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균기능정보가 각인된 플라스틱 저장용기의 항균 특성에 관한 연구

        방건웅,김강녕,김희정,Bahng, Gun-Woong,Kim, Kang-Nyung,Kim, Hee-Jung 한국포장학회 1999 한국포장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항균처리 기술을 도입하여 항균 물질을 플라스틱 용기에 혼입하지 않고도 항균기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술의 요체는 항균기능정보를 물에 각인한 다음에 이를 플라스틱 제조용 원료 수지에 전사하여 최종 제품에서도 같은 기능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입각한 기능 정보 각인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제품을 만들어 항균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세균 증식 억제율이 75% 전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기술이 보다 더 다듬어지고 그 작용기전이 밝혀진다면 더욱 뛰어난 제품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To enhance antibiotic function of plastic containers, many methods have been applied. Most of the methods utilize antibiotic properties of antibiotic substances such as silver containing chemicals. Sometimes antibiotic substances are used without long term stability test as food container additives. Basically, this kind of methods is not safe since it is based on the antibio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 itself and hence direct contact between food and container additives is unavoidable to obtain antibiotic effect. In this paper, a new concept of information templation was applied to make food containers with antibiotic function. It has been known recently that water memorize informations 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tempelated to other materials through appropriate methods. One of the participating company developed this method to template informations onto plastic materials. Food containers were produced using this plastic chips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ntibiotic functional information temptation method is effective for practical application. Results and discussions are reported in this paper.

      • KCI등재

        쇼어경도표준의 확립에 관한 연구

        방건웅(G. W. Bahng),탁내형(Nae Hyung Tak),봉하헌(Ha Heon Bong) 한국열처리공학회 2002 熱處理工學會誌 Vol.15 No.3

        N/A Shore hardness test was developed in 1906 to overcome the limit of Brinell hardness test. However, the detailed requirements on the tester was not clearly specified except the scale, i.e., 100 HS for high carbon steel and 10 HS for soft brass. As a result, the shore hardness was used for quite long time without well established standards. For the establishment of hardness standards, standard tester, standard procedure, and standard hardness block must be provided. So far the standard of Shore hardness was maintained by correlating Shore hardness scale to Vickers hardness through converting equation. This is the so called converted Shore hardness and it is not the true Shore hardness standard strictly.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hore hardness standard based on the Shore standard hardness tester is reported.

      • 서양에서의 氣에너지 연구

        방건웅(Bahng, Gun-Woong) 공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4 초자연현상연구 Vol.2 No.-

        현대과학에서의 에너지 개념과 氣에너지 개념의 차이는 오로지 量적 성격으로 보는것과 量적ㆍ質的 성격이 합쳐진 것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서양에서 質的인 특성을 갖는 氣에너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메스머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약 200여년이 된다. 메스머 이후 라이켄바흐, 그리고 라이히 등이 이 분야의 연구를 계속 이어왔고, 이 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였다.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energy in modern science and Ki-energy can be thought as the difference in energy with quantitative property only and energy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perties. The origin of the research on the Ki-energy with qualitative characters in western hemisphere begins with Franz Anton Mesmer. During the last 200 years since Mesmer, Reichenbach and Reich succeeded the research.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these three persons’ researches on the Ki-energy are summarized.

      • 생명현상과 존재

        방건웅(Gunwoong Bahng) 한국정신과학학회 2008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2 No.1

        생명현상에 대해 논의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생명에 대한 정의이다. 생명에 대한 정의는 학문 분야마다 다양하게 달리 되어 있으나 가장 근원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존재에 대한 문제와 부딪치게 된다. 이것은 또한 자연과학의 근원적 질문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점장(zero point field)을 기초로 한 만물의 발생을 설명하고 이 설명에 따른 만물의 실상과 존재에 대해서 논하였다. 특히 우주의 비국소적 특성을 뒷받침하는 양자역학의 실험결과와 존재에 대한 상대적/절대적 관점을 연계 지어 설명하였다. 생명체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창발현상을 포함한 모든 생명 현상의 배후에는 보이지 않는 내재적 원리/질서가 있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존재의 가치와 자유의지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most critical question regarding life phenomena is the definition of life. Even though definition on life is different depending on research fields, the most basic question which must be resolved is the concept of existence. In this paper, evolution of everything including life was explained starting from the zero point field and why the reality of everything has been described as an illusion in oriental tradition was derived. Especially, non-locality according to the quantum mechanics was adopted to explain the absolute and relative points of view on the existence. Also the concept of quantum state was applied to explain free will.

      • KCI등재

        로크웰 경도 순회 비교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방건웅(G . W . Bahng),탁내형(N . H . Tak) 한국열처리공학회 2001 熱處理工學會誌 Vol.14 No.5

        N/A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ardness test results, Rockwell hardness round robin test was carried out for 10 laboratories. The test condition was the same with the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standard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KRISS) supplied the hardness standard blocks and an indenter to laboratories for the measurement. The participating laboratories measured hardness of the specified areas on the blocks for 6 times with their own indenter as well as common indenter, respectively, and report the results to KRISS. The result showed that quits large amount of the differences came from the indenter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indenter with better quality for improved reliability in hardness measurement.

