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ohn Calvin의 목회적 설교에 나타난 적용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박현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8 No.-

        지금까지 칼빈의 연구가 주로 그의 신학과 기독교 강요 일변도로 진행된 경 향이 있다. 다행히 최근에 칼빈의 주석방식이나 그의 성경 해석학적 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연구의 여명이 밝아오기 시작하였지만 여전히 목회적 설교 내용 자체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진일보하여,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한 개혁주의 변혁적‘적용’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칼빈 설교에 나타난 적용 원리와 특징’ 에 대한 설교학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해 어 떤 적용 패러다임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칼빈 의 설교 분석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적용 패러다임의 핵심 원 리들을 제시하고 한다: (1) 적용의 기초로서 역동적인 해석학적 원리; (2) 적용 지향적 목회적 설교; (3) 적용의 삼중적 목적; (4) 네 다리놓기 패러다임을 통해 조망해 본 칼빈 설교의 적용 패러다임. 그런 다음, 한국 교회 설교 적용 회복을 위한 디딤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칼빈의 설교 분석을 통한 적용 패러다임 연구를 통 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교회는 철저한 주해적 다리놓기를 통한 성령의 의도 곧 저자가 의도한 의미와 적용을 발견하는 칼빈 의‘간결함과 용이함’의 해석과 설교 유산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한국교회는 칼빈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 모델을 따라, 성경 본문 중심적(text-driven), 저자 의도적(author-intended), 청중지향적(hearer-focused) 설교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칼빈의 개혁주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교리적 다리 놓기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넷째, 칼빈의 실제 설교 분석을 통해 볼 때, 칼빈주의 개혁교회 설교 전통은 결코 적실성과 적용이 약점을 가진 설교가 아니라는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 다차원적 적실성 범주(Relevance category)를 현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상황화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다섯째, 성령주도적 변혁적 다리놓기를 통해 설교와 적용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삶과 사회 변혁을 회복해야 한다. Calvin’s pastoral sermons differ from his commentaries in terms of both audience and objective. Recent scholarly attention to Calvin’s commentaries on Scripture still disregards his pastoral sermons. Although Calvin’s sermons as a preacher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they spend little time discussing his application paradigm to equip, edify, and transform his congregation. Hence, beyond academic focus on Calvin’s commentaries and exegesis, expositors need to focus on Calvin’s life-transforming application paradigm in his pastoral context. With this in mind, in this section, I explore Calvin’s four remarkable characteristics concerning his sermon application: (1) hermeneutical principles, (2) application-focused pastoral preaching, (3) threefold purpose of application, and (4) a bridge-building application paradigm. For Calvin, the Holy Spirit must govern the appropriate application paradigm for transforming the audience’s lives for the glory of God. In sum, following Paul and Chrysostom, Calvin shows a dynamic model of a four bridge-building application paradigm on the basis of his hermeneutical principles, threefold purpose of relevance, doctrine-based pastoral applic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s to emphasize five suggestions based on Calvin’s four-bridge application paradigm for the purpose of rediscovering and restoring a reformed application paradigm in Korean churches.

