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현대 독서물로서 춘추좌씨전 읽기 방법 연구

        배수찬 개신어문학회 2009 개신어문연구 Vol.0 No.29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frame of 『Zuo-chuan(左傳)』 and conclud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contemporary reader, because it takes chronological form. And I trie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Zuo-chuan(左傳)』in terms of characters in the text and make it contemporary reader. I think it is very useful to read 『Zuo-chuan(左傳)』as a source of east-Asian classical culture. Regarding the enormous quantity of 『Zuo-chuan(左傳)』, Chapter 2(the presentation of the whole structure) and Chapter 3(the abstraction of person’s story) are not sufficient to cover the total feature of the 『Zuo-chuan(左傳)』.To rearrange the contents of 『Zuo-chuan(左傳)』according to the accustomed standard is needed, and other period and people in that which this thesis couldn’t cover must be treated in the viewpoint of importance of story.

      • KCI등재후보

        고전문학에 나타난 인물의 생애 원형(原形) 연구-『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을 중심으로-

        배수찬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0 No.-

        In this thesis, I found some basic elements which determine the destiny of person in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especially in 『Zuo-chuan(左傳)』. The life of Wèi xuāngōng(衛宣公) and Xuān jiāng(宣姜) can be understood as a conflict between desire and ethics, but the conclusion is the wonderful victory of the desire. Wèi xuāngōng(衛宣公) is a monster who rob a woman of his own son and made her got with child. Moreover, he killed his former child who was the Crown prince to make his latest child a new Crown prince. Xuān jiāng(宣姜) came from foreign country by wedding, but she didn’t stop his evil behavior and followed him under the name of maternal affection. And she got into the sexual intercourse with the son of his husband―but not his child―after his husband’s death. Zhōu xū(州吁) and Qí xiānggōng(齊襄公) make us consider the desire of power and its boundary. The life of Zhōu xū(州吁) shows that a person who only believes in his own power and admires the militaries may cause formidable result. The historic immorality between Qí xiānggōng(齊襄公) and Wén jiāng(文姜) proves that the connection of desire on sex and power can make a person dreadful monster. Zhèng zhāogōng(鄭昭公) hū(忽) was born as the Crown prince of a King and he was a modest man. But he died miserably because of the lack of politcal background. But his right action was generalized as ethics, and it helped to avoid the side effect of this world. I could find some archetypical powers such as desire, power, conscience which works into the important joints of human life, and we may be shocked by the difference of the networks of human relation of that period. I will arrange the life of major character of 『Zuo-chuan(左傳)』 type by type according to this principle, and draw a formula of human life to make a program which can be used as value education based on the essence of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이 연구를 통해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유형적 요소들 몇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위선공(衛宣公)과 선강(宣姜)의 삶은 욕망과 윤리의 대립으로 이해될 수 있겠는데, 결론은 윤리에 대한 욕망의 경이적인 승리로 끝을 맺는다. 위선공은 며느리될 여자를 빼앗아 아이를 낳고 그 아이를 위해 전처의 자식까지 죽이는 괴수(怪獸)이다. 선강(宣姜)은 외국으로 시집온 주제에 위선공(衛宣公)의 그러한 행위를 제지하지 않고 모성애(母性愛)라는 이름으로 부화뇌동하였고, 남편 위선공(衛宣公)이 죽은 뒤에는 ‘남편자식’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적(性的)으로 쓸쓸하지 않게 중년을 보냈다. 현대 사회에 이러한 인물 유형이 있다면 존속살해의 악질 간통사범일 터인데, {좌전(左傳)}에서는 이들이 투옥되었다거나 처벌을 받았다는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이들은 ‘굵고 길게’ 살았고, 그 시대는 그런 것들이 용납된 듯하다. 주우(州吁)와 제양공(齊襄公)의 삶은 우리로 하여금 권력욕과 그 한도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이들은 비교적 젊은 시절 최고의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으나, 인과응보(因果應報)로 인해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 윤리는 작동하지 않을지언정 인과응보가 이들을 응징한다는 점에서, 위선공(衛宣公)과 선강(宣姜)의 모습에 비해 받아들이기 조금 덜 거북하다. 주우(州吁)의 삶은 자기의 힘과 권력만을 믿고 무술(武術)만을 숭상하며 세상에 다른 사람과 다른 생각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자가 권력을 잡았을 때 어떠한 결과가 생길 수 있는지 절절하게 보여준다. 그나마 주우(州吁)에게 죄가 적다면 너무 일찍 죽었다는 점, 그래서 그런지 성욕(性慾)과 관련된 악행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양공(齊襄公)은 크게 대조적인데, 그와 여동생 문강(文姜)의 세계사적 불륜은 성욕(性慾)과 권력욕(權力慾)의 결합이 인간을 어떻게 괴수로 만드는가, 그로 인한 참혹한 결과는 무엇인가를 실증하고 있다. 정소공(鄭昭公) 홀(忽)은 이 논문에서 검토한 다섯 인물에 한정해서 말한다면, 현대인의 시점에서 볼 때 가장 ‘정신 바른 인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문명이 인간에게 교육하는 염치와 품위를 가졌으나, 세파(世波)를 이기지 못하고 희생된 불우한 젊은이였다. 그는 과연 짧고 가늘게 살았다. 애당초 ‘짧고 굵게 산다’는 둥 ‘가늘고 길게’ 산다는 둥 하는 삶의 길이와 밀도를 논하는 오늘날의 설명틀은 현대인의 장수에 대한 소망과 욕망의 비교가 낳은 괴이한 시각이다. 씨알이 먹힐지 모르겠으나 거기에 한 가지를 추가한다면, ‘바르게’를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정소공은 국군의 태자로 났고 성품도 올바른 청년이었으나 권력의 뒷받침을 받지 못하여 비참한 죽음을 당하였다. 우리는 그를 추모하기 위해 ‘짧고 가늘게’ 살았다고 말할 것이 아니라 ‘짧고 바르고 가늘게’ 살았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한 가지 그를 위해 위안거리를 찾자면, 그의 ‘바름’이라는 행실이 후일 ‘윤리’라는 것으로 개념화되었고, 그것이 질곡으로 작용할지언정 인간에게 그것이 없는 세상의 부작용을 막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욕망·권력·양심 등 인간 삶의 중요한 마디에 작용하는 원형적 힘들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는 당대의 인간을 파악하는 관계망들의 차이로 인해 우리에게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부 ...

