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갑상샘의 소포샘종과 소포암종의 세포 소견: 세침흡인 세포 진단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희대,박운선,김선희,최석현,조영혜,강성희,이경분,김민경,김동훈,채승완,손진희,Park, Hee-Dae,Park, Woon-Sun,Kim, Sun-Hee,Choi, Seock-Hyun,Cho, Young-Hye,Kang, Sung-Hee,Lee, Kyung-Bun,Kim, Min-Gyeong,Kim, Dong-Hoon,Chae, Seoung-Wan,Shon 대한세포병리학회 2008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9 No.2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cannot differentiate follicular adenoma from follicular carcinoma since this distinction can only be based on the presence of capsular or vascular invasion, and this can¬not be detected on a cytologic smea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diagnostic cytologic findings of follicular neoplasm and the possibility of diagnosing follicular neoplasm by performing FNAC. The cases of histologically diagnosed follicular adenoma and follicular carcinoma on the thyroidectomy specimens were retrieved. Among them, the cases with preoperative FNAC that was done within 3 months of the operation were finally selected. Then we reviewed the FNAC and histologic slides of 19 cases: 9 follicular adenomas and 10 follicular carcinomas. Our results suggest that for cases of follicular neoplasm, the aspirates show high or abundant cellularity, frequent follicle formation and occasional cellular atypism of the follicular cells. However, the atypism is more pronounced and more frequently noticed in the cases of follicular carcinoma, which reveals more higher anisocytosis (7/10, 70%), nuclear pleomorphism (9/10, 90%), coarse clumping of chromatin (8/10, 80%) and cellular overlapping (8/10, 80%).
박희대,채정규,하상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al origin of propionic acid in the rice cakes by investigat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microflora and their production of propionic acid in theJoraengyi rice cake during storage period. The experiment was done in two stages within a period of three month: the rice cake fresh and contaminated with cocktail propionibacterium. The propionic acid produ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by GC-FID (Gas chromatograph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During the storage of the fresh Joraengyi rice cake without alcohol at 30 ℃, about 95 ppm of propionic acid was detected in 1st week, 330 mg/L in 4th week, 850 mg/L 6th week, 970 mg/L in 8th week, and 1,040 mg/L in 12th week. During the storage of the Joraengyi rice cake which was contaminated with cocktail propionibacteriumat 30 ℃, about 100 mg/L was detected from the rice cake with alcohol in the 1st week, 270 mg/L in 2nd week, about 470 mg/L in 4th week, and 660 mg/L in 8th week.This study demonstrated the natural production of propionic acid during storage of the Joraengyi rice cake. To prevent the production,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hygiene and store it at refrigerated temperature or below 20 ℃.
조랭이 떡에 존재하는 자연균총 유전자 군집분석 및 천연유래 프로피온산 생성능 분석
박희대,채정규,하상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조랭이떡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분석과 자 연균총의 프로피온산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조랭이떡의 자연균총을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해 프로 피온산 생성균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프로피온산 생성균을 포도당이 첨가된 액체배지(TSB)에 배양해 온도별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FID)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에테르로 용매 추출 하는 전 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 한계, 회수율을 측정해 프로피온산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유통기한이 지나 미생물이 많이 자란 조랭이떡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총 98종의 균이 검출되었고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점종은 Lactobacills casei group으 로 50.48%를 차지했고, Lactobacillus buchneri가 29.60% 였다. 프로피온산 생성균은 Propionibacterium thoenii, P. cyclohexanicum, Propionibacterium_uc, P. jensenii, P. freudenreichii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자연균총의 약 2.4%를 차지했다. 조랭이떡 자연균총과 Lactobacillus 속은 14일 배양에서도 프로피온산을 생산하지 않았으나 P. cyclohexanicum, P.