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양식산 광어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백은영,김남호,이남수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2

        The Flatfish belongs to 700 species worldwide. It is a well-being food containing of protein, little fat, unsaturated fatty acid and DHA in high quantites, and it is one of the foods with the highest consumer preference in the world. Especially in Japan, which has a 'sashimi culture' like Korea,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high-priced fish that is twice as expensive as yellowtail and red sea bream. As a result, 5,549 tons were exported to Japan in 2005, making it a major export destination. At that time, Korean flounder was important as a raw material for sashimi and accounted for 34.2% of the Japanese flounder supply. However, since then, the Korean flounder export volume has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to 2,474 tons in 2018, down 55.4% compared to 2005. The big difference is that in 2005, most of the exported flounder, went to Japan, export destinations had increased to 12 countries by 2018. However, the flounder export volume to Japan decreased by more than half. Simply comparing it to Japan's flatfish export volume, the decrease is the largest at 66.1%, which is smaller than the decrease volume of the overall export volume. Even though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its various support method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and the expansion of export ratios of high value-added products under the slogan of future industrialization of fishery industry through the export of fishery products, the export of flounder, which is a representative fish in Korea, has been retrogressive compared to the past.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the decline in exports of Korean flounder to Japan. The first is the issue of safety, the second is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alternative materials, and last is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Japanese flounder. The reason for this was not only the consumption of Japanese flounder but also the production structure. This has a large impact on the Korean flounder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xport target countries in order to reduce export dependence on Japan. Second, the transformation of major export aquaculture varieties should be considered. Third, exports of live fish must be avoided. In particular, flounder is highly palatable and consumes a large amount of food. This time, it is possible that changes in the flounder production structure in Japan may be seen in fishery products in other places in the future, a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considerable meaning. 광어가 속한 가자미목은 세계적으로 11과 700여 종이 있으며, 고단백 저지방, 불포화지방산, DHA가 다량으로 함유된 웰빙식품으로써 세계적으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어종 중 하나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생선회 문화’를 가진 일본에서는 광어가 방어와 참돔에 비해 약 2배 이상 비싼 고가 어류로 각광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일본은 우리나라의 주요 광어 수출대상국으로 2005년에 5,549톤까지 수출되었다. 이 당시 한국산 광어는 일본 광어 공급량의 34.2%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횟감용 식재료였다. 그러나 이후 한국산 광어 수출량은 증감을 반복하면서 2018년에는 2,474톤으로 2005년 대비 55.4% 급감했다. 가장 큰 차이점은 2005년 당시 수출 물량의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되었던 것과 달리 2018년에는 수출대상국이 12개국까지 늘었다. 그러나 일본으로의 광어 수출량은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다. 하물며 대일 수출량만을 단순 비교할 경우 그 감소폭은 66.1%로 전체 광어 수출량 감소폭보다 훨씬 크다. 정부에서는 ‘수산물 수출을 통한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라는 취지로 수출시장 다변화,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비중 확대 등 다양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지만, 국내 양식 어류의 대표 주자인 광어 수출은 오히려 과거에 비해 역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으로의 광어 수출 감소 원인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안전성 문제, 둘째는 대체재의 공급 증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본산 광어의 가격 하락 등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내의 광어 소비는 물론 광어의 생산구조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우리나라 광어 양식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산 광어 산업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일본으로의 수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수출대상국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수출 주력 양식품종의 전환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활어 중심의 수출을 더 이상 지양하여야 한다. 특히 일본의 광어 생산구조 변화는 앞으로 다른 수산물에서도 유사 사례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어 본 연구가 갖는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어린이집의 만 1세반과 만 2세반의 쌓기놀이 양상

        백은영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spects of block­play of 1 year old and 2 years old in day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the words that emerged from block­play were collected openly by teachers aged 1 and 2 in Gyeongsangnam­do. Collected words are sor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n categorized by word concep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ges is a coincidence or a difference reflecting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o understand the reasons or circumstanc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blocks between the two ages were due to physical development, safety, and integration of interest­center. Feeling­play and cleaning­play appeared only in 1 year old classroom because of safety and difficulty of arrangement. At age 1, birthdays were celebrated, and dramatization was frequent at 2 years of age. In both ages 1 and 2, friends and cooper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and value category, but were more prevalent at age 2. 1 year olds simply enjoy building block, while 2 year olds create various structures with expressions of imagination and experience. In the mathematical concept, comparisons by height were a favorite game for both ages. Especially, at the age of 2, mathematical activities such as patterns and cooperation were informally perfo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obtained for the differentiation and linkage between 1 and 2 years ol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 의해 지각된 만 1세반과 만 2세반의 쌓기놀이에 대한 양상을 비교하여, 두 영아의 연령 간 차이가 교사 및 원장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재직 중인 만 1세반과 만 2세반 교사들로부터 쌓기놀이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이 개방적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단어들은 유목화 및 범주화 되었고, 빈도와 백분율로 정리되었다. 그 결과 나타난 두 연령 간 차이에 대한 교육현장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충청남도ㆍ대전ㆍ세종에 소재한 11개의 어린이집에서 만 1세반, 만 2세반, 원장으로부터 추가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두 연령 간에 블록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신체발달, 안전, 영역의 통합에 의한 것이었다. 만 1세반에서만 촉감놀이와 정리놀이가 나타난 것은 안전과 정리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가상놀이 범주의 경우, 만 1세반에서는 생일축하가, 만 2세반에서는 극화 활동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 1세반과 만 2세반 모두 관계 및 가치 범주에서 친구와 협력이 나타났지만, 만 2세반에서 보다 우세한 내용이었다. 구성놀이 범주에서는 만 1세들은 단순히 쌓기를 즐기는 반면, 만 2세들의 경우 상상의 표현, 경험의 표현 등으로 다양한 구조물을 만드는 놀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 수학적 개념에서는 키만큼 쌓기 등이 두 연령대 모두 즐겨하는 놀이였으며, 특히 2세의 경우 패턴, 합체 등의 내용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만 1세와 만 2세 교육의 차별화와 연계를 위한 교사 재교육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