      • KCI등재

        과제유형에 따른 지식관리모형: Wilson과 konno의 모형을 중심으로

        박현신,김근세 한국행정학회 2005 韓國行政學報 Vol.39 No.4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notion that exist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public agencies was ineffective since the system was built without considerations of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public agencies and without focus on organizational context but on information technology(IT).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sharing as well as discrepancy in perception of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by the task type. For the analysis, it applied and merged Wilson's types of agencies, Nonakas' knowledge creation model, and Nonaka & Konno's 'Ba' concept. The initial conclusion of the analysis is that 'Ba' has a substantial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Each of 3 different 'Ba's, 'Intercating Ba', 'Cyber Ba', and 'Exercising Ba' was found to play a pivotal role in four major tasks: for the production task, 'Interacting Ba' tops the list, followed by 'Cyber Ba' and 'Exercising Ba'; for the procedure task, 'Cyber Ba' comes in first, followed by 'Interacting Ba'; for the craft task, 'Cyber Ba' and 'Originating Ba' take the first place while 'Originating Ba' ranks first for the copying task. Also it was confirmed that an IT-based system such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unlikely to work for agencies performing the copying task as 'Cyber Ba' has little or no importance particularly for this task. Another major finding related to the process observation possibility was that 'Originating Ba' takes up the major part of the job in case of difficult process observation, while 'Interacting Ba' matters when the observation process gets easy. 본 연구는 현재 공공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식관리시스템이 의도했던 바와 달리 잘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에 대해, 이는 공공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시스템 구축, 그리고 조직맥락 전반 보다는 정보기술을 강조하는 편향된 관점에서 지식관리시스템을 접근한 것에 기인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처리하는 과제유형에 따라 창출되는 지식의 성격과 비중이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창출된 지식과 지식공유의 관계, 그리고 과제유형에 따른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틀로 Wilson(1989)의 기관유형, Nonaka(1994)의 지식창조 모형, Nonaka & Konno(1998)의 ‘장’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장’이 지식공유에 상당한 영향을 가짐을 확인했다. 각각의 과제유형과 관련해, 생산과제에서는 ‘상호작용의 장’과 ‘사이버 장’, ‘훈련의 장’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을 확인했으며, 절차과제에서는 ‘사이버 장’과 ‘상호작용의 장’이, 장인과제에서는 ‘사이버 장’과 ‘발생의 장’이, 대응과제에서는 ‘발생의 장’이 큰 비중을 차지함을 확인했다. 특히 대응과제에서 ‘사이버 장’이 작은 비중을 차지하거나 혹은 유의미하지 않아 지식관리시스템과 같은 정보기술기반 시스템이 대응과제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활성화되기 어려움을 확인했다. 또한 과제특성의 구성요인인 과정의 관찰가능성을 기준으로, 과정의 관찰이 어려울 때는 ‘발생의 장’이 발달하는 반면, 관찰이 쉬울 때는 ‘상호작용의 장’이 발달함을 확인했다.

