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화된 만주와 조선 남성 엘리트의 개척자 이미지 –일제 말, 조선인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계몽주의’ –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총력전(1938-1945) 시기 출판된, 조선 작가들의 만주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은 주로 조선 남성 엘리트를 이분법적이고 남성 우월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한설야의 『대륙』 (1939), 재만 조선 작가들의 『싹트는 대지』 (1941), 이기영의 『처녀지』 (1944)는 일본 혹은 조선의 남성 엘리트들을 만주를 문명화 하고 근대화하는 주체로 묘사하는 반면에, 만주의 여타 민족들은 주로 무지하고 문명화가 안 된 여성으로 묘사한다. 1932년을 배경으로 한 『대륙』은, 민간의 힘으로 실현되는 ‘오족협화’에 대한 이야기로, 어릴 때부터 조선인 마을에서 성장한 일본인 하야시가 대학과 병역을 마친 후 조선인들과 협력하여 농산 복합 체 성격의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고, 일본인 재벌 아들과 만주 호족의 딸이 힘을 합쳐서 항만/항일 조직을 분쇄하고 결혼하는 것을 묘사하였다. 『처녀지』 (1944)는, 의사인 만표가 조선인 부락에서 ‘근대화’와 ‘왕도’라는 만주국의 이념 을 실현하는 데에 헌신하는 것을 묘사하고, 조선인이 건강한 국민으로서 일본군대에서 훈련을 받게 된다면 마적으로부터 자력 방어가 가능한 자급자족의 공동체를 건설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였다. 『싹트는 대지』(1941)에 수록된 「초원」과 「밀림의 녀인」은 만주국의 지방 관료 그리고 만주국 협화회 지부의 간 부였던 두 작가의 생활을 투영한 작품으로, 문명/야만이라는 이분법하에서 조선 엘리트들이 야만적인 만주의 여성들을 계몽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 작가의 만주국 배경 소설에서 표현된 남성 우월적이고 이분법적인 문명화 담론은 서양이나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계몽주의’를 모방한 것이었다. Korean writers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working in Manchukuo(만주국) as a pioneer and modernizer who devoted his life to reforming Manchuria with advanced technologies in construction, medical science, agriculture, etc. Contrarily, the writers portrayed Manchuria as a primitive and ignorant female asking him for help about her development. Han Soel-ya’s Daelyuk [The Continent] (1939), Ssakteuneun daeji: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of Korean Writers in Manchuria [The Sprouting Land] (1941), and Yi Gi-yeong’s Cheonyeoji [The Virgin Land] (1944) all characterized Koreans who collaborated with Manchukuo’ policies as the cultured male elite, while indigenous ethnic groups in Manchuria were seen as the uncultured and uneducated female. Ssakteuneun daej and Cheonyeoji depicted that male Koreans developed Manchuria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ed the Manchurian people. Daelyuk described that the male elite applied his military expertise and entrepreneurship to build the new type of community based on agro-industrial complex. These stories commonly described the male Korean elite as the pioneer burdened with a mission to develop Manchuria and civilize the Manchurian people. In conclusion, the enlightenment ideology based on the dichotomy and male chauvinism in Korean writer’s literature with a Manchurian setting copied the idea of ‘colonial enlightenment’ being intrinsic to western and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이태준의 여성교양소설과 가부장제 비판

        배개화(Bae, Gae-hwa)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6

        This essay verified that Yi Tae-jun’s female heroin novels, <Seongmo (Holy Mother, 1935)>, <Ttalsamhyeongjae (Three Sisters, 1938)>, <Cheong chun museong (Exuberant Bloom of Youth, 1940)> and <Haengbogeui Huinsondeul (White Hands of happiness, 1942-3)> criticized patriarchism in colonial Korean society. Yi viewed a preference for male offsprings and patriarchism as evidences of semi-feudalism prevailed in colonial Korea, hindering to progress women in personality as a modern citizen. Since the proclaim of ‘The Total Mobilization Act’ in 1938, the criticism on patriar chism extended into paternalistic nationalism of imperial Japan. As Japanese nationalism acts as the ideology to control the everyday life of Korean, social oppression over women became more reinforced. Korean women were requested to play role of not only ‘good wife and wise mother’ for their family but also the people loyal to Japanese empire.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criticized ‘modern women’ so called sinyeoseong for being liberal, individual, decadent, unproductive, unpatriotic, and non-Ja panese, stressing that they have to fulfill their hierarchial duties in society and family. However, Yi Tae-jun, by creating bildungsroman with female heroin such as a divorced woman and a working woman, denied paternalistic nationalism, wishing to show matrilineal or alternative family based on the culture and education. In conclusion, at first Yi Tae-jun’s bildungsroman dealt with women’s issues and patriarchism in colonial Korea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nationalism, but after 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its viewpoint was turn into liberalism and culturism which was criticized as non-Japanese at that time.

