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고속 휴대 인터넷에서의 핸드오버 시 차별적인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버퍼링 메커니즘
박호진(Hojin Park),김화성(Hwa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급증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며 저렴한 요금을 지향하는 새로운 형태의 무선데이터 시스템인 초고속 휴대용 인터넷(Highspeed Portable Internet: HPi) 시스템이 요구된다. ETRI(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에서 독자 개발 중인 HPi 시스템은 IEEE 802.16 표준을 기반으로 서비스 분류에 따른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이 서로 다른 셀 영역을 이동할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핸드오버 동안의 패킷 유실 발생을 방지 하기 위하여 이전 AP에서 패킷 버퍼링을 해야 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동안에 HPi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분류에 따른 차별적인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차별적인 패킷 버퍼링 메커니즘이 필요 하다. 본 논문에서는 HPi에 서의 핸드오버 시 차별적인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패킷 버퍼링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박호진(Hojin Park),오태석(Tae Suk Oh) 대한두개저학회 2021 대한두개저학회지 Vol.16 No.1
Facial paralysis can cause functional, social, and aesthetic problems, and facial reanimation is challenging in 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Facial paralysis is mainly approached by two methods, depending on the paralysis onset and muscle fibrosis degree. Recent-onset facial paralysis without muscle fibrosis is reconstructed by a nerve transfer. If the affected facial nerve is intact on the proximal side, nerve graft can be performed. New nerve sources, including hypoglossal and masseter nerve, are transferred if the affected facial nerve is damaged. In long-standing facial paralysis, wherein facial muscle fibrosis progresses, it is difficult to expect a facial movement even when new nerve signals are transferred. Therefore, it is reanimated by transplanting the muscle flap with new neural input. The free flap is more advantageous for natural restoring facial symmetry or facial movement than the local flap procedure. However, it needs a long operation time and recovery period. There are many ways to reconstruct facial paralysis. Various reconstruction methods have their pros and cons. Since the degree of facial paralysis is very diver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ous reconstruction methods and apply them to the patients.
박호진(Park, Ho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류의 미래와 직접 연관이 되며, 때로는 생태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인류가 기술적 진보를 지향(指向)하느냐 아니면 지양(止揚)하느냐는 인류의 운명이 달린 문제이다. 최근에는 인문, 사회, 자연과학을 망라하는 전 학문 분야에서 기술과 환경을 접목 조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 기술도 포기하지 않고 환경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가능할까? 포스트휴머니즘을 언급하면서 보르헤스를 언급 안하기는 쉽지 않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보르헤스를 시대를 앞서 디지털 세계와 인공지능으로 정밀화된 인조인간을 문학에서 구현해 낸 선구자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에서 보르헤스 작품을 포스트휴머니즘적 사고와 연결시키는 이론가들의 이론들을 비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르헤스가 본 인류의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보르헤스 작품과 포스트휴머니즘을 연결시킨 대표적인 이론가들은 국내에는 진중권이 있고 해외에는 『사이- 보르헤스』에 기고한 비평가들과 보르헤스의 단편 「아스테리온의 집」에 들뢰즈의 괴물학을 적용한 로사리오 뻬레스가 있다. 그러나 보르헤스의 작품들이 테크노피아의 예견에 대한 근거가 될지는 의문이다. 보르헤스 노년의 작품 중의 하나인 「지친자의 유토피아」의 요지는 인류가 테크노피아를 이루어 보았자 별것 아니라는 입장이다. 보르헤스에게 테크노피아는 인류가 거쳐 가는 여정에 불과하고 거기서 역사의 종말은 이루어지 지지 않는다. 인류는 또 다른 흥망성쇠를 반복함으로써 우리가 2015년에 바라보는 미래도 보르헤스에게는 이미 오래된 미래인 것이다. These days many scholars have got a special interest in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enjoyed the most glorious moments at home and abroad alike. This kind of studies are directly linked to the future of mankind, and some scholars think that posthumanism and ecocriticism have an opposite concept each other. It is a very important problem whether mankind can secure his future with technology or not. Recently human, social, natural sciences move to harmonize environment and technology. It means that we do not give up both technology and environment. However, is it possible? It is difficult to find a scholar who does not mention Borges while talking about posthumanism. Because people think that Borges is a pioneer in the cyber-literature of android,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ies of the scholars who connect Borges works with posthumanism and seeks into the future of the human race through the eyes of Borges.The theorists who connected Borges’s works with posthumanism are Jin Jung Kwon, the authors of Cy Borges and Rosario Pérez who analyzes the “La casa de Asterión” with the theory of Giles Deleuze.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thoughts of these authors are perfectly fitted with the technopia. “La utopia de un hombre cansado”, one of the short stories of old Borges shows that the technopia is not better than the world of today even though we could achieve it. For Borges, the technopia is only one of the phases that mankind may get through, and there is not any kind of the end of the history.
