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경제의 노동생산성과 성장 및 고용 -OECD 국가와의 국제비교-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생산성학회 2011 生産性論集 Vol.25 No.4

        This study shows that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are related closely in most target countries, and demographic change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are also identified as major variables for economic growth. Since 2000`s, the demographic and labor market factors have been more emphasized as inhibition factor of Korean economic growth than in the past. In 2000`s, with decrease in productivity improvement, employment growth rate have also not been able to reach half of 1980`s. This reveals that negative effects from substitution effect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has descended while positive effects from compensation effect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has relatively decreased more. However Korea shows still higher substitution effects and compensation effects in comparison internationally in 2000`s.

      • KCI등재

        상장기업의 교육훈련 파급효과 분석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경제학회 2012 經濟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타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를 통한 지식형성 활동이 자기기업의 지식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훈련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이때 지식 또는 숙련의 자산적 속성은 교육훈련스톡 추계를 통해, 기업간 기술적 특성의 유사성은 특허자료를 활용한 지식근접도 추계를 통해 분석 에 반영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숙련 또는 지식이 기업간에 누적적으로 축적되며 긍정적 외부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기업경영의 단기성과 확대된 외부 노동시장이 외환위기 이후 기업 교육훈련투자 위축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의한 영향은 파급효과를 통해 경제전체의 지식형성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기업일수록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pillover effects of corporate training between listed companies after financial crisis. Spillover effects in this study are defined as the effects of one company`s knowledge formation activity to the other`s knowledge formation activity. Characteristic of knowledge or skill as stock was applied to analysis by estimating Education and Training stock. The technological nearness between companies was applied to analysis by estimating the proximities of the companies in technology space from patent data, too. Empirical results identified spillover effects. This means skill or knowledge is formed cumulatively between companies and has positive externality. And the short-term oriented company management and expanding external labor market after the financial crisis caused less investment on corporate training. These causes had more influence on large enterpris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of knowledge formation over the entire economy through the spillover effects.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서비스화와 구조변화의 특징 -생산성 분해를 통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업종별 분석과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0 勞動經濟論集 Vol.33 No.1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비교 대상국 가운데 가장 빠른 고용의 서비스화와 가장 큰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가 나타났다. 생산성 분해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이는 외환위기 전에 비해 생산성과 고용의 변동이 반대로 일어나는 부정적 구조변화의 경향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조업의 경우 고용 비중은 줄면서 자체의 생산성 향상 중심으로, 서비스업은 반대로 자체의 생산성 향상은 지지부진한 체 고용의 흡수를 통한 성장을 주로 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국제비교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뚜렷이 드러난다. 그리고 한국의 서비스업은 제조업에 비해 부정적 구조변화의 경향이 외환위기후 더 심해졌다. In this article, since the financial crisis, Korean employment movement to service market, productivity gap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was significa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 results from productivity decomposition show that negative structural changes, which employment increase is contrary to the productivity, have been intensifi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It is caused from a different developing pattern. While the proportion of employment was reduced, productivity has improved in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the developing was due to the high increase of the employment proportion in service industry, productivity w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This tendency is clearly revealed in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Korea the negative trend of structural changes in service industry are intensified compared to manufacturing industry after the financial crisis.

      • KCI등재

        사업주 직업훈련지원제도가 교육훈련투자 성과를 촉진하는가? -기업규모 간 비교를 중심으로-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3 勞動經濟論集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사업주 직업훈련지원제도가 교육훈련투자를 촉진하고, 촉진된 교육훈련투자가 생산향상으로 이어지는지를 기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이 기업의 교육훈련투자를 촉진하는 효과가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에서는 분명히 관찰되고 있지 않다. 또 정부지원을 통한 교육훈련투자 증가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보다 분명히 생산성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교육훈련투자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정부지원을 통한 교육훈련투자의 성과향상 효과가 훼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교육훈련투자를 하고 있는 대기업에 대한 정책 효과가 중소기업에 비해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This artcle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s of a training subsidies of corporate training investment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using enterprise data. I find that large sized enterprises don`t have clear positive effects, but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of training subsidies decrease. So large sized enterprises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of corporate training investment have the restricted effect of training subsidies compare to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교육훈련활동과 연구개발활동의 생산성 효과: 교육훈련스톡 추계치를 이용한 분석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1 勞動經濟論集 Vol.34 No.1