      • KCI등재

        이태준: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2

        해방기(1945.08.15~1948.08.15)에 이태준은 서울에서 결성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1945.8.18) 산하 조선문학건설본부의 중앙위원장, 그리고 ‘조선문학가동맹’(1945.12.13)의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들 문화조직들은 좌파와 중간파 문학 · 예술가들의 ‘문화통일전선’을 표방하였는데, 중간파였던 이태준이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 연합에 토대를 둔 ‘진보적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임화의 주장에 동조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준은 또한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협의된 ‘신탁통치’가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는 유력한 방법이라고 판단하교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입장인 ‘민주주의민족전선’(1946.02.15)에 조선문학가동맹의 대표로 참여하였다. 이후 이태준은 1946년 8월 10일경 월북하여 소련 기행을 하고 돌아온 후 북한에 남기로 결정하였다. 이태준은 북한의 토지개혁이나 문맹퇴치운동을 묘사하는 소설을 집필하고, 북한에서 ‘진보적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것에 대한 감시자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태준은, 한국전쟁 발발 직전(1950.3)에 발표한 〈먼지〉에서,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 · 10선거를 전후한 서울을 묘사하면서 ‘통일 독립국가'를 수립과 관련된 중간파의 역사적 역할이 종결되었음을 시사하였다. By analyzing literary works and activities of Yi Tae-Ju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15 August 1945-15 August 1948),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motivation why Yi proactively involved in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United Front", with the leftist literati together. Lim Hwa suggested the principle of building "progressive democratic nation state," tha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but with excluding of pro-Japanese group and traitor, and Yi Tae-jun agreed with the principle. Believing that such a "Cultural United Front" in literary world was necessary, Yi was willing to participate in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for Korean Literature Construction,"(18 August 1945) and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13 December 1945). Moreover, Yi Tae-Jun believed firmly thar the trusteeship, announced at the Council of Three Foreign Ministers in Moscow, was best way to establish "Unified and Independent Stare," therefore actively engaged in "National Front for Democracy" which expressed support for trusteeship. Thereafter, Yi Tae-Jun defected to North Korea in 10 August 1946 and traveled the Soviet Union. After return from the Soviet Union, he decided to remain in North Korea, wrote a novel describing land reform and crusade against illiteracy, and planed to be a watchdog for the realization of "progressive democracy" in the North. However, He insinuated the dose of the "Neutrals" historical mission in his novel "the Dust"[meonji], portraying Seoul during and after "May 10 Election" of 1948.

