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GI를 통해 살펴본 대학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참가자의 체험 연구

        백목원,서정혁,신희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1

        본고는 온라인 독서토론대회에 참가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 여, 독서토론대회 준비와 실행과정에서 겪은 일련의 교육적 체험을 질적 연구방 법으로 고찰하였다. 교육적 체험은 ‘직접 행함’과 교육적 ‘현존감(presence)’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으로 운영된 독서토론대회가 이 두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세 단계로 구분하여, 학생들이 ‘대회 준비 과정’에서 토론 주제 이해 및 자료 조사, 논술문 작성과 관련해 느낌 점을, ‘토론 실행 과정’에서 토론 실행과 토론방식, 팀원간 소통, 팀간 의사소통 의 측면을, ‘대회 이후 과정’에서는 개인적 성장과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평가 등 을 통해 독서토론대회에서 학생들의 체험 과정 전반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독서토론대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 내부자적인 시각으로 검토해 보았다. 둘째,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전반을 체험하며, 학생들 스스로가 직접 부딪치면서 배우고 성장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회운영자의 입장에서 학생들이 온라인 토론대회에서 겪는 경험을 세부적으로 확인 하면서, 온라인 독서토론대회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넷째, 온라인으로 독서토론대회 모든 과정이 운영되었다는 점에서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온라인 독서토론대회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In this study, FGI was con ducted on Un iversity studen ts to examin e educational experiences in an online reading debate. The experiences were based on ‘direct action’ and educational ‘presence’. The interview categorized the ‘competition preparation process’ into topic understanding, data research, and essay writing. The ‘debate execution process’ covered discussion methods, team communication, and personal growth. Students’ experiences were evaluated, explor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reading debate. The study’s implications are noteworthy. It offers insights into students’ experiences during debate competitions and their problem-solving approach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reading debate competitions showed learning and growth. By examining students’ experiences, improvements for online debate competitions were identified. This study explores students’ experiences in online reading debate competitions, emphasiz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연구

        백목원,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is thesis looked into actual convers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households with students attending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found out methods of their communication on daily life & school life(learning ability, homeworks, school events, and peership). Objects of this study were multi-cultural household mothers & children with the background of marriage immigration from Mongolia(advanced Korean learner), Thailand(midlevel Korean learner) and Vietnam(beginning Korean learner), whose household types(Barnes & Olson, FACES III) & mother-child communication methods(Barnes & Olson, PACI), and maternal upbringing attitudes(Schaefer, A Circumplex model) were investigated, and actual conversations between mothers & children were recorded, printed and interpreted(Gordon, P.E.T.) to find how the abov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conversations. Besides,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eir own opinions on mother-child conversation were investigated. Lastly,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family & school life were looked into. Through a multi-leve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mothers in multi-cultural households, factors influencing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 and relevance of these interactions between school lives. First, the communication aspect shows difference between mothers’ Korean communication skills, parenting attitudes, home atmospher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 and children's communi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depend on parenting philosophy.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versations, the mother-child interviews, teacher interviews, it was proven that a child's interaction with his/her mother has a very strong grip on his/her school life. Through survey, another conclusion was concluded that father's role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affects the satisfaction of domestic communication, could determine that this is also associated with children's school life.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의실제 대화를 분석하여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학업 능력, 숙제, 학교 행사, 교우관계)에 관한 의사소통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 숙련도 각각 고급, 중급, 초급의 몽골, 태국, 베트남 결혼 이주 배경의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이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을 둔 다문화 가정의 가족의 유형(Barnes & Olson, FACES III) 및 어머니-자녀의 의사소통 방식(Barnes & Olson, PACI),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 태도(Schaefer, A Circumplex model)에 대해 조사하고 어머니와 자녀간의 실제 대화 자료의 녹취, 전사를 통하여 위의 결과가 대화에 어떤 방식으로드러나는지 밝혔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대해서본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녀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다층적인 분석을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 자녀 간 대화의 양상과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과 자녀의 학교생활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양상은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차이, 양육 태도, 가정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의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양육 철학임이 드러났다. 셋째, 설문 조사, 실제대화 분석, 어머니-자녀 면담, 교사 면담을 통해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이 자녀의학교생활에 매우 높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를 통해 얻은 결론 외에 다문화 가정의 자녀와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가정 내 의사소통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이것이 자녀의 학교생활과도 연관 관계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백목원,신희선,서정혁,김지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대회의 교육적 효과를 점검하고,학생들의 인식을 수렴하여,비교과 활동의 하나인 온라인 독서토론대회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제1회,제2회 온라인 숙명독서토론대회 본선에 진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는 독서토론대회에 미친 대학 교양교육의 효과성,대회의 교육적 효과성과 독서토론 방식의 적절성,온라인 대회운영의 적절성과 효과성으로 진행되었다.이를 통해 온라인(ZOOM)에서 실시간 진행된 독서토론대회 전반에 걸쳐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독서토론대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토론과 글쓰기 교육이 활성화되고,교과 및 비교과의 연계가 필요하며,독서토론대회에 학생들의참가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주제와 지정 도서를 선정할 필요성과 온라인 공간에 청중들의 역할과 참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urvey of participants in the final round of the online reading debate contest to check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ntest, collect students’ perceptions, and revitalize the online reading debate contest, which is on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who advanced to the finals of the 1st and 2nd Online Sookmyung Reading Debate Competi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mpeti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ading discussion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competition operation. It was conducted with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Through this, students’ percep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out the reading discussion contest held in real time online (ZOOM)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sought. In order for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to be conducted more effectively, discussion and writing education must be activat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nnection between subject and non-curricular subjects is necessary, and there is a need to select appropriate topics and designated books to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Reading debate compet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n online space is necessary.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중적 인식 연구

