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엉덩관절 안쪽돌림 조절을 위한 비탄력 테이핑 방법이 엉덩관절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배송의,정주현,문동철,Song-Ui Bae,Ju-Hyeon Jung,Dong-Chul Moo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23 PNF and Movement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non-elastic taping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hip joint rotation on internal and external hip rotator muscle activity in healthy people. Methods: In this study, 18 healthy volunteer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he small knee bending (SKB) test.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test following two methods (using non-elastic taping and not using taping). Muscle activation during the two methods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evice. Surface EM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gluteus medius, gluteus maximus, and tensor fasciae femoris muscles while performing the SKB test with and without non-elastic taping. Results: Muscle activity in the gluteus maximus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SKB test with non-elastic taping than during the conventional SKB test with taping (p < 0.05). Tensor fasciae latae muscle activity was lower during the SKB test with non-elastic taping than during the conventional SKB test (p < 0.05).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on-elastic taping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hip joint rotation effectively activates the hip's external rotator muscles and minimizes unwanted internal rotator muscle use during the SKB test. Therefore, the non-elastic taping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hip joint rotation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ose who cannot control the internal rotation of their hips.

      • KCI등재

        홍경천의 항산화ㆍ항발암 효과 연구

        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홍경천을 시료로 하여 추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였다. 4종의 암세포주인 HeLa, MCF-7, HT-29 및 HepG2를 이용하여 암세포성장억제실험을 한 결과 홍경천의 ethylether층인 RSMEE에서는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암세포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시료 최고첨가농도인 500 ㎍/mL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MCF-7 세포주에서도 비슷한 결과였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홍경천의 QR 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hexane층인 RSMH에서는 시료 최종첨가농도인 200 ㎍/mL에서 3.5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한방에서 여러 가지 약용으로 쓰이는 홍경천은 ethylether층 즉 TSMEE에서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제일 컸고,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활성은 hexane층인 RSMH이 제일 높았으며 RSMEE층은 그 다음으로 효과가 있었다. 홍경천의 항산화효과는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Vit. C의 효과와 비슷하였으며 200 ㎍/mL의 홍경천 첨가시 첨가전보다 암세포수 감소와 더불어 형태학적으로 괴사가 일어나기 시작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여러 실험결과에 의하면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애용되어 온 홍경천은 암예방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력도 매우 좋은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odiola sachalinensis (RS). Hexane (RSMH), ethylether (RSMEE), ethylacetate (RSMEA), butanol (RSMB), aqueous (RSMA) frac- tions and methanol extract (RSM)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effects using 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on HepG2, HeLa, MCF-7 and HT-29 cells.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RSMEE was most significant when tested on MCF-7 and HepG2 cell lines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L which resulted about 84% and 90% on MCF-7 and HepG2 cells, respectively. The quinone reductase (QR)-inducing activity of RSMH on HepG2 cells was 3.5 times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200 ㎍/mL.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SM, RSMEE, RSMEA and RSMB showed about 80% of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which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vitamin C as a control.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of shrinking and the blebbing of HepG2 cancer cell membran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RSMEE.

      • SCOPUSKCI등재

        DPPC Liposome에 미치는 고들빼기 추출물의 DSC 연구

        배송자(Song-Ja Bae),김남홍(Nam-Hong Kim),노승배(Sung-Bae Roh),정복미(Bok-Mi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세포막의 유동성이 막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성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첨가물을 가함으로써 인지질 이중층(liposome)의 물리ㆍ화학적 성질이 변화에 따라 막 유동성에 미치는 고들빼기 첨가물의 영향을 열시차 열량 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인지질 liposome에 미치는 고들빼기 첨가물의 유동성 증가 여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DSC 법에 의한 고들빼기 hexane 추출물과 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경향은 DPPC 단독 liposome의 경우 상전이온도에서 아주 뾰족한 thermogram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것은 결정 상태의 인지질이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액상 결정 상태가 되면서 생긴 상전이 과정으로서 고들빼기 추출물 및 분획물을 농도별로 가하였을 때, 그 정도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전이온도는 서서히 저하되고, thermogram은 넓게 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ΔHcal의 변화가 일어나고 고들빼기 추출물 및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ΔHcal가 저하되었으며 ΔH_(VH)/ΔHcal의 비가 감소되어 협동단위의 저하가 일어나므로써 고들빼기 hexane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막유동성 증가를 비교 검토 할 수 있었다. Liposomes have been widely employed as biomembrane-mimetic system and drug-delivery system. In these applications, the low stability of liposomes has been the most serious problem. They have relatively short half-lives and are easily lysed through interactions with biological compon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fluidity of phospholipid liposomes. We used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DPPC) liposomes which make most stable liposomes among the other phosphatidylcholines. The thermograms of the DPPC liposomal bilayers incorporated with the hexane extract of godulbaegi(Ixeris sonchifolia H.) were obtained, and the enthalpy changes and the sizes of cooperative unit of the transition were calculated. The incorporation of the Ixeris sonchifolia H. into the liposomal bilayers effectively reduced the transition temperature at which the transition from gel state to liquid-crystalline state occurs, broadened the thermogram peaks, and reduced the ratio of van't Hoff to calorimetric enthalp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odulbaegi extracts (Ixeris sonchifolia 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uidity of biological membranes.