      • KCI등재

        한국전쟁 동안의 현덕과 그의 소설

        배개화(Bae, Gae-hwa)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1

        한국전쟁 초기, 김일성은 선전정책의 방향을 결정했고 조선로동당은 선전의 운용 정책을 결정하고 통제했다. 고상한 애국주의가 선전 노선으로 결정되었으며, 북한 문학자들은 김일성을 전쟁 승리의 조직자이자 영도자이며, 조선인민군과 북한 주민들이 발휘하는 애국심의 원천이라고 선전하였다. 그러나, 1950년 10월 13일부터 박헌영이 신설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임명되어 조선인민 군의 정치 문제를 책임지게 되었으며, 영웅들의 애국심의 원천을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로 보는 선전 노선을 주장하였다. 1951년 3월부터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와 조선문학예술총동맹에 합류한 남로당 계열의 문학가들도 선전 분야에서 박헌영의 노선을 지지했으며, 현덕도 박헌영의 노선을 반영한 단편소설들을 창작하였다. 북한에서 발표된 현덕의 첫 번째 작품인 「복수」(1951.5)는 김일성이 조선인민군의 일시적인 전략적 퇴각에 책임이 있다고 암시했다. 「복수」는 전략적 후퇴 중에 북한 정권을 위협하고 인민군과 북한 주민의 사기를 떨어뜨린 미 공군의 폭격을 자세히 묘사하고, 미군이 점령한 북한 지역의 끔찍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현덕은 김일성을 “승리의 조직자이자 영도자”로 묘사하지 않고 패배와 절망의 정서와 연결하였다. 이에 대응해서, 김일성은 1951년 6월 30일 작가들과의 대화에서 복수를 자연주의적 작품이라고 비판했다. 고상한 애국주의의 선전에서, 현덕은 박헌영의 선전 노선을 철저히 따랐다. 「하늘의 성벽」(1951.6), 「아름다운 사람들」(1951.6), 「첫 전투에서」(1952.10)는 북한의 전투 영웅들을 모델로 실제 사실에 근거하여 창작된 작품들로서, 김일성이 아니라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가 전투 영웅들에게 애국심을 고취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특히 첫 전투에서는 주인공이 조선로동당을 상징하는 박[헌영]이라는 인물의 격려에 고무되어 미 공군과의 항공 전투에서 큰 전공을 세우는 것을 묘사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덕의 작품들은 김일성을 전쟁 승리의 조직자이자 영도자로 묘사하지 않았으며, 전투 영웅의 애국심의 원천은 김일성이 아니라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라고 선전하였다. 현덕 소설의 이런 경향은, 1952년 12월 15일, 김일성이 박헌영과 남로당 계열 작가들이 부르주아 사상과 파벌주의로 조선로동당을 사상적 조직적으로 약하게 만들어서 전쟁의 승리를 방해하였다고 비판하고, 그들을 숙청하는 이유로 이용되었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Kim Il-sung proposed the course of a propaganda policy, while the Korean Workers" Party (KWP) decided the operational policy and controlled the details of the propaganda with the results being a direct reflection of the leader’s politics themselves. After October 13, 1950 however, Pak Heon-yeong took charge of resolving the political problems and applied his ideas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propaganda. From March 1951, writers of the ex-South Korean Workers" Party (SKWP) joined the KWP and the Korean Federation of Literature and Arts, and supported the line of Pak Heon-yeong in the field of propaganda. Hyeon Deok was chief amongst the SKWP writers who supported Pak’s line. In North Korea, Hyeon Deok"s first work, “Boksu” [Revenge] (May 1951), laid sole blame on Kim Il-sung due to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orean People’s Army (KPA). “Revenge” depicted the bombing by the U.S Air Force which plagued the North Korean regime during the temporary retreat and reduced the morale of not only the People"s Army but also the North Korean civilians. Moreover, it realistically described the North Koreans" terrible situation in the occupied territory while painting a picture that the North Korean people"s loyalty towards Kim Il-sung was betrayed and the People’s Army was not ready to fight against the UN forces. In response, Kim Il-sung branded “Revenge” as a naturalistic work in a speech to writers on June 30, 1951. With regards to the propaganda of patriotism, Hyeon Deok’s follow up works comprehensively fell in line with the viewpoints of Pak Heon-yeong. Short stories such as "Haneul-ui seongbyeok [The Walls of the Sky]" (June 1951), "Areumdaun saramdeul [Beautiful People] (June 1951), and “Cheot jeontu-eseo [In the First Battle]” (October 1952) were modeled after "combat heroes" of North Korean air forces and were based on actual events. The stories presented the perspective that the source of patriotism exerted by the heroic soldiers was not Kim Il-sung but the KWP and people’s democracy. Specifically, "In the First Battle" depicted an air force combatant who was encouraged by Pak [Heon-yeong] symbolized as the KWP, and who became a combat hero due to his distinguished victories in the air battle against the US air forces. In conclusion, Hyeon Deok"s works reflected Pak Heon-yeong"s perspective that Kim Il-sung was responsible for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PA. Furthermore, by supporting Pak Heon-yeong"s propaganda line, his writings described that the KWP and the people’s democracy were in fact the motivating force behind combat heroes promoting their patriotism. In December 1952, Kim Il-sung used Hyeon Deok’s short stories as evidences to condemn Pak Heon-yeong and the ex-SKWP writers for having bourgeois ideology and factionalism. Finally, Kim Il-sung purged the Pak and the ex-SKWP writers from the KWP on account of that they made the KWP weaken ideologically and organizationally and therefore hindered the victory of North Koreans in the Korean War.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과 그 원인, 1945~1953

