen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suggested by Spradley (1979),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omain analysis and taxonomy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despite the limited situation of COVID-19, programs to enhance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showed effects such as "visible expression of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e", "promotion of various core competences based on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e", and "transfer to other subjects and daily life." In addition, the reflec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re "recognition of the need to reflect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ies across subjects," "attempts to overcome obstacles to curriculum integration through PLC 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elementary schools," and "recognition of the need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 가운데 하나인 심미적 감성 역량의 함양을 위해 박상봉 외(2021)가 개발한 통합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효과와 성찰한 내용을 제시하여 현장의 수업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PLC)를 구성하고 13차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Spradley(1979/2003)가 제안한 심층면담, 참여관찰 등을 활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영역분석과 분류체계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의 제한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은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가시적 발현’, ‘심미적 감성 역량 기반의 다양한 핵심역량 함양 촉진’, ‘타 교과 및 일상생활 전이’ 등의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찰한 내용은 ‘심미적 감성 역량의 범교과 반영을 위한 연결고리 강화의 필요성 인식’, ‘대학-초등학교 간 PLC 운영을 통한 교과통합 장애요인 극복 시도’, ‘교육환경 시스템 변화의 필요성 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