      • KCI등재
      • KCI등재

        크리소스톰의 설교 분석을 통한 설교 적용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박현신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최근 한국 교회 설교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설교의 적용은 한마디로 저자 당시의 청중지평과 설교자의 청중의 지평 사이에 있는 해석학적 간격(hermeneutical gap)을 이어주는 다리 놓기(bridge-building)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존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은 당시의 필요와 그의 청중들이 가지고 있었던 다양한 관심사와 적용을 절묘하게 연결시키는 브릿지빌더(bridge-builder)로서 개인과 교회와 사회를 변혁시키기 위한 탁월한 모델이다. 과연 한국교회 설교자들의 적용 회복을 위해 주목해야 할 크리소스톰의 설교 적용 패러다임의 핵심적인 원리와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크리소스톰의 원문 설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적용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한 반성과 대안이 한국교회에 다시 요청되는 시점이다. 첫째, 크리소스톰이 추구한 설교 적용의 궁극적인 푯대는 그리스도를 닮은 크리스천의 삶으로 변혁되어 가는 것이다. 크리소스톰의 변혁적인 메시지는 율법과 은혜라는 두 렌즈를 통과해서 도출된 적용의 불꽃에 의해 타올랐다. 둘째, 어떤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신학적 원리에 기초한 윤리적 적용 패러다임은 크리소스톰 설교의 특징이다. 그는 탁월한 강해설교자일 뿐만 아니라, 성경 당시의 저자가 의도한 적용을 현대 청중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전이(transfer)시키는 과정 즉 원리화 다리(principalizing bridge) 의 결정적 기준(criteria)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인 신학적 원리(신론, 인죄론, 기독론, 구원론, 종말론 등)에 기초한 윤리적 적용을 회복하기 위한 좋은 모델이다. 셋째, 크리소스톰의 적용은 부와 가난, 구제에 대한 성경적인 원리와 적용을 강조한다. 넷째, 크리소스톰 설교의 적용은 교회적 공동체로서 가정이라는 주제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진 특징이다. 주목할 점은 크리소스톰의 교회적 공동체로서의 가정을 향한 적용은 신학적인 보편원리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크리소스톰의 설교분석을 통해 볼 때 그의 적용은 수사학적인 분석과 적응이 탁월했으며, 당시 평범한 안디옥과 콘스탄티노플의 청중의 필요에 민감함과 연결된 탁월한 설교자 였으며, 다양하고 폭 넓은 적실성 범주를 추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크리소스톰은 본문과 저자가 의도한 적용과 보편적 원리를 기초로 개인적, 가정적, 공동체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철학적 영역을 향한 다차원적 적실성 범주의 모델을 보여준다. 필자는 보다 건설적인 설교학적 반성과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크리소스톰의 설교 적용 원리에 근거해 한국교회 설교자들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으로 결론을 대신 하고자 한다. Based on analysis of John Chrysostom’s sermons, this study is to explore Chrysostom’s five striking features of his application paradigm.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a life-transforming application-focused preaching model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this paper is to analyze five principles of Chrysostom’s application paradigm. First, Chrysostom’s application in homiles aims at the listeners’ transformed lives. Second, a doctrine-based ethical application paradigm is a trait in Chrysostom’s preaching. Chrysostom is not only an outstanding expositor, but he is also a good model for a doctrine-based ethical application. Third, Chrysostom’s application has a tendency to emphasize the themes of wealth and poverty. Fourth, Chrysostom’s application paradigm tends to underline the theme of family as ecclesial community. Chrysostom’s ecclesial vision of the Christian family and household rarely has been discussed. Analysis of Chrysostom’s application indicates that his sermons seek a wide relevance category. Chrysostom’s preaching is both text-based and audience-focused. Korean preachers need to consider and contextualize Chrysostom’s application paradigm to transform their congregation and Korean society.

      • KCI등재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효과적인 설교전달 : 얼굴표현(Facial Expression)과 아이 커뮤니케이션(Eye Communication)을 중심으로

        박현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0 No.-

        설교 커뮤니케이션에서 차지하는 비언어적 요소의 중요성에 불구 하고, 설교학적 관점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설교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 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넘어, 본 연구는 성경적 강해설교의 철 학 아래, 설교 언어적 메시지를 보완하고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비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지향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중심 목적은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한 효과적인 설교를 위해 비언 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개념과 설교신학적 근거를 간략히 제시 한 다음, 비언어적 전달 요소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효력을 지닌 얼굴표현과 눈 맞춤의 주요 특징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함으로 설교 자들이 실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론의 첫 번째 부분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기능, 분류를 논의할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 션의 성경적 근거와 핵심 철학을 제시한 다음, 주요한 특징들을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세 번째 부분은 얼굴표현의 주요 특성과 효과에 관해 다섯 가지로 진술하고자 한다. 또한 비언어적 요소 가운데 청중들에게 가장 강력한 임팩트를 줄 수 있는 아이 커 뮤니케이션의 다섯 가지 주요 특징과 효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얼굴표현과 아이 커뮤 니케이션을 목회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일곱 가 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Despite of the signific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preaching, studi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in light of preaching have been ignored. Beyond the necessity of academic research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in preaching,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facial expression and eye contact in nonverbal communication rooted in the philosophy of expository preaching. The central purpose of this research, thus, is to shortly clarify key concepts and homiletical foundatio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s to discuss about main functions and vital characteristics of facial expression and eye communication so that a preacher practically utilizes these factors for more effective preaching. For this purpose, the main body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briefly discuss definitions, functions, foundations, and premis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Second part of the main body is to present biblical grounds and core philosoph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ts four traits. Thirdly, the present writer sets forth ke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facial expression and eye communication as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nonverbal communication. Lastly, aiming at pastoral praxis, this study is to propose seven suggestions to put facial expression and eye communication in preaching into practice.

