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배려와 나눔 실천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연구

        백민경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1

        This study develops a scale to measure the practice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by adolescents. This data as an o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in regards to items generated from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preliminary study stage based on the consideration scal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fact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0.0 2 indicated the final fators. The three fanal factors designated by the measuring items are: ‘practice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recognition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and ‘self-recogn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individual variables, this study foun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in self-recognition, recognition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practice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and total personality score.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act as valid tool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practice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한국무용수들의 몰입경험과 참여동기, 수행만족의 관계

        백민경 한국무용연구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1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a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immersion criterion of long formality into the situation of Korean dancing and to develop the criterion of short formality based on the criterion of verified validation. The second is to verify its relations by predicting that there would be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dancing and the immersion of dancing situation of Korean dancing situation. Hence, the questionnaire of the immersion state developed by Jackson & Marsh (1996) has been adapted. After this questionnaire has been adapted to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translation procedure to fit the dancing situation, the translated questions has been reviewed and modified by professors of sport psychology, doctors of sport psychology and professors of Korean dancing. FSS comprises all 36 questions of 9 factors. The item analysis (th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the skewness and the kurtosis, etc.)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argeting 528 students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n dance major. The measurement model has been verified by perform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heck the suitability of model in the structure of factor appeared in these results. The suitability of 7 factors (the clear objective,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the balance of challenge and technology, the integration of behavior and consciousness, the autot experience, the concrete feedback, the sense of control) out of 36 questions of 9 factors developed by Jackson & Marsh (1996). 2 factors (the concentration on the task, the deformation of time sense) no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root and the suitability index have been eliminated in the course of analysis, finally the structural validity of 27 questions have been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short immersion criterion(each question has been selected by the criteria of standardized value size of factor loading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7 immersion factors forming the criterion of long formality) based on the long immersion criterion verified like this has been carried out. But, the suitability of immersion criterion of short formality has not been verified.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among the immersion criterion of long formality of suitability identifi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validati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dance, the satisfaction of dance, the sub factor of dance immersion and the satisfaction of dance all expressed the plus(+) correlation and expressed the meaningful result statistically(p<.05). 본 연구는 긴 형식의 몰입척도를 한국무용상황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고 그 척도를 바탕으로 짧은 형식의 척도를 개발하여 한국무용수들의 몰입 경험과 참여동기, 수행만족의 관계성을 검증하는데 최종목적이 있다. 이에 Jackson & Marsh (1996)이 개발한 몰입상태 질문지를 번안하여 한국무용상황에 적합하도록 국문으로 번안한 후 스포츠 심리학과 교수, 스포츠 심리학 박사 및 한국무용 교수에게 번역된 문항을 검수 받아 수정 하였다. FSS는 9개요인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한국무용전공 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서 나타난 요인구조의 모델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Jackson & Marsh (1996)가 개발한 9개요인 36문항 중 7개 요인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분석과정에서 고유치와 적합도 지수가 적절하지 않은 2개요인(과제에대한 집중, 시간감각의 변형)은 탈락되었으며, 최종 27문항의 구조적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검증되어진 긴 몰입척도를 바탕으로 짧은 몰입 척도(각 문항은 긴 형식 척도를 구성하는 7개 몰입 요인들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표준화된 요인적재값의 크기를 기준으로 선별) 개발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짧은 형식의 몰입척도의 적합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타당화 검증을 통해 적합도가 확인 된 긴 형식의 몰입척도와 참여동기, 수행만족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무용몰입의 하위요인과 무용만족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 KCI등재

        연마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표면특성 평가

        백민경,김종철,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resins polished with two different polishing methods. 30 disk-shaped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microhybrid (FiltekTM Z250) and nanofilled (FiltekTM Z350) resins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t polished as controls, polished by an abrasive disk (Soflex), and polished by a polishing brush (Occlubrush). Surface roughness was increased after polishing. In terms of micro-rough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lishing methods. But macro-roughness values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Occlubrush group (p < 0.05). In the Sof-lex group, the matrix and fillers were polished together, resulting into a smoother and homogeneous surface. However, in the Occlubrush group, the matrix layer was torn off, with more heterogeneous surfaces and large scratches. In regards to micro-hardn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polishing systems (p > 0.05). And the hardness value increased about 25% after polishing. In conclusion, the method of polishing should be chosen deliberately in view of the hardness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resins. Sof-lex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polished resins.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microhybrid 레진(FiltekTM Z250)과 nanofill 레진(FiltekTM Z350)을 연마 전, abrasive disk(Sof-lex) 연마 후, polishing brush(Occlubrush) 연마 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레진 표면조도는 연마 후 증가하였는데, 미세조도는 연마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거시조도는 Occlubrush를이용한 경우 현저하게 커졌다(p < 0.05). Sof-lex 연마의 경우 레진의 filler까지 연마되어 표면이 보다 균일한 형상을 보였으나 Occlubrush 연마시편은 기질층이 뜯겨져 나간 불균일한 형상을 보였다. 두 연마방법 간의 미세경도 유의차는 없었으며(p > 0.05), 연마 후 경도 값이 약 25% 상승하였다. 결론적으로, 복합레진의 표면경도 향상을 위하여 적합한 연마가 필요하며, Sof-lex를 이용한 연마가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무용전공 대학생의 동기분위기 지각과 성취목표성향, 무용열정의 관계