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P. thoenii, P. jesenii는 4일차부터 프로피온산을 각각 263.47, 338.90, 325.43, 222.17 μg/mL를 생산하였고, 7일차에는 1,572.78, 2,496.63, 1,519.65, 2,660.41 μg/mL, 14일차에는 각각 2,462.02, 2,904.78, 2,220.64, 3,519.17 μg/mL로 프로피온 산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살펴 볼 때 전분과 포도당으로 구성된 떡류의 특성상 저장중 자연균총 미생물의 성장으로 높은 농도의 프로피온산이 천연유래로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떡 류 등 전분질 식품의 프로피온산 등 천연유래 보존료 검 출의 인정 및 기준규격 등 안전관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icrobial community and propionic acid production ability of natural microflora in the rice cakes. Genetic analysis of natural microflora in Jorangyi rice cake was performed to select propionic acid - producing bacteria. Selected propionic acid-producing bacteria were cultivated in TSB (tryptic soy broth) supplemented with glucose,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emperature and production of propionic acid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FID). Linearity, detection limit, quantitative limit, and recovery rate were measured to verify propionic acid assay. A total of 98 microbial strains were detected from microflora of Joraengyi rice cake that grew after expiration of shelf life. Lactobacillus casei group accounted for 50.48% and Lactobacillus buchneri was 29.60%. Propionic acid - producing bacteria were Propionibacterium thoenii, P. cyclohexanicum, Propionibacterium_uc, P. jensenii, and P. freudenreichii. Natural bacteria and Lactobacillus spp. did not produce propionic acid during 14 days but P. cyclohexanicum, P.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P. thoenii and P. jesenii produced 263.47 μg/mL, 338.90 μg/mL, 325.43 μg/mL and 222.17 μg/mL during 4 days and 2,462.02 and 2,904.78, 2,220.64, 3,519.17 μg/mL during 14 day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ffirmed that the natural microflora of Joraengyi rice cake during storage can produce propionic acid from natural sources even if a high concentration of propionic acid is not intentionally added.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composed of starch and glucos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cognition criterion to detect natural preservatives such as propionic acid in starchy foods such as rice cakes and as reference standard safety management data.
RF MEMS 기법을 이용한 US PCS 대역 FBAR BPF 개발
박희대 한국전자파학회 2003 전자파기술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상온에서 증착된 ZnO압전박막을 이용하여, 1.96 GHz 대역의 air gap type의 FBAR BPF를 개발하였다. <br/> FBAR BPF는 Si wafer에 절연막으로 열 산화막층(SiO₂)을 형성한 후, 형성된 산화막 위에 바닥전극(Al), ZnO압전층 그리고 상부전극(Mo)를 차례로 RF magnetron sputter 장비를 사용하여 증착시키고, Si wafer를 dry etching하여 air hole을 구현함으로써 device를 제조하였다. <br/> 제조된 FBAR BPF의 ZnO압전층의 XRD분석 결과 (002)면 방향으로 우선배향되었으며, XRC의 o값은1.018이었다. 삽입손실 1dB 내외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developed 1.96 GHz air gap type RBAR BPF using ZnO as piezoelectric sputtered by RF magnetron at room temperature. <br/> FBAR BPF was fabricated by sputtering bottom electric (Al), ZnO as piezoelectric and top electrode(Mo) on Si wafer one by one with RF magnetron sputter, then Si was dry etched to make an air hole.<br/> XRD test result of fabricated FBAR BPF showed that ZnO crystal was well pre-oriented as (002) and sigma value of XRC was 1.018.IL(Insertior, loss) showed excellent result as 1dB.
박희대,박용석,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3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3 No.-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에 따라 공공건설사업 효율화를 위해 총공사비 300억 원 이상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준공 후 5년 이내에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있음. - 평가 내용은 사업 전반의 사업성과(공사비 및 공사기간 증감률, 안전사고, 설계변경, 재시공 등), 효율성(수요 및 B/C) 및 파급효과(민원, 하자, 지역경제, 환경 등) 등임. - 300억~500억 원 미만 공사는 사업효율 및 파급효과 평가는 실시하지 않음. 안전 부문의 사업성과 평가지표는 강도율과 재해율 두 가지를 평가하도록 정하고 있는데, 타 사업성과와 달리 안전 성과지표가 건설사업정보시스템(CALS)을 통해 수집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임. - 강도율은 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요양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를 의미하며, 재해율은 임금근로자수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수의 비율을 의미함. - 사후평가는 사업장 단위로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빈도가 낮은 사고사망자가 아닌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은 재해를 기준으로 평가기준을 정한 것으로 판단됨. ● 현행 안전 부문의 사업성과 평가, 근로자 안전 측면에 한정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는 사고사망만인율로,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에 명시된 건설업체 산업재해발생률 제도를 기반으로 함. - 정부는 시공능력평가,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입·낙찰제도에서 활용하는 안전지표를 기존 환산재해율에서 사고사망만인율로 개정하였음. - 또한, 사업장 단위의 자료 수집의 객관성 등을 고려할 때 현행과 같은 강도율·재해율 지표의 지속적인 활용은 재고가 필요함. 또한, 사후평가제도는 「건설기술 진흥법」에 근거하고 있는데, 「건설기술 진흥법」의 안전관리는 사업장 내부의 시설물 안전과 사업장 외부의 시민 안전 확보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만큼 「건설기술 진흥법」의 안전관리 목적에 부합하도록 개선이 필요함. - 현행의 강도율, 재해율은 근로자 안전 확보와 관련한 지표이며, 「건설기술 진흥법」은 건설사고에 일정규모 이상의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체계 개선이 필요함.