      • KCI등재

        전도설교에 대한 개혁주의 설교학적 고찰

        박현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9 No.-

        최근 종교와 기독교 전도와 관련된 통계 지표들은 한국사회 안에 급증하고 있는 다양한 불신자들 유형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과 함께 성경적인 전도설교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개혁주의 전도 설교 대안 마련이 얼마나 절실하게 필요한가를 말해주고 있다. 작금의 한국교회 위기는 전도의 위기와 직결되고, 이는 곧 전도설교의 위기라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아직까지 한국교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전도 프로그램과 세미나 등에 비해 성경적인 전도 설교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매우 약하다고 할 수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설교학적 측면에서 볼 때도 전도설교의 필요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한국에서 전도설교에 대한 설교학적 저술과 연구물을 아직 발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고의 핵심 논지는 한국교회 개혁주의 전도 설교의 필요성과 정의에 대해서 논의한 다음, 전도 설교의 성경적 모델을 바울과 베드로의 전도 설교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정의와 성경적 고찰을 근거로 전도 설교에 대한 설교신학적 근거와 전도 설교 회복을 위한 핵심 원리들을 일곱 가지로 제언하는 것이다. 오늘날 전도설교의 생명수가 근원부터 맑아지기 위해서는 성경적인 설교 신학이라는 상류에서 개혁주의 전도 설교의 생수가 흘러 내려와야 한다. 나아가 21세기 한국교회 전도 설교자들은 개혁주의 설교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인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복음전도의 핵심으로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살린 강해적 전도설교, 전제주의 변증적 전도 설교, 청중 분석과 수사학적 적응, 적절한 예화와 구체적인 적용의 기술, 진정한 설득력과 탁월한 전달력을 절차탁마해야 할 것이다. In considering recent statistics of religion and Christianity in Korea, Korean churches desperately need to analyze situations of various non-christians and to systematize a biblical evangelistic preaching paradigm. The crises of Korean church are closely related to crises of evangelism, and there are a close connection between such critical situations of evangelism and crises of evangelistic preaching. Ironically, in light of homiltical perspective, it is the fact that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al publications concerning reformed evangelistic preaching have been ignored. The ultimate aim of this paper is to reemphasize the necessity and the motive of biblical evangelistic preaching, to investigate Paul’s and Peter’s evangelistic preaching as a model, to refocus on the theology of homiletics of evangelistic preaching, to suggest some vital elements to revitalize evangelistic preaching.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evangelistic preaching rooted in biblical models, theological grounds and homiletical principles, thus, one should recognize text-driven, gospel-centered, genre-sensitive, apologetic, audience-focused, relevant illustrations and applications, and rhetorical factors.

      • KCI등재후보

        팀 켈러의 센터처치와 북한교회

        박현신 기독교통일학회 2021 기독교와 통일 Vol.12 No.2

        현재 북한과 통일에 관한 연구에 비해 북한교회 개척과 재건 등에 관련된 연구와 영미권의 교회 개척 모델과 통합적인 논문은 아직 미개척지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티모시 켈러와 센터처치 모델은 최근 미국을 넘어 한국에서 집중적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한국 신학자들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서, 본 연구자는 첫 번째 장에서 팀 켈러와 센터처치의 주요 배경들과 정의, 핵심 비전과 가치를 먼저 고찰하고자 한다. 그런 다음 본 연구자는 두 번째 장에서 켈러가 구축한 센터처치 모델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복음, 도시, 무브먼트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켈러의 센터처치의 세 가지 축을 복음 중심적 메시지, 복음 중심적 사역, 복음 중심적 무브먼트로 나누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자는 세 번째 장에서 켈러의 센터처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함께 이론적 분석을 통해 얻은 함의들을 중심으로 통일한국과 북한교회 개척과 재건을 위한 주요 방향성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심 목적은 팀 켈러와 그의 센터처치 모델의 핵심 개념과 이론적 기초와 전략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 북한교회 개척과 재건을 위한 함의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