        배개화(Gaehwa Bae)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해방직후, 조선의 많은 문학자들은 ‘인민민주주의’를 앞으로 건설해야 할 국가의 모델로 지지하였다. 인민민주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형성된 반파시즘, 반제국주의적 ‘인민전선’을 토대로 인민 정권을 수립하고,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조선의 경우, 좌파와 중간파 문학자들은 서로 협력하여 ‘문화통일전선’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나, 일부의 구KAPF 문학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표방하는 독자적인 단체를 수립하였다. 후자는 1946년 초 월북하여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을 수립하였는데, 그 강령은 ‘조선문학가동맹’의 그것과 대동소이하였다. 동일한 노선을 추구하면서도 문학자들 사이에 분열이 발생한 원인은 동유럽이나 중국 등과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인민전선’이 확고하게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북조선문예총의 문학자들은 인민전선의 형성을 통한 인민민주주의 국가의 수립을 지지하면서도 문학에서 ‘프롤레타리아의 계급성’을 강조하는 모순된 입장을 취했다. 이런 경향은, 북한문학이 전후 소련의 문학 정책인 ‘즈다노비즘,’ 즉 공산당의 강력한 검열과 통제를 통해 문학예술에서 프롤레타리아의 계급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수용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에, 조선문학가동맹은 루카치의 ‘세계관에 대한 리얼리즘의 승리,’ 즉 작가의 세계관과 그의 문학적 성취는 별개라는 입장이었고, 이를 좌파와 중간파가 협력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이러한 분열과 대립은 1946년 8월과 11월 북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이 창립되는 것에 발맞춰 두 문학 단체가 ‘당의 문학’을 문학운동의 노선으로 채택함으로써 봉합 국면에 들어갔다. 그러나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은 소련의 문예이론을 이식하여 ‘고상한 애국주의’와 김일성의 개인숭배를 강조하는 문학 노선을 만들어간 반면에, 조선문학가동맹은 작가 내부의 낡은 세계관과의 투쟁과 새로운 리얼리즘의 창조를 강조하면서 둘 사이의 노선 차이는 점점 커졌다. 이러한 차이는 1951년 두 문학 단체가 통합되면서 당의 문예노선에 대한 갈등으로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은 해방 이후의 정세, 인민전선의 성격, 카프의 공식주의 비판, 당 문학 원리에 대한 상이한 이해와 그 실천이 원인이었다. 이 둘의 대립은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학자들이 조선로동당 내부의 권력투쟁에서 패배하면서 종결되었다.