        백목원,하명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objective, the present study designed questions based on Pierre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and observe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wo middle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Korean language. Those teachers interviewed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the questions which were later to be interpreted critically. Based up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bluebird 2.0” was to derive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data entry, coding, generated topic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showed that it superficially seemed that the teachers carried out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s equally as they did with ‘Korean culture-based students.’ In fact, however, the teachers used a double standard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the interviewing process. With the results of observ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teachers' problematic mind into the dimensions of ‘concealment’, ‘substance’, and ‘introspe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under conscious pressure that they have to treat every student on equal base. It was expressed into ‘the concealment of recognition’ which is an psychological orientation that the peculiar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should be generalized and they should not be discriminated from Korean culture-based students. However, they had such ‘conscious substance’ due to difference in appearance, acknowledgement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their families, circulation of the acquiescence and indifference of others, and their low achievement caused by their recogni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Furthermore, the teachers went through ‘introspection of one's recogni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looking back their background. This study revealed another aspect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알아보기 위해, Bourdieu의 문화(언어) 자본 이론에 기초한 문항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교 교사 3명, 중학교 교사(국어 담당) 2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 2.0’을 활용하여 자료 입력, 코딩, 주제 생성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교사는 표면적으로 ‘일반 학생과 동일시’라는 전제하에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의 과정에서 학생과의 동일시라는 전제가 은폐라는 점을 자각하고 실체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교사 인식의 은폐․실체․성찰로 범주화하여 해석하였다. 면담의 분석 결과 교사는 교육을 실행하는 주체로서 모든 학생들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는 의식적인 압력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특수성을 일반화하여 일반 학생들과 구별되어서는 안 된다는 동일성을 지향하는 ‘인식의 은폐’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인식의 근원에는 외모 차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환경 인정, 타자화․저성취에 대한 묵인․무관심의 순환과 같은 ‘인식의 실체’가 놓여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입장을 되돌아보는 경험을 통해 ‘인식의 성찰’ 과정을 거쳤다. 이로써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교사 인식의 이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어 수업 방안 연구

        백목원 ( Baik Mok-won ),권순희 ( Kwon Soo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4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되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교육 도구의 활용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논의가 모아지고 있다. 시대적 흐름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국어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프로그램을 탐색해 보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국어교육에서 ‘AI 소양 교육’과 ‘AI 활용 교육’이 모두 논의 되어야 하나 본고에서는 ‘AI 활용 교육’을 우선 논의한다. 첫째, 도서관 검색 AI를 활용한 독서 교육 방안으로 <도서관 정보나루> 빅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와 트렌드를 분석하여 최근 시의적 요구가 높은 독서 주제를 찾고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포털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육 방안으로 <네이버 데이터 랩>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쓰기 키워드 및 예상 독자를 탐색과 함께 비판적 문식성을 키울 수 있는 활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 크리드(KREAD) >의 독해 지수를 이용하여 독서 부진 학생을 발견하고 해당 연령에 맞는 적절한 독서 능력을 키울 수 있다. AI 교육이 교육 현장에 들어오기 시작한 때에 맞추어 국어교육에서도 본격적인 AI 활용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s online classes have been extended for a long time, interest in the use of educational tool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I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trends and demands of the times, and to discuss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 AI literacy education; education about AI > and < AI application education; education with AI > should be discussed. In this paper, < education with AI > is discussed. First, by analyzing the needs and trends of library users using ‘Library Information Naru’ big data, it is possible to find reading topics with learners demands and develop reading programs. Second, you can use ‘Naver Data Lab’ to search for writing keywords and prospective readers on the online platform. Third, by using ‘KREAD’, it is possible to find students with poor reading through reading comprehension index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ading ability for their 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specific plans for full-scale AI-us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at AI education began to enter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양상

