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막보호 유리벽의 가열면 온도변화에 따른 급냉파열특성에 관한 연구

        박형주,지남용,김창훈 한국화재소방학회 200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추계

        본 연구는 내화성능을 가진 수막보호유리벽을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가상시나리오 중에서 수막이 유리면을 보호하기 이전에 유리면에 근접되어 있는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유리면이 가열된 상태에서 수막이 형성될 경우 유리면의 온도가 급속히 냉각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급냉파열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험한 연구로서 가열면온도범위에 따라 유리면에<TEX>$150^{\circ}C$</TEX>이상 <TEX>$250^{\circ}C$</TEX>이하에서 수막이 형성될 경우 급냉파열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일반유리는 <TEX>$100^{\circ}C$</TEX>이상 <TEX>$150^{\circ}C$</TEX>이하에서 급냉파열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방화구획벽에 적용가능한 수막형성유리벽의 유리가 강화유리인점을 착안하면 수막의 도포이전에 강화유리면의 온도가 <TEX>$250^{\circ}C$</TEX>까지 올라가기 전에는 수막을 유리면에 접촉하여도 유리면의 급냉파열이 일어나짐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점은 일정한 구획내에서 유리면의 직근에 설치된 감지기에 의해 수막형성시스템의 가동을 할 경우 급내파열형상이 발생하지 않는 온도범위를 설정할 때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국부복사열에 의하여 온도범위를 설정할 때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국부복사열에 의하여 유리면의 온도가 급냉파열현상을 일으키는 한계온도에 이르기 전에 유리벽체 상부의감지기의 작동이 필수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한다면 수막을 이용한 유리벽체를 일정시간이상의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방화구획의 수직부재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걸림돌이 되는 급냉파열에 대한 우려를 종식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l류 11.56%, acid류 38.87%, hydrocarbon류 2.89%, ester류 0.80%, 총 70.32%가 확인되었다. Alcohol류에서 linalool가 3.78%, acid류에서는 caproic acid류가 14.40%, carbonyl류에서 2-hydroxy-4-methoxyacetophenone이 2.99%, hydrocabon류에서는 aromadendrene가1.59% 그리고 ester류에서는 methyl palmitate가 0.43%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0ppm에서 약 25.6%흡수되었고 ferric citrate 100ppm은 24.7%, ferrous sulfate는 19.7%흡수되었다. ILC를 첨가하지 않은 100ppm 철분염 용액은 ferrous sulfate를 제외하고는 흡수도가 감소되었다. 철분 결핍된 쥐에게 gavage 방법에 의하여 철분강화우유를 투여하였을

      • KCI등재

        회계이익의 불투명성과 정보비대칭 및 주가동조화

        박형주,조중석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4

        This study examines how earnings opacity affects information asymmetry and stock price synchronicity. We conjecture that earnings opacity is associated with lower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market. Opacity earnings cannot fully convey relevant and useful information to the market participa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m will not be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properly. Our sample consists of 8,140 firm-year observations including firms with December fiscal year end and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or the period 2000-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vere earnings opacity is, the more information asymmetry. Opaque earnings information, which can not explain the financial status of the firm correctly, makes it difficult for the market participants and increases information asymmetry. Second, the more earnings opacity is, the more stock price synchronicity. As it is difficult for investors to utilize opaque earnings information in their investment decisions, they rely more on the overall market or the industry information. Third, firms with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show less information asymmetry and stock price synchron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lysts improve the quality of information environment between firms and investors by providing corporate earnings information to the market and lowering information asymmetr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effects of the opaque earnings on information asymmetry and stock price synchronicity. In addition, our results show that financial analysts serve as a medium to lower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 and investors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the market. 본 연구는 회계이익의 불투명성(earnings opacity)이 기업의 정보비대칭 및 주가동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회계이익 불투명성 수준에 따라 정보비대칭 및 주가동조화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의 8,140개 기업-연도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이익의 불투명성이 클수록 정보비대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계이익의 불투명성이 클수록 주가동조화 현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불투명한 이익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데 어렵기 때문에 시장이나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정보를 활용하여 투자의사결정을 하게 되므로 시장 및 산업의 변화에 따라 주가가 변화하는 주가동조화 현상이 증가하게 됨을 보여준다. 셋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있는 기업의 경우, 회계이익의 불투명성이 정보비대칭 및 주가동조화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무분석가들이 해당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시장에 제공함으로써 기업과 투자자 간의 정보환경의 질이 개선되어 정보비대칭 현상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회계이익의 불투명성이 정보비대칭 및 주가동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무분석가는 자본시장에서 시장참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과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낮춰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The Implications of Current Practices Relating to the Sharing, Reuse, and Citation of Research Software for the Future of Research