      • KCI등재

        조선 후기 인성론(人性論) 논쟁의 이해 방식에 대한 연구 : 윤리학적 관심과 과학적 관심의 대립을 중심으로

        배수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이 글은 해석학적 전제를 의식하면서 조선 후기 인성론(人性論) 논쟁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인성론을 정치 편향적인 관점에서만 보거나 자구(字句)의 동이(同異) 여부로만 판단하는 것은 '이론상의 진전'이 아닌 '단순한 변화'를 실제 진전으로 오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글의 문면이 아니라 당대인의 사유에 내재된 인식 관심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래야 단순한 자구의 옮김이 아닌 '완전 번역', 즉 언어 저편에 있는 실존적 체험의 옮김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인성론 논쟁에서 이간은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같다고 주장했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이간이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 다른 지점이 있다는 것을 몰랐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그 부분이 윤리적인 수양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강조하지 않은 것이다. 즉 '인간이 어떻게 하면 윤리적으로 될 수 있는가'하는 그의 인식 관심이 그의 주장을 이끌어내었다. 한원진도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같은 지점을 전적으로 부정한 것이 아니다. 한원진은 자연 세계 속에서 인간의 물질적 지위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했고, 그 결과 인성(人性)과 물성(物性) 사이에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홍대용의 인식 관심은 구체적인 감각적 지각을 통해 얻은 지식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그래서 기존의 용어로 전개되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관해서는 어느 편에도 서지 않았다. 그는 '성(性)'이란 용어의 엄밀한 성리학적용법을 고집하지 않았다. 그가 주장한 것은 '사람과 동물은 서로 자기 편에서 볼 수 있고, 그런 점에서 동등하다'는 것이었다. 오늘날 기일원론자(氣一元論者)로 이해되는 임성주는 전통적인 용어 맥락에서 자연 세계의 구성과 운용 질서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에 관심이 있었다. 이때 전통적인 용어 맥락이란 성리학이 아니라 장재의 기(氣) 철학이다. 그는 '리(理)'의 개념은 거부했지만 널리 쓰이는 성(性)이라는 용어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것을 기(氣)를 기준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기본 전제를 벗어났다는 점이 인정된다. 그러나 장재의 기철학이 지닌 근본적인 한계, 즉 선(善)하지 않은 현실에서 순선(純善)한 형이상학적 원리를 무리하게 도출해 내는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궁극적으로 '성(性)'이라는 용어를 성리학적 맥락에서 받아들이는가 아닌가가 인성론과 관련된 논란의 큰 구별점이다 이간, 한원진, 임성주는 성(性)을 의미 있는 용어로 보았고, 홍대용은 그렇지 않았다. 임성주는 다시 성(性)을 '기(氣)의 덕(德)'이라고 규정하는 파격을 보였다. 이간은 윤리학적 관점에서, 한원진은 언어 분석의 관점에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같고 다른 점을 서로 다르게 규정했다. 홍대용은 기존의 용어 맥락을 사실상 무시하고 인(人)과 물(物)이 그 물질적 가치면에서 '균등(均)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러나 논의의 중심에 선 네 사람은 어느 누구도 '인(人)'이나 '물(物)'의 내질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들어가지 않았다. 이는 이들 모두가 인간에 대한 조선 후기의 공통된 인식 지평 속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thesis aims to interpret the debate about the human Nature of late Chosun. dynasty concerning the hermeneutic premise. I tried to grasp he essence of the cognitive interest which resides in the thought of the people who lived that historical period. Only then we can achieve the complete interpretation, transferring the existential experience beyond lingual expression. Yi hi didn't insist that the human Nature is the same as the animal Nature but he just didn't emphasize the different point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because that pint cannot be a help of ethical self-cultivation. In other words, it is his cognitive interest-how can human be ethically complete?- that made his peculiar opinion. Han Wo˘njin also didn't completely deny the same point of human Nature as animal Nature. He just wanted to understand the material position of human inside the natural world. So he laid stress on the pint of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His cognitive interest lies in brightening the natural fact, not ethical point. Hong Daeyong's cognitive interest is to accentuate the knowledge which was obtained by the sensible perception. So he didn't side with one part of the debate about the human Nature which had been unfolded by the already-established terminology. He didn't like to restrict the word 'Nature(性)' within a rigid usage. He only insisted that human and animal are of the same rank, because human or animal can see each other at one's own position. Im So˘ngju, who is now understood as a Ki philosopher, was cognitively interested in clarifying the order of the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a natural world with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terminology. In this case, traditional context means not the Neo-Confucianism(性理學) but the Ki philosophy of Jang Jae(張載, 1020-1077). Im So˘ngju rejected the conception of Li(理), but he also cannot deny the contents of the terminology 'Nature(性)' But we can approve that he freed himself from the basic proposition of the Neo-confucianism because he explained the Nature according to Ki. But he also couldn't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inducing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complete goodness in the 'not-good' reality.

