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ika deer의 paratuberculosis 자연발생예에 관한 병리학적 관찰

        배종희,진영화,Bae, Jong-hee,Jean, Young-hwa 대한수의학회 1993 大韓獸醫學會誌 Vol.33 No.4

        A male sika deer, 3 years old, which had the clinical history of chronic watery diarrhea with severe emaciation for 4 months was submitted and euthanized. On necropsy, there was diffuse mucosal hypertrophy of gastrointestinal tract with thickened intestinal walls and swollen mesenteric lymph nodes. In histologic lesions. diffuse proliferation of epithelioid cells are present in the laminar propria, submucosa muscle layer and subserosa of most gastroinlestinal organs except omasum. These epithelioid cells are also present in the cortex and medulla of meseriteric lymph nodes and in the portal triads of liver. Most these epithelioid cells contain acid-fast positive bacilli using Ziehl-Neelsen staining in the cytoplasm. Based on the clinical signs, gross findings and histological lesions, this deer was diagnosed as paratuberculosis. The wide range of target organs and the severity of the lesions observed in this case is quite different comparing to those of other ruminant.

      • KCI등재

        예비교사의 눈으로 작은 학교 체육수업 바라보기

        배종희(Bae, J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이 연구는 예비교사가 작은 학교의 체육수업에서 보는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것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D교육대학교의 농어촌 실습에참여한 3학년 학생 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실습에 참여한 3학년 학생 60여명의 수업일지를 문서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명의 연구참여자와 개별 및 전자우편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문서 및 면담자료는 텍스트 파일로변환된 후 NVivo 10.0 프로그램을 활용한 귀납적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 과, 체육수업 환경, 체육수업의 실제, 체육 수업자, 작은 학교를 위한 배려 등 4가지의 주제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환경에서는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 체육자료실, 학교체육복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체육수업의 실제는 규칙변형과 교사참여, 학 년성 없는 경쟁활동, 합동체육에 관한 것이었다. 체육 수업자는 체육전담교사, 다른교과에 보직교사를 겸하는 체육전담교사, 무용 및 스포츠 강사에 관한 것이며, 작은학교를 위한 배려로 업무의 경감과 교원의 확충, 다양한 체육자료 및 작은 학교 학 생들이 모일 수 있는 환경을 들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은 학교를 위한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체육 수업을 위해서 모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img which pre-service teachers saw, thought, and felt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ed of five pre-service teachers (3 male, 2 female) who has participated educational practice in rural elementary school. Teaching practice diaries of 60 pre-teachers were collected by documentation. Based on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ormation with NVivo 10.0 program. Results indicated the four theme including physicl education environment , actual physical education , PE teahers , caring for a small school . Physicl education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physical education places , physical resources , uniforms for PE . Actual physical education included rule changes and teacher participation’, ‘competitive activity without grade , joint PE . PE teacher were specialist teacher of PE , PE and director teacher , dance and sports instructor . Caring for a small school were relief work and teachers expansion , a variety of physical education resources ,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gather . Based on these findings, we need to develop PE textbook or teacher instuctions for small Elementary school and to propose a policy that many students in other small school can meet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남자 아동의 Rohrer 지수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배종희(Jong Hee Bae),김명신(Myung Shin Kim),김기학(Ki Hack Kim) 한국발육발달학회 2009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distinguished by Rohrer Index in elementary school boys. Fifty-one, 10 to 11 year old elementary school boy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ll participants took a pre test about 8 physical fitness items before experiment. 51 stu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RI, and one program was applied to group A, B and another program was applied to group C. The exercise programs were applied for 40 minutes a day for 3 days a week, which lasted for 12 weeks. The results were conducted by ANCOVA of SPSS 12.0 for Window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uscular strength of group A, B was improved by 8.3%(+1.4 k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disappeare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coordination of group C was improved by 6.5%(-27.8sec), 40.5%(+33.3 cm)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disappeared.