        박형주,Dietmar Wolfram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the sharing, reuse, and citation of research software. These practices ar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scholarly communication.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citation and reuse of research software are currently uncommon or at least not reflected in the Data Citation Index (DCI). Such citation was observed, however, for the newer software in a number of prominent repositories. The repositories 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 (CRAN) and Zenodo received the most formal software citations. The researchers observed both formal and informal forms of citation when researchers reused software. The latter form involves mentioning research software in passing in the main text of articles, while formal citations appear in the references section. In addition, our comparative analysis helps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self-citation of research software.

      • KCI등재

        복사열을 이용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의 연소특성 분석

        박형주,김응식,김장환,김동현 한국화재소방학회 2007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1 No.3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forest fire fuels was analysed using variable external irradiation level. The characteristics such as ignition time, ignition temperature, critical heat flux and mass loss rate were measured. Fuel samples were exposed to incident heat fluxes from 8 to 50kW/ m2. For the measurement of various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 size of specimen holder was 100mm100mm12mm and the fuel samples grinded by electric mill were the fallen leave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As results, the occurrence of ignition is possible to the heat flux more than 9kW/m2. The fuel of Pinus densiflora keeps its high temperature longer than that of Quercus variabili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The results of measurement shows that the maximum and average mass loss rate of Quercus variabilis larger than that of Pinus densiflora. 본 연구에서는 지표화의 연소물질인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에 대해 일정한 외부 복사열에 의한 연소특 성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외부 복사열에 노출된 낙엽의 착화시간, 착화온도, 임계열유속, 질량감소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낙엽의 종류별로 5개의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낙엽에 복사열을 노출시키기 위해 Mass loss calorimeter를 사용하였다. 시료 용기의 크기는 100mm×100mm×12mm로 소나무와 굴참나무 낙엽을 건조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나무 낙엽과 굴참나무 낙엽의 시료에서 외부 복사열이 9kW/ m2 미만에서는 착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연소시간 동안 표면온도 변화는 굴참나무 낙엽에 비해 소나 무 낙엽이 더 오랜 시간동안 고온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대질량감소속도와 평균질량감소속도에 있 어서는 굴참나무 낙엽이 소나무 낙엽 보다 더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소특성에 대한 구 체적인 연소반응 특성에 대한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발코니 확장 아파트의 피난 안전성 증진을 위한 대피공간의 배치 · 구조에 관한 연구