박희대,최석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6 건설이슈포커스 Vol.2016 No.-
▶ 본고는 건설산업 원가관리의 역량 제고를 위해 도입된 건설원가관리사 민간 자격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건설 원가관리 전문가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유사 자격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자격제도 공인화를 포함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함. ▶ 건설 프로젝트의 원가관리는 승인된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견적, 예산 수립, 사업비 관리 행위를 포괄하는 건설관리 업무의 핵심 요소이나, 국내 업체들의 원가관리 역량은 개선이 시급한 수준임. - 사업 수행 업체들의 사업비 관리에 대한 발주자들의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해외 선진 업체의 사업관리 수준과 비교할 때에도 격차가 큰 실정임. ▶ 건설산업의 원가관리 역량 제고 및 효율성 향상, 그리고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공사비 산정 전문가의 필요성에 따라 민간 자격인 건설원가관리사가 도입되었으나 산업 차 원의 역량 제고 효과는 미흡함. - 제도적 활용 규정과 발주처의 요구 없이 건설 원가관리 역량을 높이고, 전문가에 대한 수요만으로 건설원가관리사의 현업 활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 미국과 일본의 건설 원가관리 자격제도는 수준에 따라 자격을 구분, 스킬업 커리어패 스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 자격제도를 중장기적으로 체계화·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에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에서 발주하는 각종 공사나 물품의 제조·구매 예정가격 을 결정하는 국가 공인 민간 자격 ‘원가분석사’는 건설 원가관리가 포함하는 다양한 영역 중 요소 비용 추정을 통한 견적 이외의 영역에 적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건설원가관리사의 실질적인 역할 및 활동 기반 구축을 위해 국가 공인 민간 자격으로 의 등록 추진이 이뤄져야 하며, 자격 취득자의 전문 역량 및 산업 내 타 자격을 고려 한 위상 및 역할의 정립이 필요함. ▶ 중장기적으로는 선진국 수준의 건설 원가관리 전문가를 육성하고, 건설 기술자들의 지속적인 원가관리 역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현행의 자격제도보다 높은 지식, 전문성을 요구하는 ‘고급 건설원가관리사’(가칭)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보다 강화된 실무 경력 및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경제적 분석, 원가 정보 수집 및 분 석, 발주 및 조달 전략, 시공 기술 등을 다루는 자격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함. ▶ 건설원가관리사 자격제도에 대한 공신력 확보 및 자격 취득자의 지속적인 전문성 유 지를 위해서 자격제도의 갱신 및 유지보수 교육에 대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박희대,박철한,김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3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3 No.-
2022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건설현장 안전 제고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산업적 공감대 증가, 그리고 스마트 안전관리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 증가로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 지난 11월 실시한 한국주택협회 회원사 63개사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주택건설기업들은 스마트 안전장비·기술 중 모니터링 분야를 중점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적용 중인 현장의 비중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응답 기업의 57.1%가 전체의 70% 이상 현장에 스마트 모니터링 장비(CCTV, 비콘, 충돌·협착방지 장치 등)를 도입했으며, 14.3%는 50~70% 현장에서 활용 중인 것으로 조사됨. - 스마트 안전관리 활용의 긍정적 효과는 건설기업들의 안전사고 예방 및 감소(47.8%), 현장 작업자의 안전수준 향상(26.1%), 안전관리 데이터 축적·활용(21.7%) 등으로 조사됨. ● 주요 애로사항은 ‘스마트 안전관리에 따른 운영·관리업무 증가’, ‘예산 미반영’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의 애로사항으로는 ‘운영 및 관리업무 증가’(34.6%), ‘스마트 안전관리 비용 미반영’(23.1%) 등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도입 증가에도 불구, 사업비 계상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확인됨 - 스마트 안전관리 도입 소요비용의 사업비 반영 여부는 ‘일부 반영됨’ 69.2%, ‘충분히 반영됨’ 15.4%, ‘전혀 반영되지 않음’ 15.4%로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한 비용이 적절히 계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그림 2> 참조). - 스마트 안전관리 비용을 정상적으로 안전관리비 및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지출하는 비율은 50%에 그쳤으며, 부족한 소요비용을 본사 지원(25.0%) 또는 현장관리비(12.5%), 직접비(12.5%)에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스마트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에도 불구하고 발주처들의 관련 비용 계상은 미흡한 상황으로, 이는 타 안전관리비 항목의 지출 감소를 유인할 가능성이 높음. ● 스마트 안전장비 유지·운영 소요비용 계상, 통신인프라 구축 지원 등 개선 필요 건설산업의 스마트 안전관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안전관리비용 계상 의무화, 계상 대상 비용의 확대, 기술 정보 연계시스템 및 통신인프라 구축 등 스마트 안전관리 활용의 기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됨. -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 ‘④ 스마트 안전장비 및 안전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유지 및 운영 비용 계상’의 수요가 가장 높았음(매우 필요 57.1%, 필요 42.9%).