        백은영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gramming process of 6–year– old children in play using ScratchJr and find implications for the programming education for 6–year–old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our 6–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he M Center in D city. The activities was carried out once a week with 50-minute duration per session, eight times in total in the designated classroom of the M Center from July 3 until August 28, 2021.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onsite videotaping, the researcher’s study note, videotaping of individual activities using ScratchJr, and ScratchJr project outcome. The material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s: After putting togethering how the four children carry out programming in the onsite videotaping transcription, screen recording transcription and screen capture, and photo records of the project outcome in the order, the phases were separated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change was shown.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 children programmed their own project by intentionally designing with words and setting sequence in such programming phases as major function prediction and application, peers’ influence and coding, and thinking and express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nough time to explore by themselves, interactions with peers, and listening and questioning through which ideas can be created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for 6–year–old children are importa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을 탐구하 여 만 6세 아동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대전광역시 M센터에 재원 중인 만 6세 아동 4명이었다. 연구자료는 참여관찰과 면담의 방법으로 2021년 7월 3일부터 8월 28일까지 연구참여자들의 스 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 활동이 주 1회 50분씩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가 캠코더로 녹화한 현장 관찰 기록, 연구참여자별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 과정 이 기록된 태블릿PC의 화면 녹화본, 개별 스크래치주니어 프로젝트에 자동 저장되 는 결과물의 사진 기록, 연구자의 연구노트 등이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의 전 사, 전사본의 반복적인 검토와 이해, 연구참여자 행위 변화 단계 구분, 단계별 전사 내용의 정리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은 주요기능의 예측 과 시도, 또래의 영향과 코딩, 계획과 순서의 표현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결론: 만 6세 아동은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주니어를 가지고 스스로 주요 기능을 탐구 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코딩을 이해하며 점차 의도를 가지고 설계 및 순서 정하기를 포함한 프로그래밍을 하였다. 이를 통해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가능성 을 확인하였고, 이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는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또래와의 상호작용, 아이디어를 창안할 수 있는 경청과 질문 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한 일 소재산업의 무역경쟁력 연구: 기술무역을 중심으로

        백은영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4

        Recently,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he export control of the core materials of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sectors in Korea, it is the time when the magnetism for the delayed materials industry of the Korean government is boil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il and intangible trade competitiveness of Sakai-day oil through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trade of core materials in Japan and the technical trade index of material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mmodity trade specialization index of the raw material industry among the three major countries (US, China, Japa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w material industry with the United States is somewhat superior, but for Japan and China, It is still showing the import specialization trend. Secondly, looking at the technical trade specialization index by industry with the four major countries shows that Japan (-0.96) and the UK (-1.00) are very weak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material industry.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formulate sustainable strategies and policies not only to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Japanese type of material industry, but also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 industry in terms of intangibles, that is, technology trade. 최근 일본정부가 한국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작하자, 한국 정부 의 소재산업에 대한 뒤늦은 자성이 들끓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형의 핵심 소재의 대일 무역 집중도와 함께 소재산업에 대한 기술무역특화지수를 통해 한ㆍ일간 유, 무형의 무역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산업의 상품무역특화지수를 주요3국(미, 중, 일)간 살펴보면, 미국과의 소재산업 경쟁력은 다소 우위를 보이고 있으나, 일본과 중국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교열위인 상태인 수입특화 경향을 보이 고 있다. 둘째, 주요 4개국과의 산업별 기술무역특화지수를 살펴보면 소재산업에서 일본(-0.96), 영국 (-1.00)에 기술경쟁력이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일본에 대한 유형의 소재산업의 경쟁력 약화뿐만 아니라 무형, 즉 기술무역 측면에서의 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기업의 지속가능한 전략 및 정부의 정책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서 살펴본 보육공공성

        백은영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2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공공성의 관점에서 각 시기별 보육정책 변천과정을 살펴보아 향후 보육공공성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육공공성 시행기(1961~1991)에는 민간어린이집 법인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었고, 새마을유아원 관련 정책에서 현재 유․보통합의 새 모델인 ‘5세 누리과정’시행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보육공공성 확장기(1991~2004)에는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재정지원과 관련하여 보육공공성의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었다. 보육공공성 강화기(2004~현재)에는 영유아보육법 전면개정이후 보육의 공공성을 위한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재정지원이 이루어진 상황에서 구체적인 공공성 실현 방안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