        백민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전공 대학생들이 무용시간에 경험하는 학습동기분위기 지각과 성취목표성향, 무용열정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306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성취목표성향의 수행-회피요인과 숙달분위기, 숙달-접근, 조화열정만이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간의 상관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숙달-접근요인과 무용열정의 하위요인 조화열정(.633)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회귀분석 결과 동기분위기 지각이 조화열정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목표성향은 숙달-접근요인만이 조화열정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었다. 강박열정의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동기분위기지각의 수행분위기 요인과 성취목표성향의 숙달-접근, 수행-접근, 수행-회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dance passio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Korean dance.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usable data from 306 students.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only among the performance-avoidance, the mastery climate, mastery-approach and the harmonious passion; except these factors, all fact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one another. The mastery-approach, a subfactor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harmonious passion, a subfactor of the dance passion showed the most highest correlations (.633).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is a good predictor of the harmonious passion, and only the mastery-approach factor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 the harmonious passion. Th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of the obsessive passion are performance climate under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the mastery - approach, performance - approach, and the performance - avoidance under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existing literature.

      • KCI등재

        중등 가정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

        백민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8년간 출제된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임용 상세화 기준’을 기본 잣대로 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년간 출제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 영역 12개 중 12개, 평가내용 요소 43개 중 42개가 출제되어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출제된 문항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8년간 출제된 각 영역은 가정과교육학 93회(32.7%), 가족생활 41회(14.4%), 소비생활 31회(11.3%), 식생활 43회(15.2%), 의생활 41회(14.4%), 주생활 34회(12.0%)로 교과내용학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8년간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별 평가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학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가족생활은 ‘인간발달 과정’, 소비생활은 ‘가계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와 ‘소비자 의사결정’, 식생활은 ‘조리원리 및 실습’과 ‘식생활 관리’, 의생활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주생활은 ‘주거생활 문화의 이해’ 등으로 출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 및 내용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균등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관점으로 질적인 문항 분석이 필요하겠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tem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 Placement Test(SSTPT) which was submitted for 8 years from 2009 to 2016 according to' detailed criteria of SSTP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ems which were covered for the last 8 yea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area, the evaluation content elements, and the questionnaires since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12 items of 12 evaluation areas and 42 of 43 evaluation contents. Second, each of the items in the 8-year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93 times (32.7%), dietary life 43 times (15.2%), family life 41 times (14.4%), clothing 41 times (14.4%), housing life 34 times (12.0%), consumer life 31 times (11.3%). This shows that there is not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curriculum subjects of the content education and the ratio of question items. Third, the content elements of evaluation categorized by frequency of questionnaires for 8 years are as follows.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mainly covers ʻthe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rning,ʼ Family life, ʻhuman development,ʼ Consumer life, ʻthe understanding of household economics and financial managementʼ and ʻconsumer decision making,ʼ Dietary life, ʻcooking principle and practiceʼ and ʻmanagement of dietary life,ʼ Clothing life, ʻclothing and household goods production,ʼ Housing life, ʻthe understanding if residential living.ʼ Based on these results, all the areas set in the evaluation area and content should be treated equally, and qualitative item analysis is necessary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 입시 방향 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백민경,백광호,이제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college admission that should be strengthened or reflected in universi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ntrance examination by identify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literature-science integrate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do so, in-depth interviews on the current state were executed to five curriculum expert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and adoption of clear admission types look into the inner side of high school life are necessary.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pecific criteria for student selection expand in-depth interview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rengthen evaluation competence of admission staffs and recruit more evaluation personnel.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valuate how many subjects, especially in career-related subjects, students have taken in order to expand the school record-focused system. For this, it is required to extract evaluation elements and criteria of universities that can grasp continuous and active role performance, and to design a typical design that can objectively judge the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the selection process that can revitalize public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election of the talents desired by the university will be used as a possible basic data.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에서 강화 혹은 반영해야 할 전형 유형에 대한 분석과 입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명의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운영 실태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고교 생활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전형 도입과 명료한 입학전형 설계가 필요하며, 학생 선발 지표의 구체적인 기준 마련, 학습 활동과 관련된 심층 면접 확대, 평가역량 강화, 평가인력 충원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학생부 종합 전형과 교과 전형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얼마나 다양한 과목, 진로에 적합한 과목들을 내실 있게 수강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속적이고 적극적 역할 수행을 파악할 수 있는 대학만의 평가요소 및 평가 기준을 추출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전형 설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입 전형 정착에 기여함과 동시에, 대학에서 원하는 인재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정교과의 인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백민경,왕석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how students and parents, who are the consumers of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who are the suppliers, recognize the home economics sub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goal of the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t is currently being applied in South Korea, in the year 2007. To do this, the survey on home economics recognition developed and utilized in prior researches was used as the basic data. The final version of 60 questions was made by adding questions made through steps. They include question quality factor verification through step1-interview, step2-draft questions, step3-preliminary research, and step4-substantiation research of four group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credibility is high in all factors. The final scale consists of 8 factors, when the explanatory power is 57.439%. This shows that home economics has been established as education for living and a practical subject. Nevertheless, it needs further improving to be recognized as a subject involving emphasis on healthy formation of family life and a subject of practical criticism. 이 연구는 가정교과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개방형 질문지조사,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사, 예비조사의 3단계를 거쳐 조정된 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4집단(중․고 학생, 학부모, 가정과교사, 교육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검증과 그 지수로서 Cramer의 V계수를 산출한 결과 총 57개 문항으로 수정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척도는 8개의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8개 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57.439%였다. 8개 요인은 ‘인간의 성숙과 사회적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실천적 교과’, ‘전 생애에 걸친 광범위한 교양을 쌓는 교양교과’,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를 주도하는 생활문화 교과’, ‘독자적인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구축과 적극적 홍보가 요구되는 교과’, ‘생활의 과학적 지식과 기본 능력을 길러주는 생활교과’, ‘실생활의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고 실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응용교과’, ‘사회적 편견으로 교육적 당위성에서 소외되고 있는 교과’, ‘행복한 삶의 설계에 기여하는 행복 디자인 교과’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이 가정교과에 대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타당한 잣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가정교과가 필수교과로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집단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도를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배려와 나눔 실천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