      • KCI우수등재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배개화(Bae, Gae-hwa)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빨치산 문학은 식민지 시대의 항일빨치산 문학과 해방 이후의 남로당 빨치산 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태준의 <첫전투>(1948.12)와 <고향길>(1950.7)은 후자에 속한다. 이 소설들은 1947년 말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이후 남로당의 변화된 전술인 ‘미 제국주의와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비합법 투쟁’과 연결되어 있다. 이태준은 중간파로서 남로당 노선에 동의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민민주주의 국가의 평화적 수립을 지지하였다. 하지만, 1947년 10월 이후 급변한 정치 상황과 남로당의 전술 변화는 그의 정치적 전망과 배치되었고, 이는 <첫전투>에서 유격전에 대한 회의적 전망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그는 당의 문학 노선에 따라 <첫전투>의 결론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첫전투>의 초간본은 남로당의 유격전술에 대한 그의 부정적 입장으로 인해 유격대 투쟁이 실패하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재간본은 당의 공식적인 문학노선과 타협하여 유격대 투쟁이 승리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이런 타협에도 불구하고, 두 판본에 공통된 ‘몰락의 정서,’ 혹은 ‘멜랑콜리’는 유격대 전술에 대한 그의 회의적 전망을 여전히 암시하고 있다. <고향길>은 ‘절대적 적에 대한 절대적 전쟁’이라는 냉전적 대립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김일성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보는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으로부터의 일탈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에 북한 문학자들 사이에는 조선 인민이 발휘하는 ‘애국심’의 원천, 그리고 유격대나 인민군의 롤-모델을 누구로 할 것인가와 관련된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태준의 문학작품도 이러한 논란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한마디로 이태준의 <첫전투>와 <고향길>은 중간파의 입장에서 본 유격대 전술에 대한 전망, 남로당 계열의 문학 노선, 그리고 이 계열 작가들의 몰락 이유 등을 잘 보여주는 동시에,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을 초과하는 이태준 문학의 고유성을 보여준다. The partisan literature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anti-Japanese partisan literature before liberation and South Korean Workers Party [SKWP] partisa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Yi Tae-jun’s short stories such as "Chotjeontu" [First Battle] and "Gohyanggil" [A Road to Home] falls into the latter, and deal with military struggle for national power within the South Korea around the foundation period of South and North Korea’s regimes. Yi Tae-jun, a moderate, at first agreed with the views of SKWP which aimed to establish a people"s democratic country centered around Seoul. However, the SKWP switched definition on the United States from a ally to imperialist country after the rupture of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on Oct. 1947, and adopted a guerilla struggle against Rhee Syngman regime after Aug. 1948. This sudden change in the political landscape after Oct. 1947 and the new tactics of SKWP soon clashed with his political expectations. "First Battle", one of Yi"s two partisan novels, originally portrayed his skeptical view on guerilla warfare, resulting in pressure by the party to revise the works. It has two different versions with different conclusions, with the first version expressing his pessimistic view of guerilla warfare ending with a defeat, while the revised edition fell more in line with the party"s views and the warfare ended with a victory. Despite the revisions, the atmosphere of collapse and melancholy was shared between both versions. "A Road to Home" portrays the sentiment of "the absolute war against the absolute enemy" settling down during the Cold War, while deviating from the official party views of patriotism, whose role model is Kim Il-sung. There arouse a controversy among North Korean writers about who should be the role model for patriotism for SKWP and the People"s Army during the Korean War. 〈A Road to Home〉 played a critical role in causing the controversy as well. In conclusion, Yi’s two short stories captures how the moderates of his time viewed the fate of SKWP"s partisan struggles, the SKWP faction"s literature line, and the reason of the downfall of their writers, all the while showing the aesthetic idiosyncracy of Yi"s literature that exceeded the limitations of party literature.