      • KCI등재

        서양문헌 한국어 번역의 내력과 과제

        배수찬 한국수사학회 2015 수사학 Vol.0 No.24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short, but dynamic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into the Korean language. Here "literature" means, not only literary texts, but also a comprehensive group of texts including philosophy, history etc.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twentieh century, had been progressing toward a modern language, it has continued to bear some defects for functioning as "an effectively translated language from other Western ones." This problem has not yet been clearly settled. So the conditions for an accurate and articulate translation into the Korean language are more difficult than those in other Western languages. To be a competent Korean translator of texts written in Western languages I think, a very rare and essential ability is required. What is this special ability? When Western texts are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it sometimes happens that Korean vocabulary or grammar is not able to fully capture the full conceptual depth and complexity of the original texts. Yet it is also imperative that translations must be produced, so many active Korean translators are venturing to transform some parts of the contents or sentence forms of original Western texts, in order to make them more approachable to average Korean readers. The result of these attempts cannot entirely be blamed as “distortions”, because such attempts may be, according to the context, inevitable regard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which could be summarized as "a comparative lack of available vocabulary" and "heterogeneity of Korean grammar and sentence structure compared with Western languages". As a result, the above mentioned essential ability of Korean translators of Western texts is that, he or she should be able to demonstrate a fluency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properly reflects the ideas or material affairs that Western texts are presenting. So the task of Korean translations may be called now, in some sense, not only a linguistic phenomenon, but also a pioneering of the possibilities in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s expressiveness. Ideal Korean translators should be fighters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representing things and ideas in the Korean language. When this ideal is able to be realized, then the remaining duties will be (1) challeng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Western thoughts and worlds, and (2) setting a place for an intellectual confrontation with Westerners, in both cas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is directly linked with a consensus on to what extent the quality of the Korean language must be enhanced, as a language for serious literature. 한국의 서양문헌 번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지만, 나름대로 매우 다이나믹한 과정을 거쳤다고 볼 수 있다. 길지 않은 만큼 언어들 간의 교섭이 급격했고, 언어 사이의 이질성이 그 과정을 더욱 복잡화했다. 이제 좋은 번역의 조건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보자. (1) 해당 서양어 문헌에 대한 정확한 독해력, (2) 서양어 문헌이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풍부한 지식, (3) 서양어 문헌이 말하고 있는 내용을 가장 적실하게 반영하는 한국어 어휘와 문장구조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 이제 뜻있는 이들은 (1)과 (2)의 중요성 및 불가분리성을 깨달아 가고 있는 듯 보인다. 이제 가장 필요한 것은 (3)인데, 이는 역설적으로, “한국어 속에서 외국어성”을 발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외국어성을 발명해 내는 과업이어야 하는 만큼, 단순히 소수의 한국어 연구자들에게만 맡겨 둘 문제는 아니다. 사실을 냉정하게 보면 현대 한국어는 아직까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한 허약한 언어다. 어원사전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근대문학이 형성되기 시작한 20세기에 국한해서 보더라도, 믿고 인용할 만한 정본 텍스트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심지어 국어국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조차 그러한 정본 텍스트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황민문학자로 타락했을지언정, 최재서가 “조선어는 골칫거리(고민의 종자)”라고 고백했던 것은, 차라리 솔직하다고 칭찬해 주고 싶은 심정이다. 번역가는 자각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이러한 “못난 한국어”를 단단하게 하고, 그 폭을 넓히고, 표현가능성을 확장하는 투쟁의 최전선에 몰려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가난한 철학도들인데, 어찌 보면 한국어를 모국어로 타고난 탓에 철학연구의 본업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짐을 짊어진 셈이다. 한국어가 진정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사유를 하는 언어가 될 수 있다면,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 한국어를 가꾸는 것이 번역의 임무라면, 번역을 지금과 같이 개별적인 학자들의 과업으로 방치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원문을 장악할 수 있는 어학력과 문화배경에 대한 지식, 이를 풀어낼 수 있는 유려한 한국어 문장력이 가능한 사람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현 상황이 서양문헌 번역가로 하여금 예술가에 준하는 초인적 능력을 요구하는 셈이다. 이러한 조건을 갖춘 번역가들이 본격적으로 활약하는 미래를 설계해 본다면, 다음 시대 번역의 과제는 서양문헌이 보여주는 사유와 세계에 대한 도전, 지적 대결의 장소를 한국어라는 장에서 마련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한국어를 어디까지 쓸 것인가, 한국어의 질적 수준을 어디까지 높일 것인가에 대한 합의와 관련돼 있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국어교육’의 식민지 근대성 연구 서설 - ≪보통학교 국어독본≫을 중심으로

