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의 시간성을 고려한 서사 교육의 방향 탐색

        방은수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2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self. First, we compare the linear temporal and cyclical time histories centering on the metaphor of 'arrow of time' and 'circulation of time', and discussed the point where both can be applied productively.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in terms of time consciousness are summarized as potential plurality, interdependence,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Then, we divide the temporal layer of the future into potential future, narrative future, and real future. Next,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education considering the future self was discussed, and finally the educational direction was suggested.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e active pursuit of repetition that leads to creative change, potential pluralism of time for the future, and ethical search for future self. 현대 사회에서는 미래 의식의 위기를 알리는 사회병리적 현상이 만연해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미래의 ‘나’에 대한 존재 감각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풍성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미래의 시간성에 기반한 서사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의 시간성을 교육적으로 포섭하기 위한 방편으로 반복에 주목하고, 미래와 반복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시간의 화살’과 ‘시간의 순환’이라는 은유를 중심으로 직선적 시간관과 순환적 시간관을 비교하고, 양자가 생산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지점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시간 의식 차원에서 미래의 특성을 잠재적 복수성, 상호 의존성, 의식 지향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미래의 시잔적 층위를 잠재적 미래, 서사적 미래, 현실적 미래로 구분하였다. 다음에 미래적 자아를 고려한 서사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향으로는 창조적 변화를 견인하는 능동적 반복 추구, 미래를 향한 시간의 잠재적 복수성 인식, 미래적 자아에 대한 윤리적 탐색 등이 있다.

      • KCI등재

        미투 시대, 아동문학 교육의 방향 -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

        방은수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e age of MeToo, focusing on undoing gender. First, we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undoing gender. The dichotomous gender view rooted in Korean society has become a source of making difference into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into oppression, and oppression into violence. Accordingly, gender actors attempt to break down or dismantle existing gender norms that promot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is phenomenon is called undoing gender. Next, I analyzed the children's literature works in which undoing gender is revealed.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the questions of child literature on undoing gender. Lastly,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undoing gender. Specific directions include 'creating conditions for gender education using children's literature', 'selecting children's literature for undoing gender education', and 'gradual approach to undoing gender'. 이 연구의 목적은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미투 시대에 아동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젠더 허물기가 대두된 배경과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뿌리내린 이분법적 젠더관은 차이를 차별로, 차별을 억압으로, 억압으로 폭력으로 만드는 원천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젠더 주체들은 불평등과 차별을 조장하는 기존 젠더 규범의 와해 혹은 해체를 시도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젠더 허물기라고 한다. 다음으로 젠더 허물기가 드러나는 아동문학 작품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젠더 허물기에 대한 아동문학적 물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아동문학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젠더 교육의 여건 조성’, ‘젠더 허물기 교육을 위한 아동문학 작품 선별’, ‘젠더 허물기에 대한 점진적 접근’ 등이 있다.

      • KCI등재

        이중 독자의 관점에서 초등문학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 탐색

        방은수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과 아동이 독자로서 모두 만족하는 초등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문학의 이중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연구 방법으로 삼고 초등문학교육에서 이중 독자의 문제를 조명하였다. 먼저 성인 독자의 교육적 의도에 경사된 초등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교육설계, 교육방식, 교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으로는 ‘아동 독자의 문학적 경험에 대한 고려 미비’, ‘문학텍스트 감식 위주의 교육 방식’, ‘교과서 수록 문학 제재에 대한 이중적인 잣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 결과로서 아동 독자의 측면을 초등문학교육의 개선방향을 ‘독자의 문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조율’, ‘문학적 경험 중심의 체계적인 지도 방안 마련’, ‘문학 제재 선정 과정에서 독자의 능동성 반영’ 등을 연구 결과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문학교육에서 독자 연구 및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in which both adults and children are satisfied as readers. To this end, the dual communication structure of children’s literature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problems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which were inclined to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adult readers, were examined in terms of educational design,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children’s lack of consideration about the literary experience of children’, ‘literary text recognition-oriented education methods’, and ‘double standards for literary sanctions in textbooks’ can be identified. N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spects of children’s readers are considered a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educational coordination of reader’s literary experience’, ‘preparation of systematic guidance centered on literary experience’, and ‘reflection of reader’s activenes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literature sanctions’ Etc. were propos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independent research and education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플롯 구성을 통한 인물 이해 교육의 가능성 탐색

        방은수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4

        In this study, attention was paid to emplotment that can introduce time in characters understanding process. In recent literary theory, the dynamics of the plot are emphasized from the conventional static plot concept. In this context, the emplotment is seen as an internal mechanism for understanding the events involving temporal instant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ovel texts. In relation to figure understanding, emplotment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narrative logic to appropriately explain the change of characters in the proces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us, learners can assign analytical meaning to the variable aspect of a characters in a transient flow through emplotment. 현대로 올수록, 소설 속 인물은 통시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면모가 일관성 있게 복합된 역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이에 따라 인물은 시간의 지평 위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낸다. 인물과 시간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학교실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인물 이해 과정에서 시간성을 도입할 수 있는 플롯 구성에 주목하였다. 최근 문학이론에서는 종래의 정적인 플롯 개념에서 벗어나 플롯의 역동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플롯 구성은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에서 시간적 계기를 내포한 사건을 이해하는 내적 기제로 본다. 인물 이해와 관련하여, 플롯 구성은 처음에서 끝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인물의 변화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서사적 논리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습독자는 플롯 구성을 통해 통시적 흐름 속에서 인물의 가변적인 면모에 대해 해석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문학교육에서 동아시아 아동문학의 위상과 역할-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서사문학 작품 수록 현황을 중심으로 -

