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 타당성 연구

        백수진,김진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Delphi surve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ontents structure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that can systemize functional living skill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urrent environment as well as in future environments. Method: The study conducted out a Delphi survey of 25 experts in these fields. Delphi survey tools were developed and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the ecological curriculum as well as the responses of the experts. Results: Validated criteria(average, standard deviation, positive response, CVR, degree of consens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were met. And the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was also validated by the Delphi survey process. The final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comprised four ecological environmental areas and 14 sub-area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areas, 67 content elements, and 218 activity skills. Conclusion: The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can be fully used for developing an effective ecological curriculum that can provid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systematic instructions during their school years, through which students can enhance their capabilities for future independent lives in the ecological context and environm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이 현재와 앞으로 살아가야 할 미래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체계화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생태학적 교육과정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협의 결과를 근거로 델파이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 관련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델파이 조사 절차를 통해 대영역 4개, 중영역 14개, 내용요소 67개, 활동기술 218개로 구성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델파이 타당성 검증을 위한 판단 기준(평균, 표준편차, 긍정응답, CVR, 합의도)을 모두 충족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에게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독립생활 역량을 높이는 종합적인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적인 내용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지적 및 발달 장애학생에게 독립적인 성인생활을 위한 연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특수교육의 효과를 질적으로 높이는 한 가지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친절한 청소년은 왜 행복한가? : 친절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백수진,임영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were 324 Korean students with an age range of 10–13 year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Kindness Questionnaire,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Child.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s from teacher and par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친절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친절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등을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324명(남 168, 여 156)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중 매개모 형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부모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친절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높은 친절성 수준은 부모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 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의 도입과 과제: 정책단계별 해결⋅미해결 과제를 중심으로

        백수진,안상권,임용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 정책은 2017년 국가 수준의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의 도입 과정을 살펴본 후에 국가 및 교육청, 그리고 학교 수준에서 해결해야 할 향후 추진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자료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관련 기본계획, 공문, 신문기사 등을 대상으로하였다. 먼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 관련 정책의 주요 추진 내용을 분석하고, 정책의 ‘형성’, ‘산출’, ‘집행’, ‘평가’ 단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의료적 지원의 해결 과제와 미해결 과제를 추출한 후에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 도입 과정의 각 단계별 주요 추진 내용은 총 42개가 도출되었다. 주요 추진 내용을살펴보면, 정책형성이 19개(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책산출 13개(31.0%), 정책집행 7개(16.7%), 정책평가 3개(7.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료적 지원의 해결과 미해결 과제를 분류한 후에 도출한 향후 과제는①법 개정 ②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③관계부처 및 기관 간 협업 ④예산 확대와 지속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적 지원을 위해 학교 수준의 의료적 지원시범 운영 기반의 법 개정 필요, 국가 및 교육청 수준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추진, 관계부처 및 기관의 장애공감 및 협업 의지 고양, 관련 심층 연구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내용영역 및 구성요소 분석

        백수진,김진호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3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nctional life skills needed to live independently in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work,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brings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develop the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successfully to their present and future lives in various ecological settings. Therefore they have to learned integrated knowledge and functional life skills at school for their present and future independent lives. In this regard, the need for the systematic ecological curriculum and education is becoming more prevalent in accorda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s for the living skills required to enhance the independent living capac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various ecolog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nd systematize common curriculum area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by analyzing ecological life areas and functional life skill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ecological curriculum field at home and abroad over the last 30 years. To this end, a total of 45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4 large areas, 11 sub-areas and 143 content elements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were finally derived that will be the key systems and elements for organizing an effective and comprehensive ecological curriculum. With these results, the content systems and standards c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as and content elements, needed for successful and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could also be used as useful resources to develop specific details of the national ecological curriculum.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에게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직장 등과 같은 생태학적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활기술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특수교육의 효과 제고와 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특히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현재와 미래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자립생활에 있다면 이들을 위한 교육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곧 자신의 현재와 미래의 삶과 연계되어 실제적인 자립생활 역량으로 나타날 수 있는 통합적 교육 접근이 요구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역량을 높이는 데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생태학적 환경에 따라 체계화한 생태학적 교육과정(ecological curriculum)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30년간 국내외 생태학적 교육과정 관련 45편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태학적 생활영역과 기능적 생활기술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구성하는 데 핵심체계가 되는 대영역 4개, 중영역 11개, 내용요소 143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독립생활에 필요한 생태학적 환경 중심의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범주화하고 구성요소별 기능적 생활기술을 구조화할 수 있는 내용체계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앞으로 생태학적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분석

