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EBT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프로그램이 특성화 고등학교 남학생의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백은정,유순화,송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BT on the career myth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This study administered career myths test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est to thirty male students in 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B city; and assigned 15 stude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 total of 12 sessions for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BT were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o sessions a week. As for the data analyzing, a t-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group homogeneity and ANCOVA to investigate posterior chan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B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e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career myth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B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gram had meaningful effecs on the career myth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pecialized voc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by their reaction papers. From the findings, the conclusion was derived as follows: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EB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career myth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는 REBT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남학생의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B시의 D특성화고 남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의를 구한 학생들을 15명씩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REBT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한 주에 2회기씩 총 12회기가 실시되었고, 자료분석을 위해 t-test와 ANCOVA, 소감문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신화가 감소하였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셋째, 참가 학생들의 소감문 분석에서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REBT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조절 전략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백은정,김자경,김혜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총 Vol.3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intervention on mathematical word-problem solving in children at risk of ma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s: An SRSD intervention based on the “Sejong DeaWang Sasinda + Churus” memory technique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FAST, DRAW” strategy was conducted on three children at risk of math learning disabilities in grades 2-3. The research design was a multiple-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and a mathematical word-problem-solving test was used to collect the participants scores in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Percent of Non-overlapping Date (PND) and Tau-U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collected data to determine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s. Results: The mathematical word-problem intervention with SRSD was effective for all three children,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Conclusion: The SRSD math word-problem solving intervention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by helping children to use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dependentl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SRSD 중재를 통해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2~3학년의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3명을 대상으로 ‘FAST, DRAW’ 전략을 수정․보완한 ‘세종대왕 사신다+추러스’ 기억술을 바탕으로 SRSD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로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연구 대상자들의 점수를 수집하였다. 중재 및 유지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PND 값과 Tau-U 값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SRSD를 통한 수학 문장제 중재가 3명의 대상 아동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고, 이 같은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SRSD를 통한 수학 문장제 중재는 문제해결 전략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어 문장제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백은정,김자경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strategy on spelling skills, especially in the areas of four spelling types-fortis, palatalization, final consonant ‘ㄷ’, final syllable among low grad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consisted of 34 sessions made up of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and was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with multiple probe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lling intervention using self-monitoring strategy was effective on the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Moreover the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During the intervention, students i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correct and modify their careless errors for themselves and write the words depending on the principle of spelling. Although the extent of change was various according to the spelling types, improvement was shown in all four types. With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자기점검전략이 저학년 쓰기학습장애 학생들의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자기점검전략의 적용에 따른 철자쓰기능력에서의 효과를 된소리, 구개음화, ‘ㄷ’소리받침, 음절의 끝소리의 네 가지 철자 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쓰기학습장애 학생 1학년과 2학년 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주 3회, 총 34회기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점검전략을 활용한 철자쓰기 중재를 통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자기점검전략이 부주의로 인한 실수를 정정할 수 있게 하고, 철자의 원리에 따라 쓰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인 것이라 보인다. 각 철자유형에 따라 변화의 정도가 다르게는 나타났지만, 모든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중재 방안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ase of Immune Hemolytic Anemia Induced by Ceftizoxime and Cefobactam (Sulbactam/Cefoperazone)
백은정,최현경,이성실,김신영,김현옥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9 No.6
Simultaneous drug-induced immune hemolytic anemia (DIIHA) caused by multiple drugs is ra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ho developed DIIHA caused by 2 drugs. The patient’s serum exhibited agglutination of ceftizoxime- or sulbactam-coated red blood cells (RBCs; via a drug-adsorption mechanism) and of uncoated RBCs in the presence of sulbactam (via an immune-complex mechanism). Although ceftizoxime is known to exhibit a positive reaction by an immune-complex method with or without reactivity with drug-coated RBCs, this patient’s antibodies were reactive only against drug-coated RBCs. On the other hand, sulbactam, which is known to cause hemolytic anemia by nonimmunologic protein adsorption, exhibited positive reactions in tests with both drug-coated RBCs and in the presence of sulbacta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IIHA due to a sulbactam-cefoperazone combination and the fourth report of DIIHA due to ceftizoxime. Owing to the patient’s complicated laboratory results, DIIHA was suspected only at a late stage. We propose that for the prompt diagnosis of DIIHA, tests for all possible causative drugs should be conducted by 2 methods.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백은정,유영권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adaptation problems and stresses of the Christian homosexual males. For this thesis, in-depth interview was made for the 8 Christian homosexual males who are in the range of 30s and 40s. As a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e grounde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was utili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5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induced. In terms of the causalities, the circumstances of recognizing as a homosexual by themselves have been conceptualized.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d the stresses and the problems they have faced after admitting their sexual identity, Categorized this stress into “the stress of sexual orientation”. Regarding this category, “negative perception of the society” and “no availability of professional helps” are also indicated. In prompting reciprocal role relating to the core theme, the personal conditions are as follows: understanding of homosexuality, acceptance by the families, supports from counselors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personal faith. The strategic approach to the reciprocal acts is determined by “how they cope” with the stress that arises in respect to their sexual orientation, and is classified into four styles of coping; problem oriented coping, social support pursuing, emotional relief coping, and hope oriented coping. Throughout this study, various styles of adaptation in Christian homosexual males in dealing with the stresses of their own sexual orientation were identified. Especially, classifying the process of homosexuals which covers from the point of recognizing their homosexuality for the first time to the point of accepting their true sexuality will enable counselors to be equipped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counseling with the Christian homosexual males 본 연구는 기독 남성동성애자가 성적 지향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삶의 적응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0~40세의 기독 남성동성애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과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절차를 따랐다.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최종적으로 45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동성애자가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인식하게 되는 배경을 개념화하였다. 이에 따라 동성애를 인식한 후 삶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중심현상으로 이해하고 이를 성적 지향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개념화하였다. 이에 대한 맥락으로는 사회의 인식이 부정적이고 전문적으로 치료할 곳이 없다는 점이 드러났다. 중심현상과 관련하여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중재조건은 개인적 조건으로 동성애에 대한 이해, 관계적 조건으로서 가족의 인정, 의료인/상담사의지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도출하였다. 상호작용 전략은 동성애자가 성적 지향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과정을 개념화하였고, 김정희와 이장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류에 따라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추구, 정서완화적 대처, 소망적 대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중심현상에 대한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동성애에 대해 배타적인 종교를 믿으면서 동성애자로 살아가는 이들의 삶의 적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살아가는 이들의 삶을 종단적으로 이해하여,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삶의 적응 유형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요인들은 동성애자를 이해하고 그들에 대한 상담의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한 많은 함의를 줄 수 있다. 특히 동성애자가 처음 동성애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적 지향성을 받아들이고 동성애자로서 살아가는 과정을 역동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상담의 차별적인 개입전략을 시사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