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 정상인과 위험인자군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다기관 역학연구

        배장호,승기배,정해억,김기영,유기동,김철민,조성욱,조상균,김영권,이무용,조명찬,김기석,진승원,이종민,김기식,현대우,조윤경,성인환,정진옥,박순창,정준용,우정택,고관표,이상욱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thickness (CCA IMT), and its correlation with several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the 10 year coronary heartdisease (10 Yr CHD) risk in both healthy and hyperlipidemic hypertensive (HH) Koreans. Subjects andMethods:This was a multi-centered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27healthy subjects without risk 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age (mean 49 years old, 114 males), and 243 HHsubjects (mean 51 years old, 120 males). The carotid IMT and presence of plaques were semi automaticallymeasured in both carotid arteries at a central reading facility. Results: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all the subjectsrevealed that the independent factors of both CCA IMT were age, pulse pressure (PP) and HDL-cholesterol,and that of the right CCA IMT were sex and 10 Yr CHD risk. In healthy subjects, the independent factor of bothCCA IMTs was age, and that of the right CCA IMT was body weight. In the HH subjects, age, sex, total cholesterol,HDL-cholesterol and PP were independent factors of both CCA IMTs, but 10 Yr CHD risk was an independentfactor of only the right CCA IMT. Carotid plaques were seen in 17% of the healthy subjects and 35% of the HHsubjects. An ROC curve analysis showed a right CCA IMT of 0.646 mm and left CCA IMT of 0.656 mmdemonstrated 60%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fferentiating healthy from HH subjects. Conclusion:Thisresult reliably demonstrates the Korean CCA IMT, as well as several other significant pieces of information 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건강인과 위험인자군(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평가하고, 10년내 관상동맥 질환 위험도를 포함한 임상 인자들과 내중막두께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방 법:본 연구는 전향적 다기관 역학 연구로, 연령을 제외한 위험 인자가 없는 227명의 건강인군(평균 49세, 남성 114명)과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혈중을 가지는 243명의 위험 인자군(평균 51세, 남성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경동맥 경화반 유무는 중심 연구 기관에서 반자동적으로 측정하도록 하였다. 결 과: 다변수 분석 결과 전체 피험자에서 연령, 맥압,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양측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에서 독립적영향 인자였고, 우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있어서는 성별과 10년내 관상동맥 질환 위험도가 독립적 영향 인자였다. 건강인인 경우 연령은 양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 모두에서 독립적 영향 인자였고, 우측인 경우 체중도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험 인자군인 경우 연령, 성별,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맥압이 양측 모두에서 독립적 영향 인자였고, 우측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인 경우에는 10년내 관상동맥 질환이 생길 위험도도 독립적영향인자였다. 경동맥 동맥 경화반은 건강인인 경우 17%에서 관찰되었고, 위험 인자군인 경우 35%에서 존재하였다.건강인군과 위험 인자군을 구분하기 위한 좌우측 총경동맥내중막 두께는 각각 0.656 mm와 0.646 mm에서 약 60%정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교적 신뢰성 있는 대한민국의 총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측정치와 이의 의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KCI등재

        Drug-Eluting Stent Strut Fracture as a Cause of Restenosis

        배장호,현대우,김기영,윤현주,Sunao Nakamura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10

        We report a case of in-stent restenosis due to the fracture of a sirolimus-eluting stent, which was confirmed byintravascular ultrasound. It can be suggested that a stent fracture is an important cause of restenosis in this era ofdrug-eluting stents.

      • KCI등재

        외상성 흉요추접합부 파열골절의 전측방경유법에 의한 신경감압 및 기구고정술

        배장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3 No.2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외과에서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1년간 흉요추접합부 파열골절로 입원한 환자중 전측방경유법으로 10례를 수술로 치료경험하였던바, 척추골절이 척수원추 상부이면서 전방의 골편에 의해 척수신경이 압박되고 있는 불안정 파열골절시는 전방도달술에 의한 늑골 골융합 및 Kaneda기기내고정술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고, 척수후주의 심한 손상이나 또는 3column을 전체가 손상된 불안정 파열골절의 경우에는 후방접근법이나 후측방접근법으로 신경감압 및 내고정술 시행하는것이 좋은 치료법이라 할 수 있겠다. Ten patients with a thoracolumbar spine fractures were treated with Kaneda internal fixation device through anterolateral approach during last 1 year. In all cases, spinal decompression, internal instrument fixation and bone fusion with rib were performed. No patient showed neurological deterioration after surgery and 6(60%) patients improved postoperatively with entering the next Frankel subgroup. Follwo-up patient evaluation showed the correction of the fracture deformity with good bony fusion, but 3 patient are remained back pain.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anterolateral internal fixation combined with bone fusion using rib was good mechanical stability and decompression of protruding ventral bone fragments above conus medullaris level.

