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계시와 현존 - 계시의 매개에 대한 바르트의 변증법적 유비론

        박형국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0

        This paper is an exploration of Barth’s dialectical,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ation of revelation. According to Barth’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the Triune God reveals Himself in terms of giving Himself as an object to the creaturely medium. Barth argues that the reality of the Triune God bears a dialectical, analogical relation to such creaturely medium. In Barth’s dialectical,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ation of revelation, we find both an explicit meaning and an implicit one with regard to the role of the creaturely medium. Its explicit meaning is that in Barth’s dialectical,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um of revelation, the medium plays a role of the thick shield which protects the religious self’s domestication of God’s mystery and difference. This amounts to the passive role. Furthermore, we argue that in Barth’s analogical, dialect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ation of revelation, the mediation of human senses, perception or conception, and language or signs plays a very active role. Thus, we assert that such an emphasis on the mediation of revelation works for the encouragement of human freedom and responsibility. Such an understanding seems to provide the opportunity to rethink a certain stereotyped criticism against Barth’s theology, that is, Barth’s theology too much emphasizes divine transcendence so as to eclipse or reduce human freedom and responsibility. To support such an argument, we try to explicate Barth’s shift from what Barth calls “religion” to “the Word of G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ation of revelation. Such a perspective discloses that Barth’s transition is the journey from the mediation of intuition and self-consciousness to the mediation of senses, concepts, and language or signs. In this respect, Barth moves to the direction to stress the thicker mediation of revelation which means the emphasis of human hermeneutical and responsible activity in the event of revelation. However, by pointing to the radical limitation of human senses, concepts and language or signs as the medium of revelation, Barth’s analogical,dialectical understanding seems to offer the space for invoking the operation of God’s grace through the mediate activity of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Therefore,Barth’s analogical, dialectical doctrine of revelation works for the co-emphasis of both the activity of divine grace through the mediate action of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and human freedom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encouragement of the activity of the mediation of human senses, concepts, and language or signs. 이 글에서 필자는 계시의 매개(媒介)에 대한 바르트(K. Barth)의 변증법적인 유비적 이해를 고찰한다. 바르트의 계시이해에 따르면, 하나님은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매개를 통해 자신을 대상으로 내어주심으로써(대상화함으로써) 알려진다. 바르트는 계시의 매개적 대상이 하나님의 존재(실재)와 변증법적인 유비적 관계에 놓인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감각과 개념과 언어의 매개에 대한 바르트의 변증법적인유비적 이해에서 매개의 역할과 관련해서 발견되는 명시적(明示的) 의미 뿐 아니라묵시적(默示的) 의미에 주목한다. 바르트의 계시의 매개이해에서 매개는 자아의식이 직관의 동일성의 작용을 통해 하나님의 신비와 타자성을 동일화하는 것을 막는 두터운 방패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 그 명시적인 의미다. 이것이 변증법적 유비론이 수행하는 비판적 역할에 해당한다. 바르트의 변증법적인 유비적 매개이해는 인간의 감각과 개념과 언어의 매개적 역할을 변증법적으로 제한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필자가 보기에 바르트의 계시의 매개에 대한 유비적인 이해는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끈다. 이것이 묵시적 의미이다. 이러한 묵시적인 의미에 대한 이해는 바르트의 신학에 대해 가해진 비판, 즉 바르트의 신학이 너무 하나님의 초월성만을 강조해서 인간의 자유와 윤리적 책임을 소홀히 하고 더 나아가 심지어는 억누른다는 비판을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자는 이른바 “종교”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의 바르트의 이행을 계시의 매개의 관점에서 해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은 바르트의 이행이 직관과 자기의식이라는 매개로부터 감각, 개념, 그리고 언어 혹은기호(혹은 표징)의 매개로 나아가는 여정임을 드러내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바르트는 계시의 보다 두터운 매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계시사건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참된 이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인간의 해석적이고 책임적인 활동에 대한 강조를 수반한다. 아울러 계시의 매개체로서의 인간의 감각, 개념, 그리고 언어 혹은 표징의 근본적인 한계를 지시함으로써, 바르트의 변증법적인 유비적 이해는 매개를 통한 성령의 활동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계시의 매개에 대한 바르트의 변증법적인 유비적 이해는 계시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참된 앎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성령의 매개적 활동을 통한 하나님 자신의 선물로서의 은총의 작용과 인간의 감각과 사고와 언어의 매개활동의 고무를 통한인간의 자유와 책임의 역할을 함께 강조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폴킹혼과 맥그래스의 자연신학에 대한 소고 — <기포드 강연>을 중심으로

        박형국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9

        In this essay the author investigates an ontological vision and implication of a revised natural theology which contemporary scientist-theologians John Polinghorne and Alister E. McGrath propose in their Gifford Lecture. The author would like to deepen and enlarge its ontological meaning by reflecting on their proposal regarding natural theology. One can expect that two scientist-theologians’ renewed natural theology can be a signpost that points to a deeper and larger ont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in turn, encourages the best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smos through a collabora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s. Contemporary scientism tends to pursue a reductive understanding of the cosmos and things. The author argues that an endeavor to deepen and widen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God, the world, and human beings can be the way to transform radically the modus vivendi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nature, while overcoming scientism or scientific reductionism and preventing ecological disasters such as the climate crisis which is affecting the whole globe. 논자는 이 논문에서 유서 깊은 <기포드 강연>에서 폴킹혼과 맥그래스가 제안한 새로운 자연신학에 대한 존재론적 전망과 함의를 연구한다. 나아가 두 강연자가 제안하는 자연신학을 성찰함으로써 그 존재론적 의미를 심화 확대하고자 한다. 두 과학신학자가 제안하는 자연신학은 기독교 신학과 과학이 함께 협력하여 최상의 설명과 해석을 추구하는 점에서 우주와 사물들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를 심화 확대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날의 과학주의는 우주와 사물들에 대한 환원적인 이해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논자는 새로운 자연신학이 지향하는 바와 같이 신, 세계, 그리고 인간을 포괄하는 존재론적 의미를 심화 확대하는 노력이 환원적인 과학주의를 지양하고 현재 인류가 직면한 기후 위기 또는 기후 재앙을 포함한 생태계 재난의 현실을 새롭게 변화시킬 근본적인 삶의 실천으로 안내할 수 있는 길임을 주장한다.

      • The radiologic findings of numb-chin syndrome as the presenting symptom of benign degenerative calcified mass on the mandibular bone

        박형국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The numb chin syndrome reflects an abnormality in mental nerve or inferior alveolar nerve. It manifests as objective and/or subjective sensory disorders in the distribution of the mental nerve or inferior alveolar nerve, represented primarily by half of the lower lip and chin, also known as mental neuropathy It is an uncommon occurrence with cancer (breast, lung, lymphoma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consists of numbness in the lower lip and chin. Facial numbness was associated with malignancy was first referred to as the num chin syndrome by Calverley and Mohnac in 1963. The mechanism of such a manifestation can be direct compression of the mental or inferior alveolar nerve by metastases to mandible, base of the skull, or leptomeningeal see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