      • SCOPUSKCI등재

        雜穀混食時 흰쥐 血漿中의 遊離 鹽基性 아미노酸(Lys His Arg) 含量에 對하여

        배송자(Song-Ja Bae),김성로(Sung-R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7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6 No.1

        The male rats after weaning were fed with the mixed diets of rice and some cereals for three weeks in a ad-libitum method.<br/> The growthgain of rats were determined by feeding those diets and the contents of free basic amino acids level in plasma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nalyzer.<br/>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Rice diets group was highest in growthgain and weightgain, the second was the mixed of 80% rice-20% barley, and the last was the 80% rice~20% wheat group.<br/> 2. It was similar in the contents of plasma free basic amino acids of every diet group.<br/> The contents of Lys was highest and Arg, His were low in order. The mixed diet of 80% rice-20% barley group was higher than the rice only diet group in the contents of Lys and His. but rice only group was highest in Arg.<br/> The mixed of 80% rice-20% wheat diet group was lowest in the contents of Lys, His, Arg.<br/> Therefore feeding mixed diets of rice and cereals. the contents of Lys was highest, the second was Arg and the last was His in the plasma free basic amino acids level.

      • KCI등재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3

        식용 해조류의 일종인 모자반을 추출, 분획하여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를 실험하였다. 모자반을 추출, 분획하여 3종의 암세포주(HepG2, HT-29, HeLa)를 이용하여 암세포독성 효과를 본 결과, 모자반의 ethylether 분획층(SFMEE)과 ethylacetate 분획층(SFMEA)에서 3종의 사용 암세포주인 HepG2, HT29 및 HeLa 모두 아주 높은 cytotoxicity를 보였으며, HT29와 HeLa에서는 mathanol 추출물(SFM)과 hexane 분획층(SFMH)에서도 유의적인 암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인 liver세포는 모자반의 모든 용매 분획층에서 암세포 독성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3종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SFMEE층과 SFMEA층에 월등히 높은 암세포 독성 물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SFMEE층은 아주 낮은 초기 첨가 농도인 25 ㎍/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이미 2.89배의 높은 QR 유도 활성 효과를 보였고, SFMH층은 농도 의존적으로 그 효과가 증가하여 최종 농도인 100 ㎍/mL에서 2.56배의 QR 유도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모자반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실험하였으며 모자반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소거능 결과는 대조군인 항산화제인 BHT와 Vit C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모자반은 메탄올 추출물속에 DPPH 소거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결과는 모자반의 in vitro 항발암활성을 설명하는데 그 기초배경이 될 수 있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 검토해 보면 모자반 추출물과 용매별 각 분획층에서의 암세포 독성 효과는 주로 비극성분획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QR 유도 활성 효과도 비극성분획층인 SFMEE층과 SFMH층에서 나타났다. 특히 SFMEE 층은 적은 농도에서 암세포 독성 효과, QR 유도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SFMEE층에서의 유용한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Despite many therapeutic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in carcinogenesis, overall mortality statistics are unlikely to change until there is reorientation of the concepts for the use of natural products as new anticarcinogenic ag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nic activity, antioxidant and DPPH scavenging activity of Sargassum fulvellum (SF). SF was extracted with methanol, which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types: hexane (SFMH), ethylether (SFMEE), ethylacetate (SFMEA), butanol (SFMB) and aqueous (SFMA) partition layers. We determined the cytotoxic effect of these layers on human cancer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SF, at starting concentration of 100 ㎍/mL, SFMEE showed very high cytotoxicity which were 92, 90 and 84% and kept high throughout 5 concentration levels sparsed by 100 ㎍/mL against all three human cancer cell lines: HepG2, HT-29 and HeLa. SFMEA showed a low cytotoxicity at the beginning concentration level, but as the concentration became denser, growth inhibition effect of cancer cell lines started to increase and at 500 ㎍/mL, it hit the highest, which were 91, 96 and 98% against the same three cell lines as above. We observed QR induced effect in all fraction layers of SF. SFMEE showed similar tendensy of QR induced effect as did against cytotoxicity. The QR induced effect of SFMEE on HepG2 cells at 25 ㎍/mL concentration indicated 3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 of 1.0 and SFMH tended to be concentration-dependent on HepG2 cells. At 100 ㎍/mL, the QR induced effects resulted a ratio, which was 2.5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 In search for antioxidation effects of SF extract and partition layer, the reducing activity on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was sequentially screened. The SFM has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as to BHT and vitamin C groups.