      • KCI등재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생체내 관상동맥 경화반 조직 소견: 심혈관 초음파 연구

        배장호,권택근,김기홍,현대우,김기영,김동식 대한심장학회 2007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7 No.9

        Background and Objectives:Rupture-prone plaque, characterized by a large necrotic core, thin fibrous cap and larg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from several autopsy and animal studies. We sought to assess in-vivo lesion characteristics of culprit lesions in patients with ACS. Subjects and Methods:One hundred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60.4 years, 70 male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analyzed for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radiofrequency information using IVUS-virtual histology (VH) software. Results:Patients with ACS (n=44, mean 59.7 years, 34 males) had a low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45.5% vs. 67.9%, p=0.024), higher level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0.36±0.36 mg/dL vs. 0.22±0.27, p=0.043), longer lesion length (22.6±8.6 mm vs. 19.3±6.9 mm, p=0.036), and more plaque rupture (63.6% vs. 10.7%, p<0.001) than those without ACS (mean 61.0 years 36 males). The lesion analysis, at a minimal luminal area, revealed that patients with ACS had a larger plaque area (12.5±5.8 mm2 vs. 10.3±4.8 mm2, p=0.043) and necrotic core (1.7±1.4mm2 vs. 1.1±0.9 mm2, p=0.013) than those patients without ACS. Volumetric analysis over the lesion length showed that patients with ACS had larger plaque volume (9.9±4.0 mm3/mm vs. 8.3±3.4 mm3/mm, p=0.031) and necrotic core volume (1.3±1.0 mm3/mm vs. 0.8±0.6 mm3/mm, p=0.002) than those without ACS. The necrotic core volume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ACS (β=0.662, p=0.041) by the IVUS-VH findings. Conclu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verall necrotic core volume, not the necrotic core area at the minimal luminal area, i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ACS. (Korean Circulation J 2007;37:437-442) 배경 및 목적:급성 관동맥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고위험 경화반은 내부 괴사 조직이 크고 경화반을 둘러 싸는 섬유막이 얇으며 염증 세포가 많다는 것이 부검 연구 등을 통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원인 병변의 조직 소견을 생체내에서 분석해 보는데 있다.방 법:관상동맥 중재술과 Virtual Histology(VH)-혈관내 초음파를 시행받은 100명의 비선택적 연속적인 환자를(평균 60.4세, 남자 70명) 대상으로 하였다. VH-혈관내 초음파는 심혈관 무선 초음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관상동맥 경화반의 조직 소견을 네가지로(섬유, 지방 섬유, 괴사, 석회화 부위) 분류하여 정보를 제공해 준다. 결 과: 급성 관동맥 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 (n=44, 평균 59.7세, 남자 34명) 안정형 협심증 환자보다(평균 61.0세, 남자 36명) 고혈압의 빈도는 낮았고(45.5% vs 67.9%, p=0.024)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은 높았다(0.36±0.36 mg/dL vs 0.22±0.27 mg/dL, p=0.043). 심혈관 초음파 검사상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병변 길이가 길었고(22.6±8.6 mm vs 19.3±6.9 mm, p=0.036) 경화반 파열이 흔하였다(63.6% vs 10.7%, p<0.001). 협착 부위가 가장 심한 부위 분석에서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경화반 면적과(12.5±5.8 mm2 vs 10.3±4.8 mm2, p=0.043) 괴사 부위의 면적이(1.7±1.4 mm2 vs 1.1±0.9 mm2, p=0.013) 안정형 협심증 환자보다 컸다. 병변 전체의 부피 분석에서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안정형 협심증 환자보다 경화반 부피가 크고(9.9±4.0 mm3/mm vs 8.3±3.4 mm3/mm, p=0.031) 괴사 조직 부피도 컸다(1.3±1.0 mm3/mm vs 0.8±0.6 mm3/mm, p=0.002). 병변 전체에서의 괴사 조직 부피는 급성 관동맥 증후군과 독립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β=0.662, p=0.041).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협착이 심한 부위의 조직 소견보다는 병변 전체에서의 조직 소견, 특히 괴사 조직의 부피가 급성 관동맥 증후군의 임상 양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외상성 흉요추접합부 파열골절의 전측방경유법에 의한 신경강압 및 기구고정술

        배장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3 No.2

        Ten patients with a thoracolumbar spine fractures were treated with Kaneda internal fixation device through anterolateral approach during last 1 year. In all cases, spinal decompression, internal instrument fixation and bone fusion with rib were performed. No patient showed neurological deterioration after surgery and 6(60%) patients improved postoperatively with entering the next Frankel subgroup. Follwo-up patient evaluation showed the correction of the fracture deformity with good bony fusion, but 3 patient are remained back pain.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anterolateral internal fixation combined.with bone fusion using rib was good mechanical stability and decompression of protruding ventral bone fragments above conus medullaris level

      • SCIESCOPUS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Galen정맥의 진성 뇌동맥류 기형 : Case Report

        배장호,고삼규,김오룡,김선용,지용철,최병연,조수호 대한신경외과학회 199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9 No.6

        A 27-year-old male was suffered from seizure due to Galenic aneurysmal malformation which was mainly fed by thalamoperforating circumferential(P2) and posterior cerebral artery(P4) and drained through basal vein of Rosenthal because of agenesis of straight sinus. The aneurysmal dilatation was successfully extirpated by excision of feeding arteries and draining veins including inferior sagittal sinus and straight sinus. We report a case of true aneurysmal malformation of vein of Gal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