        박형주,이영재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daptability of plan-front positio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structural protecting ability for architects to design the emergency stay shelters in balcony expansion. The balcony expansion, as only a tool for the space expansion from the open space to closed space facing living rooms has not permitted due to the negative aspect in emergency evacuation. As the amendment of the building code facilitated the balcony expansion on condition that installation of one emergency stay shelter, however, it has proved that the balcony-expanded apartment is more possible in terms of easiness of burning spread of upper level comparing with apartments without balcony expansion. Therefore, the shelters located in plan-front balcony expansion area has proved as being as a dangerous space for evacuators not to wait long until rescuer’s arrival so that they should be placed at the rear or side of plans surrounded by spandrels. Furthermore, it concludes that the structural protection standard for the shelter facing room required by the existing code would be changed from fire resistant ability to smoke protecting standard. 본 연구는 아파트 발코니의 거실 확장시 강제적으로 설치하는 대피공간의 배치 계획의 적정성과 방재기준의 효용성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파트 발코니 확장은 발코니를 거실, 침실 또는 주방 등의 공간용도로 확장하는 수단으로서 피난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았으나, 2005년 2월 이후 방화구획과 방화문으로 이루어진 대피공간을 1개소 이상 설치하는 조건으로 발코니 확장이 허용되었다. 그로 인하여 발코니 확장아파트의 상층연소현상이 비확장 아파트와 비교하여 전면 창호를 통해 급격하게 확산되는 상황이 초래됨을 화재사례 및 전면부 가연물배치 형상을 통해 규명하였다. 발코니 확장 아파트에서 대피공간이 세대 전면부에 배치될 경우 하부층 세대 화재시 빠른 상층연소가 일어나므로 대피할 수 없는 위험 공간으로 변할 가능성이 크고, 특히 주 피난통로인 계단실이 연기에 의해 오염될 경우에는 피난불가상황이 초래된다. 따라서 외기와 면하는 곳에 설치되는 대피공간은 설계 시에 스팬드럴이 있는 아파트 후면부로 배치되어야만 상층연소에 의한 대피불가상황 초래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초고층건물 피난계획시 피난용 엘리베이터 이용에 의한 피난소요시간의 단축효과 연구

        박형주,이영재 한국화재소방학회 2018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2 No.6

        A total of 19 elevators for evacuation were installed in the Lotte World Tower and it is planned to operate the shuttleusing the manual key from five refuge floors to the 1st floor in an emergency. In the event of a fire or other disaster, itis necessary to conduct intensive analysis to determine how much RSET reduction could be achieved using the evacuationelevator compared to the existing evacuation plans. When the optimal transportation sharing ratio by the evacuation elevatorswas 40% at the Lotte World Tower, the RSET of the evacuation scenario in parallel with the elevators in the entire buildingwas calculated to be 1 hour and 2 minutes. The RSET of a conventional evacuation scenario (Walking along the stairs withoutusing the elevators) was calculated to be 1 hour 29 minutes, therefore, the former evacuation scenario were found to havea shortening effect of approximately 27 minutes compared to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to maintain this effect, each partof the evacuation route using the elevator must have the capability to protect the evacuee from any hazards caused by fires,such as smoke, flame, and radiant heat during the evacuation. Moreover, the evacuation route should be continuous from theresidence position of the elevator user to the final evacuation site, and be recognized easily. 국내에서 피난용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준공된 고층건축물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롯데월드타워로 총 19대의피난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건물의 피난계획에 따르면 19대의 피난용 엘리베이터는 비상시 5개의 피난안전층으로부터 피난층(1층)까지 수동 키에 의한 조작으로 셔틀 운행하면서 피난자를 탑승시켜 피난시키도록 규정되어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재난발생시 피난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시나리오가 기존의 보행만으로 피난하는 피난시리나리오보다 피난소요시간을 어느 정도 단축할 수 있는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롯데월드타워를 대상으로 피난용 엘리베이터에 의한 최적 수송분담률을 40%로 설정한 전관동시 엘리베이터병행 피난시나리오의 피난소요시간이 1시간 2분으로 산출된 반면, 엘리베이터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 보행만으로 피난하는 전관동시 보행피난시나리오의 피난소요시간은 1시간 29분으로 산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를 병행하여 보행피난하는 경우가 엘리베이터에 의존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행으로만 피난하는 경우보다 27분 정도의 피난소요시간 단축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단축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경로를 이루는 각 부분이 피난이 이루어지는 동안연기, 화염, 복사열 등의 화재 또는 재난에 기인하는 위험으로부터 피난자를 방호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엘리베이터이용 피난자의 상주위치에서 최종피난장소까지의 피난경로가 단절 없이 이어지고 인식이 용이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