        방은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world literary work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and to examine the status and role of East Asian children’s literature i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world literature included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8 foreign literature works were included in the 2015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education. Among them, only two works of East Asian children’s literature were published. In textbooks, it can be confirmed that East Asian children’s literature is in an educational vacuum compared to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East Asian children’s literature is an educational medium that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cultural exchange.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세계문학 작품 현황을 살피고, 초등문학교육에서 동아시아 아동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점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5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세계 문학 작품이다. 분석 결과, 2015 교과서에는초등문학교육에서 총 18편의 외국문학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 중 동아시아 아동문학작품은 2권에 불과했다. 교과서에서 서구권의 아동문학에 비해 사실상 동아시아 아동문학은 교육적 공백 상태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의 아동문학은 문화교류 차원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교육적 매개체이다. 이 연구에서 기대하는 바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스며든 서구 중심의 문화적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한노력을 환기하면서, 동시에 초등문학교육 차원에서 동아시아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교육적 관심을 제고하는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소재 아동청소년SF에 드러난 몸의 상상력 -『마지막 레벨 업』을 중심으로-

        방은수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인간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취약성(vulnerability)을 지닌 존재이다. 취약성이란 삶의 상황에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상처입을 가능성을 뜻한다. 아동은 성인에 비해 더 취약한 존재이며, 그 결정적 원인은 아동의 몸이다. 하지만 오늘날 첨단과학기술의 발달은 아동의 몸이 지닌 취약성에서 해방될 수 있는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몸의 취약성 문제는 SF서사물에서 몸에 관한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SF서사물에서 몸은 과학기술과 인간 존재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가운데, 우리가 기존에 견지했던 상상력을 새롭게 펼쳐보이는 토대가 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SF에 등장하는 포스트휴먼은 몸에 관한 상상력의 지평을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존재이다. 포스트휴먼은 인공지능 및 가상현실 기술을 동원하여 몸을 물리적 공간에 속박당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를 조작하여 자신의 몸으로 살아갈 삶의 터전을 다양하게 바꾸며 살아갈 수 있다. 문제는 작품 속에서 첨단과학기술의 발달이 아동의 몸에서 비롯되는 취약성의 문제를 해소하기는커녕, 오히려 아동의 삶을 더 취약한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짚어보기 위해 『마지막 레벨 업』을 중심으로 몸의 상상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삶의 모든 자율성을 박탈당한 디지털 몸’, ‘자신의 기억과 결별하는 몸’, ‘시간성을 상실한 디지털 좀비로서의 몸’ 등으로 논의를 정리하였다. Humans are beings with vulnerability in an ontological aspect. Vulnerability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being hurt physically or mentally in real-life situations. Children are more vulnerable than adults, and the decisive cause is their bodi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shows the prospect of being liberated from the vulnerability of children's bodies. Here, the issue of the body's vulnerability acts as a driving force for new imagination about the body in SF narratives. In particular, posthumans who appear in children's and adolescent science fiction are entities that fundamentally shake the horizon of imagination regarding the body.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posthumans can live in various ways by manipulating digital data and living in their own bodies, without being confined to physical space. The problem is that in the work,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vulnerability originating from the child's body, but rather pushes the child's life into a more vulnerable situ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point, we discussed the body's imagination, focusing on The Last Level Up.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discussion was summarized as ‘a digital body deprived of all autonomy in life’, ‘a body separated from its own memories’, and ‘a body as a digital zombie that has lost temporality’.

      • KCI등재

        서사교육 연구의 학제적 접근 -진화생물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방은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서사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과 진화생물학의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진화생물학과 사회과학이 학문적으로 접목되는 현실에 대해 점검하였다. 이를 토대로 진화와 문화 사이의 인간 본성을 살피고, 진화와 문화의 연결고리로써 서사의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사교육 차원에서 학제적 접근의 전제와 이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결과: 서사 교육 연구의 학제적 접근은 서사교육 연구 대상의 확장, 서사교육 연구 내용 해석을 위한 관점 제공, 서사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문학교육학이 학습자, 더 나아가서는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 어느 정도 균형적인 관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진화생물학의 논의는 교육의 영향력에 경도되지 않는 비판적 시선을 제공해준다. 그리고 진화생물학에서 밝힌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 사실을 참조할 필요는 있지만, 진화생물학 전반의 철학이나 세계관에 대한 경계심은 유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학계에서 학제적 연구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인물의 마음 읽기 교육 방법 연구

        방은수,이경남 청람어문교육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3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mind reading education for the characters. First of al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n 'theory of mi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reading of the character's mind was developed. Next, the mechanism of action involved in reading the mind of the person was presented. The key mechanisms of action in the reading process of a person's mind are inference and representation. Inference is used in the process of captur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a person's mind and deriving new information, and the upper representation is a representation of the person's mind internally once again attributed to the person. Lastly, I suggested a method for teaching the mind reading of the characters. Specific education methods include 'becoming a strategic observer', 'tracking the minds of people', and 'reasoning minds using world-knowledge.' 이 연구는 인물의 마음 읽기 교육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먼저 ‘마음이론’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물의 마음 읽기에 대해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인물의 마음 읽기에 관여하는 작용 기제를 제시하였다. 인물의 마음 읽기 과정에서 핵심적인 작용 기제는 추론과 상위표상이다. 추론은 인물의 마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착하여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에 활용되며, 상위표상은 독자가 인물에게 귀속시킨 인물의 마음을 내적으로 다시 한번 표상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물의 마음 읽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 교육 방법으로는 ‘인물의 마음 추론을 위한 전략적 관찰자 되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물의 마음 추적하기’, ‘인물의 마음 추론 결과를 뒷받침하는 이유 찾기’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마음에 대한 인지과학의 최근 성과를 토대로 인물의 마음 읽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인지 과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인물 교육 이론의 갱신과 더불어 인물 이해의 새로운 시각을 확보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