        배수찬 한국언어문화학회 2009 한국언어문화 Vol.0 No.39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internal moment of emerging modern Kokugo(國語)-Education in East Asia, and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situation of Kokugo-Education in Japan,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t to the Kokugo-Education in the colonialized Korea in the half of 20th Century. Strictly speaking, by comparing two Kokugo-Educations I tried to enlighten the real aspec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name of Kokugo-Education in the colonialized Korea. This paper is not more than an entrance of such a long-term study.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Hutsuugakkou Kokugo- Tokuhon(普通學校國語讀本), so in the next stage, I wish to compare the other Kokugo-Education text of different period and find out the aspect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one including the concern on the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group life, the other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on Chosun Peninsula as compared with the Japanese mainland, and of exploiting the colonialized Chosun province and inspir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I wish the next paper concrete and precise.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internal moment of emerging modern Kokugo(國語)-Education in East Asia, and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situation of Kokugo-Education in Japan,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t to the Kokugo-Education in the colonialized Korea in the half of 20th Century. Strictly speaking, by comparing two Kokugo-Educations I tried to enlighten the real aspec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he name of Kokugo-Education in the colonialized Korea. This paper is not more than an entrance of such a long-term study.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Hutsuugakkou Kokugo- Tokuhon(普通學校國語讀本), so in the next stage, I wish to compare the other Kokugo-Education text of different period and find out the aspect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one including the concern on the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group life, the other including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on Chosun Peninsula as compared with the Japanese mainland, and of exploiting the colonialized Chosun province and inspir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I wish the next paper concrete and precise.

      • KCI등재후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평형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수찬,김근조,윤홍일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 2001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lancing training effect on weight bearing ratio and postural sway on the unstable surface for the CVA patients with balance disability. The inclusion criteria were walking independently 20m distances. Eighteen subjects, 4 with right and 14 with left hemiplegic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ange of age was from 35 to 75 and the duration from onset time was from 1 to 38 months.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balancing training that they were introduced for 10 minutes every other day during 12 weeks to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to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balancing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showed that the postural sway of left/right distribution would appear more effective on sitting with eyes opened. 2. The balancing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showed that the postural sway of forward/rear distribution, left/right distribution and distance would appear more effective on standing with eyes opened. 3. The balancing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would increase more effective on the weight-bearing ratio of left/right difference and frequency. 4. The balancing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on the postural sway of left/right distribution and area in experimental group, and it was statistical significant on the postural sway of forward/rear distribution, left/right distribution and distance in control group,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