      • KCI등재

        초등 체육에서 스포츠 영화를 활용한 경쟁 활동 수업하기

        배종희(Bae J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수업에서 스포츠 영화를 교수전략으로 적용한 필드형 경쟁활동 수업이 학생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 하여 필드초등학교(가명)의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 지 연구자가 경쟁활동 수업을 주2회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학생들의 모습을 직접 참여관찰하였으며, 스포츠 영화를 감상한 후 학습지를 수집하고 5명(남:3, 여:2) 의 연구참여자(주요제보자)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을 바탕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료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NVivo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 였다. 연구결과, ‘명대사 명장면’, ‘웃고 우는 감정들’, ‘귀머거리가 아니라 청각장애인입 니다’의 3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명대사 명장면’은 학생들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많이 기억하는 감동의 장면에 관한 것으로 ‘한번만 도와주세요’와, ‘미안하다 아니다 내가 미 안하다’ 그리고 ‘야 ! 멋있다’를 들 수 있었다. ‘웃고 우는 감정들’은 영화를 보면서 느낀 학생들의 다양한 감정에 관한 것으로, 신뢰감과 하나가 됨, 공감과 긍정적 사고, 자신 감 등을 포함한 ‘힘나는 감정’과 슬픔, 위로, 희생, 속임수, 답답함 등의 ‘차분한 감정’으 로 주제를 묶을 수 있었다. ‘귀머거리가 아니라 청각장애인입니다’는 장애인에 관한 올 바른 이해에 관한 것으로 장애는 틀림이 아닌 ‘다름’이며 그들의 투지와 노력은 비장애 인과 다르지 않고 ‘같음’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체육수업에 간접체험 활동인 스포츠 영화를 적용했을 때 다양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meaning of field-type sports including sport movie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ought field-type competitive activity to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ice a week for the April 2014-October 2014. Participants consisted of five students (3 male, 2 female).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a direct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worksheet after watching sport movi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ormation with NVivo 10.0 program. Results indicated the three theme including Good speech, Good scene’, ‘Laughing and crying emotion’, ‘They are not deaf as a doorpost but deaf . Good speech, Good scene’ relates to the scene of the most impressive students remember watching the sport movie. That was divided into once HELP’, ‘I am sorry, I am sorry more’, ‘ Hey! cool’. ‘Laughing and crying emotion’ relates to the various emotions which students felt after watching the movie. That included ‘powerful emotion’ such as reliance, empathy, positive thinking and ‘Calm emotions’ such as comport, sacrifice, sorrow. ‘They are not deaf as a doorpost but deaf relates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ivided into ’Equal’ and ‘Different’.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een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hen apply a sport movie by indirect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각과 방해요소

        배종희(Jong Hee Bae),이영현(Young Hyun Lee),이안수(An Su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의 전환에 따른 대학 신입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신체활동참여를 방해하는 요소에 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B구에 소재한 K대학교 D캠퍼스에 재학하는 학생 중, 전환기의 신체활동 감소에 동의하고 신체활동량 점수가 가장 낮은 남학생 12명, 여학생 12명 합 24명의 학생을 선별하여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주제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가 표현하고 있는 주제를 적절한 순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교 신입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각은 스트레스 해소, 자신감 형성, 인간관계망 형성의 긍정적 지각과 심리적 부담감, 비용적 부담감, 열등감 형성의 부정적 지각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신입생들이 느끼는 신체활동 방해요소는 크게 개인, 대인 관계, 사회·공동체, 시설·환경과 같은 4가지 요소로 나타났다. 먼저 개인적 방해요소로는 바쁜 대학생활로 인한 인지된 시간의 부족과 운동에 대한 지식 부족 등이 높게 나타났다. 대인 관계적 방해요소는 고등학교처럼 함께 어울려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친구들의 부재와 가정에서 부모의 신체활동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공동체적 방해요소는 잦은 학과 모임과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만 하는 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문화가 방해요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설·환경적 요소는 캠퍼스 한쪽에 치우쳐 있는 체육시설물의 위치와 다양한 신체활동의 홍보 부족과 매혹적인 대학 문화와 같은 것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부족한 대학교 신입생들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요인 분석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해요소들에 대한 극복방안에 대해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barrier to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4 students(male: 12, female: 12) who agreed about physical activity decline and had low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nd performed group meeting. Each group had structured-meeting for 40~50 minutes. We analyzed subject according to suitable order that data senses by subject analysis, which is one of qualitative analyses. As a result, first, perception about physical activity for freshmen students seemed positive way as relieving stress, formation of confid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but also negative way as psychological burden, cost-bearing and sense of inferiority. Second, physical activity barrier that freshmen feels classified into four: individual and personal relationship, social community and facility environment. As individual barriers, lack of perceived time by busy university life and lack of knowledge about workout were crucial factors. As personal barriers, absent of friends that play with similar in high school and shortage of parents physical activity at family were significant. As social community barriers, vital factors were frequent meeting at college and university culture that freshmen should attend actively. At the last, facility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at being one-sided gym facilities in campus, promotion deficiency and attractive university culture. All things taken together, after transition into university from high school, physical activities are declined by many factors. Not only studying about factors that decline freshmen`s physical activity, but also plan for conquest these barriers should be studied to promote freshmen`s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