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사전 오차를 최소화하여 재설정한 혈장 음이온차의 참고범위

        백은정,박일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5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5 No.6

        Background : The reference interval of anion gap established in the 1970s has been changing as the method of electrolyte measurement changes. It is also influenced by preanalytical errors. But there are only a few reliable reports that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preanalytical errors. Furthermore, there has been no report of values measured by the instrument being used in our laboratory. Therefore, we attempted to establish a reference interval of anion gap measured by Hitachi 7170s minimizing preanalytical errors, and analyzed the effect of a delay in electrolyte measurement and of sample exposure to the air. Methods : The subjects were 538 healthy people who attended Hanyang university hospital health clinic with normal blood levels for albumin, creatinine and glucose. The plasma Na+, K+, Cl-, and total carbon dioxide (TCO2) were measured by Hitachi 7170s autoanalyzer (Boehringer Mannheim, Indianapolis, USA).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lay between blood withdrawal and electrolyte measurement and the loss of CO2 by exposure to the room air after bottle opening,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 A (124 subjects) and group B (414 subject) whose electrolyte results were reported within and after 20 minutes, respectively, of blood withdrawal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or the electrolytes and anion gap. Anion gap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Na+- (Cl-+TCO2)]. Results : Compared with group A, TCO2 of group B decreased by 0.9 mmol/L (P<0.001) and the anion gap increased by 0.6 mmol/L (P=0.009). The reference interval of anion gap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group A at the value of 5.4-13.4 mmol/L. Conclusions : The reference interval of anion gap determined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value commonly used and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minimum delay in electrolyte measurement and sample exposure to the air. 배경 : 전해질 측정방법과 측정기기가 변함에 따라 전통적인 음이온차의 참고범위를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과 검사전 오차에 의해 음이온차가 큰 영향을 받는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본원의 검사기기로는 보고되지 않았고 음이온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오차에 대한 연구가 불충분하므로, 검사전 오차를 최소화하여 참고범위를 구하였으며 검사까지의 시간지체나 검체의 공기노출로 인해 참고범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방법 : 2004년 11월과 12월 두 달간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 한 사람 중 혈장 알부민, 크레아티닌과 혈당수치가 정상이며 검진결과 전해질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 없다고 판정된 5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Na+, K+, Cl-, total carbon dioxide (TCO2)를 Hitachi 7170s 자동분석기(Boehringer Mannheim, Indianapolis, USA)로 측정하였다. 정맥피를 주사기 대신 진공채혈관 전용 바늘을 이용해 혈장분리관의 기준량에 맞게 채혈하여서 채혈 중 공기유입으로 인한 오차와 혈장분리관의 용량에 미달해 채혈했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음이온차의 가성증가를 배제하였다. 혈장분리 후 혈장분리관의 뚜껑을 열고 혈장분리관 채로 카트리지에 넣어 검사하여 CO2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였다. 원심분리하기까지 시간지체로 인한 영향과 검체가 공기에 노출된 후 CO2 손실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채혈로부터 결과가 보고되기까지 시간을 20분 전후로 A군(124명)과 B군(414명)으로 나누어 전해질 및 음이온차를 비교하였다. 음이온차는[Na+-(Cl-+TCO2)]로 구하였다. 결과 : B군의 TCO2가 A군에 비해 평균 0.9 mmol/L 감소하였고 음이온차는 0.6 mmol/L 증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01, P=0.009). 음이온차의 참고범위는 A군을 대상으로 구했으며 5.4-13.4 mmol/L이었다. 결론 : 음이온차의 참고범위는 여러 오차들에 의한 차이를 배제한 후에도 기존에 쓰이던 범위보다 낮아 새로운 기준으로 바꿔야 하며, 참고범위 설정시 검사까지의 시간지연과 검체의 공기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백은정,김자경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strategy on spelling skills, especially in the areas of four spelling types-fortis, palatalization, final consonant ‘ㄷ’, final syllable among low grad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consisted of 34 sessions made up of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and was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with multiple probe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lling intervention using self-monitoring strategy was effective on the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Moreover the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During the intervention, students i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correct and modify their careless errors for themselves and write the words depending on the principle of spelling. Although the extent of change was various according to the spelling types, improvement was shown in all four types. With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자기점검전략이 저학년 쓰기학습장애 학생들의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자기점검전략의 적용에 따른 철자쓰기능력에서의 효과를 된소리, 구개음화, ‘ㄷ’소리받침, 음절의 끝소리의 네 가지 철자 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쓰기학습장애 학생 1학년과 2학년 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주 3회, 총 34회기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점검전략을 활용한 철자쓰기 중재를 통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자기점검전략이 부주의로 인한 실수를 정정할 수 있게 하고, 철자의 원리에 따라 쓰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인 것이라 보인다. 각 철자유형에 따라 변화의 정도가 다르게는 나타났지만, 모든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중재 방안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관계

        백은정,남재화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ess and coping styl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 used 282 data for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itself was conducted by using SPSS Window 21.0 program;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were as being follows. First, the stress is partially not influences on the democratic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Second, the str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absolutism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Third, the str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moninterference managem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Fourth, the str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managem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Fifth, the stress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compromis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 이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여교사이며 총 282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으로 표집하였다. 그리고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coding)시키고, Window용 SPSS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민주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전제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방임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지원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타협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상담 연구동향과 제언: 국내 상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백은정,신효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Workplace Counseling:Focusing on Counseling Journals in KoreaEunjung Baek & Hyojung Sh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workplace counseling research published counseling journals in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53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21 were analyzed by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presen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research subjects by year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Second, research subjects by year are the study of counselors and clients began in the 2010s. Third, research methods by year are qualitative research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2010s. Fourth, as for the research subjucts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s, the study on adult office workers was most actively conducted. As a results, for the advancement of research, research on balance, qualitative research, and direct and indirect target trend research were suggested. Key Words: Workplace Counseling, Counseling Journals,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Academic Research 기업상담 연구동향과 제언: 국내 상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백 은 정*ㆍ신 효 정** 요약: 본 연구는 국내 상담학술지에 게재된 기업상담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1년까지 상담학술지에 게재된 총 53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주제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10년대 들어 다양한 주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도별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2010년대 들어 상담자 및 내담자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도별 연구방법은 2010년대 들어 질적연구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넷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는 성인 직장인 대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발전을 위해 연구의 균형, 질적연구, 직접 및 간접 대상 동향연구를 제언하였다. 핵심어: 기업상담, 상담학술지, 연구동향, 내용분석, 학술연구 □ 접수일: 2022년 1월 31일, 수정일: 2022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삼성전자 열린상담센터 상담사(First Author, Counselor, Samsung Electronics, Email: ej.baek@samsung.com)** 교신저자, 아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Ajou Univ., Email: blkbabe@ajo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