박호진(HoJin Park) 한국정보보호학회 2008 정보보호학회지 Vol.18 No.3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개인용 컴퓨터에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동의 없이 수집하거나 성가시게 혹은 불쾌한 광고를 출력하는 프로그램들로 가득차 있는 것을 자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행동들은 사용자의 적절한 동의 절차 없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이고 바로 여기서부터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할 것이다. 그러나 법적으로 스파이웨어(Spyware)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고 그나마 (구)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문건은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롭게 변화하는 스파이웨어들에 법적인 구속력을 적용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현재 국ㆍ내외에서 스파이웨어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스파이웨어를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법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환경으로 본 안데스 전통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
박호진 ( Hojin Park ) 인문사회 21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in the And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 East Asian culture, and it argues that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stem from the environments of the two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lationshi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 culture, was compared with the Andean principle. On the base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analyzes why East Asian culture has relative similarities to Andean traditional culture relying on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culture relationship especially expounded by Cheolsung Lee (2021). He distinguishes East Asian rice farming culture from wheat farming culture. But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ong cooperative cultur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rice farming culture but other styles of farming is also accompanied with a cooperative culture, as Andean traditional culture proves. In this culture difficul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stable water supply and natural disasters make Andean farmers keep such a strong cooperative culture as East Asian’s.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East Asian scholars give an attention to the Andean pecular culture and environment.
가상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반 유비쿼터스홈 네트워킹 구조
박호진(Hojin Park),박준희(Jun-Hee Park),김남(Nam Kim) 大韓電子工學會 2010 전자공학회논문지TC (Telecommunications) Vol.47 No.7
유비쿼터스홈은 댁내 뿐 아니라 휴대폰, 노트북 및 사무실 PC 등 댁외 개인기기를 포함하는 논리적인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기 간에는 NAT, 방화벽 등 기기 간 네트워킹을 제한하는 요소가 존재한다. 또한 댁내에는 IP, IEEE1394, PLC, 블루투스, ZigBee, UWB, IrDA 등 물리적 전송 특성 및 프로토콜이 상이하여 상호 연동이 불가한 이종 네트워크 내에 다양한 기기가 공존하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기기 간 서비스 및 자원의 자유로운 조합이 필수적인 유비쿼터스홈 환경에서는 댁내외 이종 기기 간 자유로운 서비스 연동이 필수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홈에서 기기 간 seamless 통신을 제공하는 가상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댁내외 이종 기기 간 서비스의 자유로운 광고, 검색 및 엑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모델을 제시한다. Ubiquitous home refers not only to home but also to logical space, including a wide range of out-home perso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laptops, car navigators, and office PCs. There are certain connection barriers among the devices, such as the dynamic IP address, NAT. In a home network, various devices coexist in heterogeneous networks, such as IP, IEEE1394, PLC, Bluetooth, ZigBee, UWB, and IrDA, all of which lack interoperability due to their different physic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protocols. In ubiquitous home where an unrestricted collaboration of the devices is essential to offer services that meet the users’ requirements, free interoperability among the devices must be guaranteed. This paper proposes a networking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devices in a ubiquitous home based on a virtual overlay network which hides the complicated physical network configurations and heterogeneity of the service protocols.
소득 수준에 따른 사망률 분석과 국민연금 제도하에 소득재분배에 대한 시사점
박호진 ( Hojin Park ),안장혁 ( Janghyeok An ) 한국연금학회 2024 연금연구 Vol.14 No.1
The National Pension Plan (NPP) has been a cornerstone of financial security after retirement in Korea since its inception in 1988. Despite its crucial role, the NPP faces significant financial challenges, with projections indicating the fund to be depleted by 2055.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differential mortality rates by income levels and its implications for income redistribution under the NPP. Using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from 2006 to 2020 (2,042 out of 6,974 participants aged 45 or older having exited due to death), we employ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death by income levels. Our findings reveal that higher income level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mortality risks (p < 0.01), with the highest income quartile showing reduced mortality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p < 0.05). As a result, lower-income individuals may receive less in lifetime benefits relative to their contributions, undermining the redistributive goals of the NPP.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policy adjustments, such as incorporating mortality rate adjustments into benefit calculations and enhancing support for lower-income individuals, to ensure both equity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of the NPP.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policymakers aiming to reform the NPP to better achieve its intended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