        백수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3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메타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추어 특수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들이 인식한 장애학생의 AI 교육에 대한 대표 메타포와 특성, 특수교사에게 AI 교육에 대한 대표 메타포와 특성을 연구 문제로 정하고 5개의 광역시와 4개의 도(道)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은유적 표현과 그 의미를 산출하였다. 104개의 메타포를 분석하여 연구문제 1에 따라 그 의미가 유사한 용어로 재분류하여 44개의 대표 메타포로 축소·분류하였고, 4가지 관점과 7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무한한 가능성을 끌어낼 미래교육’, ‘미래사회의 필수교육’, ‘사회와 연결짓는 소통의 도구’, ‘편의를 위한 개별 맞춤 교육’, ‘함께 있으면 즐거운 친구 같은 존재’, ‘어렵고 힘든 도전’, ‘일장일단(一長一短)의 양면성을 가진 도구’로 범주화 하였다. 연구문제 2에 따라 42개의 대표 메타포로 축소·분류하였고, 3가지 관점과 6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새롭고 이로운 교육방법’, ‘필요할 때 도움을 주는 맞춤 보조교사’, ‘필요하고 중요한 미래교육’, ‘도전해야 할 과제’, ‘동전의 양면’, ‘아직은 시기상조’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AI 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분야에서 보다 성공적인 디지털교육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eeping with the digital age. A total of 104 metaphors were analyzed and reclassified into terms with similar meaning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y were then reduced and classified into 44 representative metaphors, which were then further organized into four perspectives and seven theme. ‘Future education that will bring out infinite possibilities,’ ‘Essential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ools of communication to connect with society,’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convenience,’ ‘A friend who is fun to be with,’ ‘Difficult and difficult challenges,’ and ‘tool with both pros and con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2, it was reduced and classified into 42 representative metaphors and composed of three perspectives and six themes: ‘new and beneficial educational methods,’ ‘customized assistant teachers who provide help when needed,’ ‘necessary and important future education,’ ‘tasks to be challenged,’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it is still too early.’ Through this study, specia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more successful digital educatio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 예비 특수교사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인식 조사

        백수진,안성우,이주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학교교육은 성장·발달하는 인간이 주체성 있게 한 사회에 적응해 나가도록 하 는 중요한 매체이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획일화 된 가르침에 의한 표준화된 교육 으로 학습자의 자율적 개별 욕구가 중심이 되는 사회교육 즉 평생교육과는 다르 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평생에 걸쳐 배움을 계속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 라 평생교육은 학교교육과 더불어 교육의 양대 부분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체가 되고 있다.

      • KCI우수등재

        호텔직원의 직급에 따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조직침묵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백수진,강재완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서울시내 특1급 호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침묵의 영향관계와 직급 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호텔산업에 있어서 효율적인 경영성과 및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이들 중 총 5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호텔의 내부마케팅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고, 직급 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침묵을 구성하는 체념적 침묵, 방어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급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침묵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직원의 조직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해주는 것으로, 호텔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을 제거해야 하고, 직급에 따라 차별적인 인적자원관리를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와 호텔의 경쟁력 향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an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the subsequent organizational silence of Super-Deluxe hotel employees. 500 responses were taken and analyzed from Super-Deluxe hotel employees while applying a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and a moderating effect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four sub-factors which were organizational silence, acquiescent silence, defensive silence and prosocial silence. Second, employee rank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subsequent organizational silence thus supporting the research hypothesis.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a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increases the organizational silence of employees throughout the hotels studied. It is suggested that hotels should eliminate abusive supervision and better manage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department and ra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