        백민경,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o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Home Economics subjec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consisting of 13-session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The unit was divided into two themes: Theme I caring through sharing and Theme II caring through practice. Six practice elements of caring and sharing such as communication, gratitude, courage, love, empathy, and environment drawn from Theme I are applied to Theme II. Various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he plan was applied to 8 classes, 287 freshmen of S highschool in Jeonju-si from March to May, 2014. Three factors were drawn from 35 character-related items: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caring and sharing, and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hese factors were related to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Two factors except self-perception improved through 13 lessons. Students evaluated that the whole caring and sharing practice lessons of Theme I and II gave them the chance to realize a actual practice in everyday life was important even with small efforts such as cooking for special family. Also students commented that the praising workbook was impressive. All 23 items of evaluation gained from over 3.5 to 4.2 on 5-point sca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would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본 연구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더욱 요구되는 인성을 갖춘 학습자 역량을 기르기 위해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평가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학습 과정안 테마 Ⅰ과 Ⅱ 개발, 학생 활동 및 결과물 평가, 사전・사후 설문지 평가 3부분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3차시분의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학습 과정안은 테마Ⅰ(나눔으로 통하는 배려)과 테마 Ⅱ(실천으로 통하는 배려)로 나누어, 테마 Ⅰ은 ‘건강한 가족문화’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총 5차시분을, 테마 Ⅱ는 ‘의식주 생활 속 배려와 나눔’ 단원을 중심으로 총 8차시분을 개발하였다. 둘째, 테마 Ⅰ에서 추출된 배려와 나눔 실천 요소(소통, 감사, 용기, 사랑, 공감, 환경)를 우리나라 가정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의 상황(맞벌이, 한부모, 다문화, 장애인, 3세대, 수험생 가족)에 맞게 테마 Ⅱ에 적용한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둠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가족과 이웃 그리고 환경을 고려한 배려와 나눔 실천 활동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셋째, 사전 검사로 실시한 청소년 인성 측정 문항의 요인 분석 결과 자아인식, 배려와 나눔 인식, 배려와 나눔 실천 3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의 가족관계 만족도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세 인성 변수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배려와 나눔 실천 수업 활동 결과,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적용되었고 배려심, 배려와 나눔 실천 능력 향상과 인성 함양에도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배려와 나눔 실천 수업을 통해 배려와 나눔 실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실천에 대해 더욱 관심 갖게 되었으며, 연구자 역시 배려와 나눔 실천 활동 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일상 생활에서도 배려와 나눔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는 내내 보람과 행복감을 느꼈다. 이에 따라 가정 교과가 인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적합한 교과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