      • KCI등재

        문학의 희생 : 북한에서의 이태준

        배개화(Gaehwa Ba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해방이 되자 이태준은 민중권력을 바탕으로 한 ‘인민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공감하고 이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공산당과 손을 잡았다. 그는 조선공산당이 1946년 1월 6일 신탁통치 안에 찬성한다는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자 이에 적극 동조하였으며, 조선공산당이 주도하는 민주주의민족전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북한에서 토지개혁이 성공한 것을 보고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확신하고 1946년 8월에 월북하였다. 그는 북한의 건국 작가가 될 것을 결심하고 제도 개혁과 그것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문학작품을 창작하였다. 이태준은 북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설되자 이것을 조선을 대표하는 유일한 국가로 지지하고, 이를 무력으로 실현하는 것에도 동조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이태준은 종군작가로 전쟁에 참여하고 북한의 전쟁을 응원하는 글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덕분에 1949년 출판된 《신문장강화》가 1952년 일본과 중국에서도 출판되는 등, 이태준은 국민 작가의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한국 전쟁 직후, 박헌영 계열(1953.8)이 숙청될 때, 이태준도 부르주아 작가로 비판받고 숙청되었다. 이후 이태준은, 소련파 숙청(1956)에 이용되는 등, 조선로동당을 부르주아 사상으로 약화시키려고 했던 예로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이태준은 국가 없이는 문학도 존재하기 어렵다고 믿고 자신의 문학을 국가 건설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다. 하지만 정치적 목표 달성을 위해 문학적 자유를 포기한 대가로 이태준은 정치적 목표의 또 다른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On Korea’s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aejun Yi, sympathizing with the policy of “people’s democracy” claimed by the Korea Communist Party(KCP),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KCP for realizing his ideal. In 6 January 1946, the KCP made a public statement, supporting the decision of trusteeship for Korea. Taejun Yi expressed his agreement for KCP statement immediately as well, and participated proactively in the Democratic Nation Front led by the KCP. Taejun Yi convinced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at the land reform in March 1946 and defected to North Korea in August 1946. He decided to be a state building literator of the North Korea, creating numerous works of propagating system reforms and their superiority.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in September 1948, Taejun Yi strongly maintained that the DPRK was the only legitimate government in a whole Korea and agreed with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by armed forces.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e volunteered a war writer and published numerous writings, supporting for the war efforts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 return for his contribution, he was treated as a national writer, publishing his masterpiece “Munjang Ganghwa” in Pyeongyang in 1949, and in Japan and China consecutively in 1952. With the ending of the Korean War in July 1953, he, however, was criticized as bourgeois writer and purged with Heonyeong Bak and his adherents together in August 1953. Taejun Yi was exemplified as a typical bourgeois writer, weakening the solidarity of the Korean Workers Party, which was utilized as an excuse in purging Soviet Korean writers in 1956 as well. Believing that a “national literature” could not subsisted without “nation-state”, Taejun Yi, with no hesitation, agreed to use his literature for the contribution of nation building. Ironically enough, the return for his giving up pure literature and freedom of expression was a sacrificing himself for the political goals.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북한문학의 ‘애국주의’ 형상화 논쟁