        백목원(Mok-won Baik),권순희(Soon-hee Kw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면담 자료에 나타난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사의 체화된 정체성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중등학교 교사 3명의 면담과 교실 수업 담화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Tan et al.(2013)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기준과 Gee(2000)의 본성적 정체성, 친화적 정체성, 제도적 정체성을 하위 분석틀로 삼았다. 분석 결과 P교사는 ‘제도적 정체성을 위해 본성적 정체성 변형형’, R교사는 ‘제도적 정체성 인식형’, H교사는 ‘친화적 정체성에서 문화 지체 현상 발현형’으로 드러났다. P교사와 R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일치형으로, H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불일치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교사에 의해 말해진 정체성과 교사의 ‘행위’로 드러난 정체성의 관계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analyzing the Narrative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and class discourses of three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criteria and the Nature-identity, Institution-identity, and Affinity-identity were used as sub-analytical frame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eacher P was a ‘transformation of nature-identity to institution-identity’, teacher R was ‘institution-identity recognition type’, and teacher H was ‘a type of cultural retardation from affinity-identity’. Teacher P and teacher R were analyzed as a type of coincidence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and teacher H was analyzed as a type of mismatch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The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told by the teacher and the identity revealed as the teacher’s ‘act’.

      • KCI등재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발표 불안 인식 차이와 원인 분석

        백목원(Bailk, Mok-won),류선옥(Ryu, Sun-ok),권순희(Kwon, Soon-hee)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80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면 수업에서의 발표와 비대면 수업에서의 발표에 대한 불안 정도를 조사하고, 발표불안의원인을 분석하였다. 고등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대면 및 비대면 발표 불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결과 23문항중 18문항에서 비대면 발표 시 불안도가 대면 발표 시 불안도보다 유의미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설문 참여자 중 5명을 선정하여, 발표의 경험과 대면·비대면 발표에서 느끼는 불안감의 차이를 심층면담 하였다. 인과 구조 분석 결과 비대면 발표에서 불안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청중 인식, 변화된 발표 장면, 기기 기반 발표의 특수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고 인식한 대면 및 비대면 발표에서의 불안의 원인을 심도 깊게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nxiety about presentation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was investigat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auses of presentation anxie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esentation anxiety among 203 high school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nxiety level during non-face 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ace-to-face presentation in 18 of 23 questions. Five people from the survey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depth about the experience of present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esentations. As a result of causal structure analysis, audience perception, changed presentation scene, and specificity of device-based presentation were derived as factors that lower anxiety in non-face-to-face presen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rew implications by in-depth analysis of the causes of anxiety in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face-to-face classes experienced and recognized by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국내‧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백목원(Baik Mok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고는 국내 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하여 중학생의 상호 문화 인식 고취를 목적으로 한다. 그간 독서 교육을 통한 다문화 인식 개선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 었으나 그 제재로 다문화 관련 소설을 선정하는 경우가 많아 기존의 편견이 재생산될 여지가 있다. 이런 독서 제재를 벗어나 인류 문화의 뿌리를 알 수 있는 국내 외 전래 동화를 선택하여 그 이야기 속에 면면히 흐르는 인류 공통의 가치와 원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런 독서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문화를 성찰하고 기저 유사성의 원리에서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호 문화 인식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을 대상 으로 하여 국내 외 전래 동화 독서 활동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활동안을 고안하였으며 실제 수업을 실시하여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다문화 인식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인지/정의/행동’ 중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전래 동화를 활용한 독서 활동이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nter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reading activities with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reading education, but prejudices are being reproduced since multicultural related novels a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common values and prototypes of human beings in the story by choosing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s that present the roots of human culture through these limited reading subjects. Through this reading activity, they can reflect on their own culture and cultivate intercultural awareness to accept other cultures from the principle of underlying similar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 intercultural education activity was planned through Korean and foreign traditional fairy tale reading activities and actual classes were conducted to verify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multicultural awareness test showed significance found in behavioral areas among the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domain. It confirms that reading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

        고등학교 3학년 국어 수업에 나타난 특권화 양상 분석

        백목원(Baik, Mok-won),권순희(Kwon, Soon-hee) 국어교육학회 2017 국어교육연구 Vol.63 No.-

        This study conducted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classes for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Wertsch’s theory, which linked Bakhtin’s concept of voice to speech genres and privileging. After dividing classroom 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to categories of voice and privileging and examining them,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 had a voice of a student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a voice of a parent, and a voice of an ordinary person in addition to a voice of a teacher. Such various voices were not polyphonic as Bakhtin insists, rather they turned out to be monophonic voices that were privileged to a specific speech genre so that teacher could establish rules for students and add values to students’ utterance with an identity as someone that is supposed to educate students preparing for a college entrance exam. As for students, they were found to have a voice of a student preparing for a college entrance exam, a voice of a teacher and a voice of a parent. These voices reinforced their identity as a student prepping for college, and, when in a place where only a specific speech was privileged, the students tended to accept a speech genre that was widely used in the classroom.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eacher should change their view on teaching. Second, students need to increase their critical awareness of speaking appropriately to a certain situation, or conventional speech, and improve meta-cognition for listening and speaking when exposed to a new speech. Finally,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privileging, which could promote peopl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horizont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that puts a high value on individual ident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