        본 연구는 기업수준에서 교육훈련스톡, 연구개발스톡, 특허출원스톡 추계를 통하여 교육훈련활동과 연구개발활동의 생산성 효과에 대하여 분석한다. 특히 교육훈련투자를 스톡으로 구축하여 추정에 이용함으로써 숙련의 자산성을 분석에 반영하였다. 교육훈련투자의 파급효과 분석시 기술적 근접도를 이용한 것과 동적패널 분석을 이용하여 장단기 효과를 구분한 것 역시 방법론상의 새로운 시도이다. 분석 결과, 교육훈련투자의 생산성 효과는 연구개발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활동과 연구개발 활동은 자체효과뿐만 아니라 파급효과와 장기효과를 통해 기업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analyses a productivity effect by E&T and R&D activities via estimation of E&T stock, R&D stock, and patent stock in a corporate level. Particularly, the analysis reflects the effects of skilled training after estimating E&T stock from E&T flow. When a spillover effect of E&T is analyzed, a methodology using technical proximity concept becomes a new experiment. Also classifying long and short term effects from the usage of Dynamic Panel Data Analysis becomes a new trial, too. The results of study appear that the productivity effects from E&T investments are relatively lager than R&D investments. Through spillover effects and long-term effects E&T and R&D activiti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orporate`s produ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지식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반가운(Ban Ga Wo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5 사회경제평론 Vol.28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지식축적과 고숙련ㆍ고임금 좋은 일자리 제공이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재벌대기업, 일반대기업, 중소기업 간 파급효과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이 교육훈련과 연구개발에 대한 균형 잡힌 지식투자를 할 때 좋은 일자리가 창출된다. 지식축적의 기업 간 파급효과는 낙수효과와 분수효과가 모두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오히려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이 감소할 경우 재벌대기업 일자리의 고임금화가 발생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협력중소기업에서 지배대기업으로의 가치이전을 주장하는 체계합리화론이 묘사하는 기업 간 관계가 한국의 기업생태계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혹은 교육훈련투자를 통한 중소기업 인력의 역량강화가 재벌대기업 일자리 고임금 비중의 감소로도 이어지는데, 이는 위계적 기업 간 관계에서 대ㆍ중소기업 간 상생의 관계보다 경쟁관계 혹은 부정적 권력관계가 작동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동시에 중소기업의 저숙련과 기업규모 간 일자리 질 격차에 위계적 기업생태계의 최정점에 있는 재벌의 문제가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pillover effect of firm's knowledge accumulation on firm's job quality between chaebol large sized firms, other large sized firms, and small&medium sized firms. Empirically I found firm's balance knowledge investment of education&training and research&development creates more high skilled and higher-paid good jobs. I also found that trickle-up effect and trickle-down effect both are not working. Instead, the decrease of small&medium sized firms' education&training investment caused the increase of chaebol large sized firms' wage. This empirical results is supporting evidence of System Rationalization Theory's validity in Korean enterprise ecosystem. At the same time, this means that chaebol is a reason of small&medium sized firms' low skill and the gap of job quality between firms.