      • 수소경제의 문제점과 신에너지원의 필요성

        방건웅(Gun-Woong Bahng) 한국정신과학학회 2009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3 No.1

        수소가 무공해의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음에 따라 수소경제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수소가 연소되면 물이 나올 뿐이므로 청정 연료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핵심이 되는 수소의 생산에 대해서는 별 언급이 없다. 현재 대부분의 수소는 천연가스나 석유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휘발성 가스를 고온에서 수증기와 반응을 시켜 열분해하는 방식으로 얻어진다. 고온의 온도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필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수소 생산 과정을 같이 고려한다면 전체적으로 수소 경제는 문제가 많다는 것이 드러난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이 개발되지 않고는 수소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껏 알려진 대체에너지원 외에 다른 신 에너지원이 없는지 살펴볼 것이다. Hydrogen is expected as a clean energy source for the future to be used in automobile, home heating, etc. It is certain that hydrogen itself do not produce any harmful pollusive materials, however,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we need natural gas or petroleum gas. These fossil fuel should be dissociated into hydrogen and carbon monooxide or carbon dioxide at high temperature. As a consequence, production of carbon dioxide is unavoidable and this makes hydrogen economy as a fraud. Without developing environment friendly new energy source, hydrogen economy could not be realized. In this papaer, new alternative energy sources are reviewed.

      • KCI등재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폐패각 소멸 처리

        방건웅(GunWoong Bahng),박현(Hyun Park),서명희(Myung Hee Suh),홍한의(Hany Hong)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8

        목적: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수산물 생산/소비국가로서 굴을 포함한 조개류도 예외는 아니다. 굴은 국내 양식산업에서 단일 품종으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생산량은 매년 평균 30만 톤 이상이다. 문제는 굴을 채취한 다음에 발생하는 굴 껍데기로서 28만 톤 이상에 이른다. 이 가운데 70% 정도는 재활용되고 있으나 남는 껍데기가 6만톤 이상이 되어 악취, 수질 오염 등의 심각한 환경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지자체에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으나 악취를 제거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 굴 껍데기 자체를 소멸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종 미생물이 아닌 복합미생물을 이용하여 굴 껍데기 소멸처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장치로는 최초로 Q 마크를 받은 장비를 이용하였다. 굴 껍데기와 음식물류 폐기물을 1:1로 혼합하여 투입한 다음에 복합미생물을 이용하여 80℃의 높은 온도에서 분해 소멸 처리를 하였다. 복합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토양 미생물들이 하나의 활성화된 공생 관계의 생태계를 이루도록 제조하여 강력한 분해 상승효과가 얻어지도록 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실험 결과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오는 유기성분을 분해하려면 최소 48시간 이상 처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성분이 분해된 다음 굴 껍질이 조각 형태로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된 시료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서 아라고나이트와 캘사이트로 확인되었다. 복합미생물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초기에는 주로 Firmicutes이었으나 실험 시작 29시간 후에는 Proteobacteria가 절반을 차지하였고, 77시간이 지나면서 Firmicutes A로 바뀌었다. 72시간 만에 유기성 성분은 모두 분해되고 투입 중량 대비 10% 이하로 감소되었다. 음식물쓰레기중 유기성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최소 48시간 이상의 처리가 필요하며, 유기성분이 분해된 후 굴 껍질이 미세한 입자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서 아라고나이트와 방해석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패각의 주성분이 탄산칼슘이고 탄산칼슘이 생석회와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온도가 약 800℃임을 감안할 때, 패각의 중량 감소 결과는 기존의 열분해 기전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복합미생물에 의한 새로운 패각 분해 기전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Objectives : Korea is a global aquatic product producer/consumer country, and shellfish including oysters are no exception. Oysters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as a single variety in the domestic aquaculture industry. The production volume reaches an average of more than 300,000 tons per year. The oyster shells left after harvesting oyster is reaching over 280,000 tons/yr. About 70 % of these are recycled, but the remaining shells which are over 60,000 tons,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odor and water pollu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local governments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icroorganisms, but it was effective only to remove odors and it was not possible to decompose the oyster shell itself.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 of waste shell decomposition by using multi-complex microorganisms rather than microorganisms composed of a few species. Methods : As a waste food extinction facility in Korea, the first certified Q mark equipment was used. After mixing oyster shells and food wastes in a 1:1 ratio, they were subjected to decomposition and extinction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of 80 ℃ using multi-complex microorganisms. Multi-complex microorganisms are composed of various soil microorganisms, including aerobic and anaerobic microorganisms. They are in an activated ecosystem by forming a symbiotic relationship to obtain a strong decomposition synergistic effect. Results and Discussion : The composition of complex microorganisms was mainly Firmicutes at the beginning, but Proteobacteria accounted for a half after 29 hours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after 77 hours, it was shifted to Firmicutes A. All-organic components were decomposed within 72 hours, and the shell was changed to a powder form, and the total weight was reduced to less than 10% of the input total weight. It was found that treatment for at least 48 hours was required to decompose organic components from food waste, and after the organic components were decomposed, oyster shells were transformed into fine particles. The main components of the particles were calcium carbonate, which was identified as Aragonite and Calcite. 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the main component of the shell is calcium carbonate,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calcium carbonate is decomposed into quicklime and carbon dioxide is around 800 ℃, the result of weight loss of the shell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the existing thermal decomposition mechanism. It is necessary to explore further a new possible mechanism of shell decomposition by complex microorganisms.

      • KCI등재
      • KCI등재

        로크웰 경도 국제비교교정 결과 분석

        방건웅(G . W . Bahng),탁내형(N . H . Tak),(T . Poizin) 한국열처리공학회 2001 熱處理工學會誌 Vol.14 No.6

        N/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wide unified scales of the Rockwell hardness test with conical indenters, round robin test was carried from 1998 to 2000. The pilot laboratory was MPA-NRW and 12 laboratories from 11 countries participated in this RRT Rockwell hardness of 74 specially prepared blocks was measured for the scales of C, A, D, 45N, 30N, and 15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geometric form of indenter affects on the results very significantly and standardization i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indenter should be established in short time for the reliable hardness measurement. KRISS showed good results in general for all of the ranges except 15N scale which showed relatively large difference compare to the mean value. It was concluded that poor control in loading velocity of the dash pot was the major r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