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영토 갈등사례의 독도 시사점 분석 -도전국의 영유권 주장 포기 및 영토반환 사례 조사를 중심으로-

        배진수,김동욱,강성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3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cases of territorial sovereignty restoration by plundering (occupying) nations who ceded or returned their ruling territories occupied during colonial period or by war to plundered nations. Through these cases, this research could give insights as to how to promote international discourse to advise Japan who irrationally claims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to give it up as well a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factors to induce Japan to renounce its irrational claims over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policy implications with which we will be able to persuade disseisors such as Japan to renounce their absurd territorial claims by examining which factors or influences played in the cases of plundering nations' return or cession of their occupied territories. This study analysed factors and backgrounds for plundering nations' cession of their territorial sovereignty or return of their plundered territories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economic factors, political factors, and diplomatic/security factors out of 19 cases of territorial conflicts selected through thorough examinations of similar cases from all over the world covering Asia, America, Europe, Middle East and Africa. Through this research, diplomatic & security factors were found having effect on many cases and in particular, the case of Jubentud Island dispute between the USA and Cuba draws our attention in that the USA as a disseisor returned its plundered territory by its national resolve. As a result, this research presents significant implications toward disseisor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Japan maintaining irrational territorial claims. 본 연구에서는 식민시대 또는 전쟁점령 등에 의해 영토를 침탈(점령)한 국가들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함으로써 침탈당한 국가에게 원래의 영토주권을 되돌려 준 사례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 관련하여 억지 주장을 해 온 일본의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담론을 주도하는 한편 일본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침탈한 국가들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주거나 아니면 억지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경우 어떤 계기로 어떤 요인이 작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독도의 경우처럼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해 온 일본과 같은 침탈국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아시아, 중남미, 유럽, 구미 등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유사 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20개의 영토갈등 사례들을 추출하였으며, 영유권 주장의 포기 및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요인 내지 배경을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및 외교안보적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많은 사례들이 외교안보적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미국-쿠바 간 후벤투드 도서영유권 사례 등 침탈한 국가의 국가적 결단에 의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사례들도 일부 도출됨으로써 일본 등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하는 침탈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 KCI등재
      •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반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 추세 예측

        배진수,김성범 대한산업공학회 202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11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는 2020년 9월 24일 기준 국내 23,341명 확진자와 사망자 393명을 발생시켰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명 피해를 끼치고 있다. 만약 코로나 신규 확진자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대비책을 두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은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 추세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개의 모델을 결합해 하나의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앙상블(ensemble)계열의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와 그레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사용을 제안하였으며, 시계열 데이터 예측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인 장기-단기 기억 신경망(long short-term memory model)를 함께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집단 감염으로 인한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와 감소하는 추세 예측에 장기-단기 기억 신경망 모델이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산발적으로 확진자가 발생하는 시기에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과 그레디언트 부스팅 모델이 효과적인 예측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자 추세 예측을 최초로 시도한 연구로, 제안 방법론을 통해 향후 코로나 신규 확진자 추세를 예측하고 인명 피해를 줄이는 대비책 마련에 이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심한 상열감으로 인한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의 한의 치료 1례: 증례보고

        배진수,장에스더,김보성,안선주,김경옥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22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33 No.1

        Objective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atient with insomnia from severe hot flashes. Methods: The patient suffered from extreme hot flashes for months. Symptoms were so severe that the patient attempted suicide. After starting psychiatric medication, symptoms persisted and hospitalization began. During hospitalization,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psychotherapy were conducted. For evaluating therapeutical effect,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was performed twice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t was divided into major facial area and back area. The facial area was divided into two small units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wo points. The back area was measured in the same way. Result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ints decreased over time and th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reduced.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herapy can improve symptoms of patients with insomnia accompanied by hot flashes.

      • KCI등재후보

        G20 국가의 한국관련 바른인식 제고 과제:교과서 한국서술, 독도영유권, 국제개발협력(MDGs) 이슈를 중심으로

        배진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국가안보와 전략 Vol.10 No.2

        G-20 Seoul Summit will definitely allows us to promote a ‘Korea Brand’ to all over the world.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three issues as wonl oful tools for promoting a ‘Korea Brand’ and correcting distorted unl o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towall Korea: (1) description of Korea in the textbooks of G20 countries, (2) G20’s exhe , (2) or involv of K in tountries todall Korea:(Dokdo sovereignty of Korea, and (3) UN Millenium Development Goals(MDGs)and development issue of G-20 Seoul Summit. These three issues are found to be a relatively untouched realm in the previous a number of studaes concerning G20.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of the textbooks in foreign countries,the genenal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regarding “Korea” are as follows: (1) The portion of Korea section itself is relatively limited, (2) Still more, even in case of describing “Korea,” its portion is only allowed to be described within the main section of China and Japan. One of the most serious obstacles is the severe distortions of history provoked by Japan and China in the region of Northeast Asia. On the contray, the textbooks of France and Turkey as G20 members are found to be the most posive toward Korea. The four types of distortions regarding “Korea” in the textbooks of foreign countries concerns ‘facts’, ‘interpretations of history’ ‘statistics’and ‘naming of geography’ such as “East Sea”(true) vs. “Sea of Japan”(false). Since the territorial issues are somewhat controversial among the disputed countries, it is overwhelmingly important to persuade the third parties in the world convincingly. Regarding Dokdo sovereignty,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territorial issues and colonial history from each of the foreign countries need to be considered and a respective promotion of Dokdo sovereignty could be developed to be transferred to each member country of G20. For those G20 countries which have experiences in Island sovereignty disputes as well as colonial history, such as Argentina, India,Indonesia, and South Africa, it might be more persuasive to stress the colonial history of Korea in order to make them understand the real history of Dokdo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by Japan. UN Millenium Development Goals(MDGs) as the worldwide project of development was initiated in 2000, while Korea as a host country in coming G-20Seoul Summit in November 2010 also proposed “a development gap” as a main agenda. Hence, UN MDGs and G-20 Seoul Summit needs to be linked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issues” for promoting more effectively “Korea Brand” as a unique country having experience in successful achievement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기존의 G20 관련 연구들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국제갈등과 국제협력의세 가지 주요 이슈, 즉 ‘역사왜곡’과 ‘영토이슈’ 및 ‘국제개발협력’ 이슈를 중심으로 G20국가들의 한국관련 바른인식 제고 과제와 국가브랜드 제고 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역사왜곡’ 관련하여 G20 국가 교과서의 한국관련 서술 성향을 분석하였고,‘영토이슈’ 관련하여 G20 국가들의 ‘독도 관련성 여부’와 ‘도서분쟁 경험여부’ 및 ‘(피)식민국 경험여부’ 등을 고려한 G20 국가별 맞춤형 독도영유권 홍보전략을 도출해 보았다. ‘국제개발협력’ 이슈 관련해서는 G20 정상회의의 ‘개발’ 이슈와 유엔 밀레니엄개발목표(MDGs)의 개발협력을 연계한 국가브랜드 제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덧붙여,향후 G20 정상회의가 안보 이슈로 확대될 가능성에도 대비하여 국제개발 이슈와 국제안보 이슈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서도 간략히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