      • KCI등재

        숙련인력 구인난이 재직자 숙련부족에 미치는 영향 -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반가운 ( Ga Woon Ba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4 산업노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숙련인력 구인난이 재직자 숙련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한다. 이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채용시 숙련인력 부족과 재직자 숙련부족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우선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이 둘을 모두 보고한 기업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중소기업의 경우 숙련인력 구인난과 재직자 숙련부족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대기업에 비해 더 높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채용시 숙련인력 부족이 재직자 숙련부족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해 보았다. 직종과 무관한 개별 사업체의 비관측 속성과 사업체와 무관한 개별 직종의 비관측 속성을 모두 통제한 고정효과 로짓 모형 분석 결과 제조 중소기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교육훈련 역량이 부족한 현실에서 제조 중소기업의 숙련인력 구인난은 재직자의 숙련수준 저하로 이어진다고 판단된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숙련격차를 확대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empirically explores the impacts of skill labor shortages that firms face on the employees` skill level of those firms. Especially this study analyses the difference between large sized firms and small & medium sized firms. In the first place, this article examined the co-occurrence of Skill Shortage Vacancies(SSVs) and Employee Skill Gaps(ESGs). Small & medium sized firm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SVs with ESGs simultaneously compared with large sized firms. For conducting a further study to check the causation, Fixed Effect Logit Model controlling firm specific and job specific fixed effects is adopted. From the analysis, small & medium sized fir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Namely, SSVs that small & medium sized firms suffer cause the ESGs of those fir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empirical result means that the skill labor shortages of small & medium sized firm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ll cause the lowering of their employees`s skill level. This will be a factor of widening the skill gap between large sized firms and small & medium sized firms.