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도입으로 인해 유지보수 등 관리업무가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함. - 이어 ‘⑤ 스마트 안전장비 및 안전관리시스템 운용을 위한 통신인프라 구축 지원’, ‘①스마트 안전장비 및 기술 정보 연계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안전장비 및 기술의 활용여건 제고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남(응답 기업의 78.6%가 ‘매우 필요’ 또는 ‘필요’를 응답). - 또한 ‘③ 스마트 안전관리 비용 계상 의무화 및 사용 상세기준 마련’에 대한 수요도 높게 나타나 소요예산의 확보, 비용 계상·집행의 정당성 확보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박희대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5 慶北齒大論文集 Vol.12 No.2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수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 - 102.1%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 - 93.7%로 나타났다.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정도 후방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 수직적으로 8.3 - 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술후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돌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하악 경조직 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erform cephalometric analysis of the facial soft tissue profile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fter SSRO in 29 patients (Males 12, Females 17).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in centric occlusion before and immediate, long term after surgeries. 1.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was observed after the surgery, average relapses of mandibular set back were 1.23-1.28mm. The net effects of the mandibular set-back after surgeries were 81.7-82.2%. Because these relapse tendencies may reduce the effects of the surgical outcomes, surgeon must consider these net effects before the surgical treatment planning. 2. The ratio of horizontal changes of hard tissue to soft tissue at lower lip, mentolabial sulcus, pogonion were 72.7-93.7%, 100.3%, 99.1-102.1% respectively. There were little changes at upper lip position anteroposteriorly. 3. The relationship of upper and lower li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Lower lip was posteriorly repostioned and upper lip was flattend and elongated in conjunction with deepening of inferior labial sulcus. But profile of chin was still prominent after surgery. 4.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and soft tissue vert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re were reverse correlations with hard tissue vertical changes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박희대,이성로 대한기계학회 1987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위의 인자들 중 .int.Pdt대신에 계산의 편의상 .int.Pd.theta.로, .DELTA.P는 최고압력차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생각되어 (.DELTA.P)$_{max}$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제인 자와 각 주파수성분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주파수역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보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Cylinder pressure level is defined the value of sound pressure level derived from relations of pressure and frequency which are obtained Fourier series expansion of cylinder pressure. CPL is alone in general use in combustion analysis without regarding attenuation coefficient determined by engine structure because it is almost constant in various kinds of engines. Combustion pressure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CPL was investigated in this paper using Wiebe combustion function superposition th obtain the effect of premixed and diffusive combu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1) Influence of combustion maximum pressure(P$\sub$max/) on CPL is correspond with total energy per cycle well. (2) P$\sub$max/, .DELTA.P$\sub$max/, (dp/d.theta.)$\sub$max/ and (d$\^$2/p/d.theta.$\^$2/)$\sub$max/ are very effective on CPL in the range of low frequency, mid-low frequency, mid-high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