        배개화 ( Bae Gae-hw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3 No.-

        한국전쟁 기간 조선로동당의 선전 정책의 결정과 집행은 그 자체가 북한의 정치의 반영이었다. 한국전쟁 초기, 김일성은 선전정책을 직접 결정하였고, 조선로동당은 김일성의 선전 정책을 실행하였다. ‘고상한 애국주의’ 선전 노선이 결정되었으며, 한국전쟁 초기 북한문학자들은 전투 영웅들이 발휘하는 ‘애국주의’의 원천이 김일성이라고 선전하였다. 1950년 9월 15일 UN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 이후 조선인민군의 전략적 후퇴로 인한 인민군과 북한 인민들의 사상적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10월 13일 박헌영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으로 임명되어, 조선인민군의 선전 선동과 정치 문제를 책임지게 되었다. 11월 말새로 부임한 소련고문단장 ‘라주바예프’는 선전선동 노선과 문학예술 단체를 재정비하였으며, 전투 영웅과 주민들의 ‘애국주의’를 고취하는 주체는 김일성에서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로 바뀌었다. 그 결과 김일성의 권위는 약화되었으며, 1951년 『문학예술』 4월호와 5월호에 박헌영 계열의 김남천과 현덕은 조선인민군의 후퇴의 책임을 김일성에게 돌리는 소설을 실었다. 6월 23일 소련의 UN대사가 정전 협상을 제안하고, 6월 30일 김일성이 문학계 내부의 ‘종파주의’에 대해서 경고하자, 애국주의의 원천을 둘러싼 두 파벌의 대결이 격화되었다. 김일성 계열 문학자들은, 전투 영웅들의 애국심은 김일성으로부터 나와야 된다고 주장한 반면, 박헌영 계열 문학자들은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 제도가 애국심의 원천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52년 10월 정전 담판이 무기한 휴회에 들어가고 전쟁이 계속될 상황이 출현하면서, 양 파벌 문학자들은 애국심의 원천 문제를 두고 재차 충돌하였으며, 1952년 11월 초 박헌영은 조선로동당의 역사는 1925년 자신이 만든 조선공산당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며 김일성에게 도전하였다. 이에 김일성은 1952년 12월 박헌영계열 문학자들을 종파주의자로 비판하고 그 지도자인 박헌영을 숙청하였으며, 당 문학의 사상적 올바름을 결정하는 문제에서 박헌영의 도전을 제압하고 자신의 권력을 더욱 강화하였다. 한국전쟁 기간 발생한 애국주의 형상화에서 애국심의 원천 논쟁은, 사실상 박헌영과 김일성의 정치투쟁의 연장선이었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Korean War, the decision and implementation of a propaganda policy by the Korean Workers’ Party [KWP] reflected the politics of North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Kim Il-sung decided on a propaganda policy, and it was the KWP which implemented that strategy. The policy line, "lofty patriotism" was decided on, and which in turn led to North Korean writers to tout Kim Il-sung as the source of "Patriotism" for combat heroes. In order to deal with the ideological chaos of both the Korean People’s Army [KPA] and the North Korean people following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PA after the UN Army’s successful landing operation of Incheon on 15 September 1950, Pak Heon-yeong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of the General Political Bureau of the KWP on 13 October. Pak Heon-yeong had a leadership towards propaganda incitement and in volvement in political issues of the KPA. At the end of November, Razuvaev, the newly appointed head of the Soviet advisory group reformed the propaganda policy, changing the principal agent which promoted the “Patriotism” of combat heroes and the North Korean people from Kim Il-sung to the KWP and People’s Democracy. He also organized a new literature and arts organizations having the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i as members. As a result, Kim Il-sung’s authority was weakened, and in April and May of 1951, Kim Nam-cheon and Hyun-deok wrote short stories which blamed Kim Il-sung for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PA. Following this, on June 3, 1951, Kim Il-sung and Mao Zhedong decided to start negotiations on an armistice, and on June 30, Kim Il-sung warned against "Sectarianism"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Federation [KLAF]. Concurrently, the hostility between the Kim Il-sung and Pak Heon-yeong factions over the source of patriotism intensified. While writers affiliated with Kim Il-sung argued that the source of patriotism and heroism of combat heroes should come from the supreme leader Kim Il-sung, writers affiliated with Pak Heon-yeong argued that the KWP and the people’s democratic system should be the source of their patriotism. In October 1952, when the armistice negotiations entered an indefinite recess and the war continued, the two factions of the KLAF confronted each other again over the issue of source of patriotism. Then in early November 1952, Pak Heon-yeong challenged Kim Il-sung, claiming that the history of the KWP began with the Korean Communist Party which he had help organized in 1925. In response, Kim Il-sung criticized and labeled Pak Heon-yeong and his supporters as sectarianism and purged the outspoken leader in December of 1952. Consequently, Kim Il-sung overpowered Pak Heon-yeong’s challenge related to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ideological correctness of “Party Literature” and further strengthened his authority. Therefore, the debate on the source of patriotism and heroism 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mbat heroes during the Korean War was in fact an extension of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Kim Il-sung and Pak Heon-yeong.

      • KCI등재

        『문장』지의 내간체 수용 양상

        배개화(Bae Gae Hwa)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현대소설연구 Vol.- No.21

        Munjang(the style). a Korean literary magazine of the late 1930s is one of representative examples for a reception of tradition: that of `neganche.` the female style letter writing of the Choseon dynasty. The `neganche` is an important mediation to understand an aesthetic sense shared with writers so called the `munjangpa`(the circle of the style): Byeonggi Lee, Jiyong Jeong. and Taejun Lee. The `neganche` is a good example for the munjanpa`s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Futhermore. an introduction of the tradition to the public and a practice of the tradition is meaningful from the sense of an advocati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for assimilating Korean into Japanese. It is Byeonggi Lee who introduced the `neganche` to the public through Munjang he published Haniungrok(The Princess Diary) and Inhyungwanghujeon(The Story of Queen Inhyeon) with annotations on MurUang. He considers that `neganche` is the typical style of Korean traditional prose writing, which, he thinks, embodies characteristics of a modern prose: the appropriation of private words. Jiyong Jeong put the style of `neganche` into practice on his essays and poetry. That experiment is a sort of `dandyism,` demonstrating a denial of usefulness and a nostalgic inclination to the past. Taejun Lee`s reception of the `neganche` is due to his interest for what is an authentic prose, which, according to his understanding, is beyond a usefulness of vernacularized language for writing, and is more than a practical tool of everyday communication. It is a beauty of sentence that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him to estimate a value of prose. And he finds its aesthetic model in the `negan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