      •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최윤정(Yunjeong Choi),정해숙(Hae-sook Chung):반가운(Ga-woon Ban),김상미(Sangmi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이로 인한 일자리의 변화는 노동시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의 변화 또한 불가피하게 함.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과 지식의 변화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마저 낡은 것으로 만들어버림에 따라 새로운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유지, 발전시키는 것이 인력정책의 중요한 이슈가 되었음. □ 그러나 역량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여성의 실제 역량 수준은 경쟁국과 비교해 그다지 높지 않으며, 남성과의 격차는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됨. 특히 한국 여성들의 낮은 역량은 경제활동 상태와 연령 등에 따라 상이하다는 보고가 있어 여성인력의 활용과 배분에 문제의식을 더함. □ 이에 본 연구는 OECD PIAAC을 활용하여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우리나라 여성들의 역량 및 역량활용 수준과 실태를 분석하고, 여성 역량의 결핍지점을 파악하는 한편, 국제 수준에서 한국 여성들의 역량을 진단함으로써 여성 역량 개발의 정량적 논거와 정책 개입 지점을 발굴하고자 함. 2. 연구 내용 □ 역량 개념과 젠더 이슈 검토 □ 한국 여성의 역량 및 역량활용 수준 분석 - 여성 전체, 취업 여성, 실업 여성, 비경활 여성의 집단별 분석 □ 직종별, 산업별 여성의 역량 수준 및 역량 미스매치 분석 □ 한국 여성의 역량 특성 및 역량의 영향요인 □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역량의 관계 분석 3.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역량의 개념 및 역량에서의 젠더이슈 검토 □ OECD PIAAC 분석 - 24개국 16만 여명의 성인이 참여한 OECD PIAAC(2013, Round-1)을 활용하여 한국 여성의 역량 실태 분석 - 역량의 성차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 남성을, 국가간 수준에서 한국 여성의 역량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PIAAC 참여국 여성 평균을 비교집단으로 활용 □ 기타 자료 분석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고용조사, OECD 통계 자료를 활용한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현황 및 특성 파악 □ 전문가 자문회의 - 연구방향 및 연구내용 관련 두 차례, 연구방법 관련 한 차례 자문회의 진행 - OECD PIAAC 담당자와의 서면자문 한 차례, 정책제언 관련 서면자문 한 차례 진행 4. 용어의 정의 및 해석 □ 본 연구에서는 OECD PLAAC을 중심으로 여성의 역량을 분석하는 바, 역량 및 역량활용의 범위와 내용, 정의 또한 해당 조사에 따른다. - 역량: PIAAC이 측정한 언어능력, 수리력, 컴퓨터상 문제해결력을 의미 - 역량활용: 자기보고 방식으로 조사된 개인의 역량 활용 빈도로 일상생활 및 직장에서의 읽기활동, 쓰기활동, 수리활동, ICT활동과 직장에서의 과업재량, 직장에서의 학습, 영향력, 계획력을 의미 Ⅱ.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실태 □ 전체 여성 뿐 아니라 경제활동 상태에 따라 취업 여성, 실업 여성, 비경제활동 여성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여성들의 역량 및 역량활용 수준을 분석함. □ 한국 여성의 역량 및 역량활용 수준을 22개 PIAAC 참여국들과 비교한 결과 은 경쟁 국가들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됨(표 1). - 한국 전체 여성의 역량은 언어능력 16위/22개국, 수리력 15위/22개국, 컴퓨터기반 문제해결력은 14위/19개국으로 모두 10위권 밖이며, 일상생활에서의 역량활용 수준 또한 22개 국가 중 수리활동(8위)만 참여국 평균을 상회할 뿐, 읽기활동(18위), 쓰기활동(13위), ICT활동(20위)은 모두 참여국 평균에 미달함. - 취업 여성의 경우, 언어능력, 수리력, 문제해결력은 각각 19위/22개국, 18위/22개국, 18위/22개국으로 최하위 수준이며, 쓰기활동(1위) 수준이 이례적으로 높고, ICT활동이 참여국 평균을 살짝 상회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6개 역량활용 변수들은 모두 참여국 평균에 미달임. · 특히, 취업여성들의 역량활용 수준은 22개국 중 과업재량이 16위, 직장 내 학습이 22위, 영향력은 19위, 계획력은 20위로 비인지적 영역의 역량활용 수준이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비단 한국 여성뿐 아니라 한국 남성들도 비인지적 영역의 역량활용(과업재량 11위, 직장내 학습 22위, 영향력 15위, 계획력 20위)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조직문화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음. - 실업 여성의 경우, 언어능력(4위/22개국)과 수리활동(9위/22개국)은 참여국 평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역량 및 역량활용이 모두 참여국 평균에 미달하였음. 특히, 문제해결력이 19개국 중 18위, 쓰기활동과 ICT활동이 22개국 중 각각 17위, 20위로 최하위 수준임. Ⅰ. INTRODUCTION In this knowledge-based era, competencies of adults affect not only individual earnings but the level of national earnings as well. Despite such importance of competencies, the competencies of Korean adults are not in much higher level than those of rival countries in comparison. With the conspicuous tendency among Korean women to stop economic activities and chip off of the labor market with marriage, childbirth, and rearing, even though they learned to attain high-level competencies through school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the competencies they have earned or further develop them throughout their lifetime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labor market. In reality, in the 2013 Skills Outlook of the OECD, Korea showed the highest gender difference in literacy among countries included in the assessment.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nalyzed the level of skill proficiencies and skill uses of Korean women using OECD PIAAC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released in 2013, and compared them between genders and with those of the countries included in the assessment. Through such diagnosis of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on an international level, this research tried to discover the point of intervention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Ⅱ. MAIN FINDINGS 1. Competencies of employed/unemployed/not in-labor force The level of competencies and skill uses of Korean women is found to be lower compared to rival countries. Of the 22 countries covered in the PIAAC PUF (public user files), which this research analyzed,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ranked 16th in literacy, 15th in numeracy, 14th in problem solving ― all of which failed to be under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The level of their skill uses also fell short of the average of all participating countries in terms of reading, writing, ICT, with just only the ranking of numeracy at 8th place exceeding the average of countries covered. Weaknesses in the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are revealed more conspicuously among employed women. Their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re revealed to be in the lowest level among 22 countries included in the assessment program, ranking 19th, 18th, and 18th, respectively. In terms of skill uses, also, with the exceptions of unprecedented high ranking (1st) in writing activity and slightly above-average ranking in ICT activity, the rest six competency variables fall short of averages of participating countries. In terms of such non-cognitive generic skills as task discretion, learning at work, influencing skills, and planning skills, in particular, the competencies of Korean women are found to be in the lowest level. What is notable, on the other hand, is that rankings of women who are not in labor force are remarkably higher that those of employed women. Their rankings in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re 5th, 8th, 10th, respectively, which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employed women. This shows that a larger portion of women of high competencies compared to the numbers of those in other OECD countries are not participating in labor force in Korea. When viewed from a national perspective, this means a serious leakage of high-competency man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