      • SCOPUSKCI등재
      • 당귀 추출물이 liposome 의 안정성 및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배송,김경옥,노승배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論文集 Vol.4 No.-

        인지질 liposome의 안정성과 유동성에 대한 당귀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종류의 인지질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PC계 인지질 중 DPPC를 사용하여 인지질 liposome을 만들고, 막안 정성에 대한 영향을 calcein을 봉입한 liposome에 fluorescence self-quenching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막유동성에 대한 영향은 fluorescence polarization방법으로 P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Phosphatidylcholine(PC)계 인지질 중 acyl chain의 C수가 14개인 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DMPC)과 C수가 16개인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PPC) 및 여러 인지질의 혼합물인 egg phospatidylcholine(egg PC)을 사용하여 liposome 형성의 안정화와 막안정화에 대한 비교 실험을 하였다. 이중 liposome의 안정성이 가장 좋은 것은 egg PC였고, DPPC 그리고 DMPC의 순으로 calcein의 leakage %가 저하하였다. 2. 막 안정성에 미치는 당귀 추출물의 영향 : DPPC liposome에 당귀의 ethyl alcohol과 hexane 추출물을 가한 결과, DPPC만으로 만든 liposome보다 calcein leakage%가 감소하였으며, 추출용매에 다른 막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또한 인지질 liposome에 다른 약물을 첨가했을 경우 calcein의 leakage%정도보다 훨씬 그 영향이 탁월함을 보여주었다. 즉 당귀 추출물의 소수성 부분은 인지질 liposome의 상전이온도 이하(Tm. 41∼42℃)인 25℃에서 지질 이중 층의 rigid한 부분의 공간 속으로 깊숙히 들어가 막안정성 증가에 의한 인지질막의 condensing effect에 현저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3. 막 유동성에 미치는 당귀 추출물의 영향 : DPPC로 만든 liposome에 DPH로 labeling한 후 온도 증가에 따른 DPH의 fluorescence polarization값(P)의 측정에서 DPPC만으로 만든 liposome의 경우 상전이온도 이전의 gel 상태에서 상전이온도(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m)로 되면서 P값이 현저히 저하하였으며, 당귀의 ethyl alcohol과 hexane추출물을 농도 별로 첨가했을 때는 35℃에서 시작하여 상전이온도 이전까지 현저히 P값의 저하가 일어남으로서 인지질 막의 유동성 증가를 알 수 있었으며 상전이온도 근처에서는 P값의 저하 경사가 완만해져서 온도의 증가에 따른 P값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상전이온도 이후에서는 DPPC liposome의 P값보다 당귀 추출물 첨가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그 정도가 훨씬 증가된 상태였다. 이 결과에서 상전이온도 이전에서의 당귀 추출물의 막유동성 증가 효과를 읽을 수 있었고, 상전이를 전후해서 증가된 유동성은 상전이온도 이후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미미하였으며, 오히려 상전이온도 이후에서는 DPPC만의 liposome보다 상대적으로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P값의 변화가 미미하여 막유동성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당귀의 ethyl alcohol과 hexane 추출물의 소수성 부분은 DPPC의 상전이온도 이전에서는 인지질 liposome의 이중층으로 깊숙히 들어가서 막안정성과 막유동성을 증가 시키므로써 옛부터 보혈강장 및 정혈제로서 민간약제로 쓰이던 당귀 추출물이 인지질 세포막에 대한 생리적 활성을 일으킬 수 있는 촉진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ngelica Radix extrac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membranes such as membrane stability and fluidity employing the phospholipid liposomal membranes as a biomembrane-mimetic system. The leakage of encapsulated calcein from the liposome and the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DPH labelled in the liposomal membrane were employed as the parameters of the stability and fluidity of the liposomal membran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the Angelica Radix extract to the phospholipid exerted some effects stabilizing the barrier function of the membrane and increasing the fluidity of the membrane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of the Angelica Radix extract to enhance stability and fluidity of the liposomal membrane might have implication in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국화과 식물 추출물의 HepG2 및 HeLa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배송,한은주,노승배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自然科學論文集 Vol.7 No.-

        Dietary composition is a major determinant of cancer risk in human and experimental animals. Major and minor components of the diet may enhance or suppress the metabolism of carcinogens. In this study, the methanol layer, methanol and hexane partition layers of compositae species including Artemisia princepa var. orientalis, Arctiem lappa, Chysanthemum coronarium, Lactucascariola and Carthamis tinctorius were screened for the cytotoxicity on human hepatocellular(HepG2) and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 (HeLa) using MTT method. The methanol partition layer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AP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on HepG2 and HeLa cells among the other compositae species extracts. The cytotoxicity of APMM on HepG2 and HeLa cells were 94% and 95%, respectively a dose of 50㎍/ml of extr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